[037] 제4장 술수종횡(術數縱橫)/ 9. 복잡하고 미묘한 범위수(範圍數)

작성일
2017-01-04 15:40
조회
1604

[037] 제4장 술수종횡(術數縱橫) 


9. 복잡하고 미묘한 범위수(範圍數) 


=======================

새로 시작한 범위수에 대해서 생각을 해 봤다. 일러주는 대로 열심히 적어놓기는 했으나 이것이 무슨 말인지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었고, 그나마 위로가 되는 것은 구궁수가 서로 연결이 되어서 잘 궁리하면 어렵지 않게 풀어갈 실마리를 얻게 될지도 모르겠다는 일말의 기대감도 생기긴 했다.

그러나 이 또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이 공부를 하는 것이 아직은 이르지 않은가 싶은 생각도 들었다. 적어놓은 문서를 펼치고 다시 들여다봤다.

임갑종건수, 을계향곤구(壬甲從乾數, 乙癸向坤求)
경래진상립, 신재손방류(庚來震上立, 辛在巽方留)
기이리문기, 무이감위두(己以離門起, 戊以坎為頭)
병수간처출, 정향태가수(丙須艮處出, 丁向兌家收)

우창은 이렇게 적힌 구절을 보면서 골똘한 생각에 잠겼다.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일까? 보자..... 아하, 그러니까 팔괘의 위치에다가 천간을 배치하는 방법인가 보다.... 그러나 이렇게 배치를 해서 어떻게 하라는 이야기는 없는 것으로 봐서 앞으로 그러한 것에 대해서 배우게 될 것이라는 짐작은 할 수가 있었다. 다시 소리를 내어서 읽어 봤다.

임과 갑은 세로로 건수가 되고,
을과 계는 곤으로 향해서 구한다.
경은 진괘 위에다 세우고,
신은 손방에서 머무른다.
기는 이괘의 문에서 일어나고,
무는 감괘의 머리가 된다.
병은 모름지기 간괘에서 나오는 곳이고,
정은 태괘의 집에서 거둔다.

알쏭달쏭한 이야기는 팔괘(八卦)와 천간(天干)의 배합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는 정도로 어렴풋이나마 이해할 수는 있었다. 또 다음에 적어놓은 구결을 살펴봤다.

해자감궁인진목(亥子坎宮寅震木)
사오리문축재곤(巳午離門丑在坤)
묘유건금진시태(卯酉乾金辰是兌)
미신간궁술손진(未申艮宮戌巽真) 

이번에는 지지(地支)와 팔괘궁을 배치하는 것으로 이해가 되었다. 그래도 이러한 것을 보면서도 어느 정도 연결을 시킬 수가 있는 자신이 한편으로는 대견하기도 했다. 그런데 갑자기 간지(干支)가 나오는 바람에 혼란스러운 마음이 일어났다. 이것에 대해서는 낙안에게서도 깊이 있는 설명을 듣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니 낙안과 의형제의 인연을 맺은 후로 통 만나지를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사이에도 열 번은 찾아왔을 텐데 무슨 일이 있는가 싶어서 오늘은 문안을 가보기로 했다. 점심을 먹고는 궁금증을 한 보따리 싸 들고 낙안의 처소를 찾았다. 숲이 우거진 곳에 자리 잡은 숙소는 비교적 주변에서 떨어져 있어서 조용했다.

마침 낙안은 마당가를 거닐고 있다가 우창이 오는 것을 보고서는 반겨 맞았다.

“이게 누구신가~! 우창 아우 아니신가? 어쩐 일로 여기까지 나들이를 하셨을꼬. 어여 오시게~!”

“우창이 형님을 뵙습니다. 그간 평안하셨는지요?”

“그렇다네. 바깥에 좀 다녀오느라고 집을 비웠었네. 그렇잖아도 내일쯤은 아우를 보러 갈까 했었다네. 잘 오셨어.”

“그러셨군요. 어디를 다녀오신 것인지요? 바깥의 풍경은 또 어떤지 궁금하네요.”

“실은 오랜 벗이 나를 찾는다는 연락이 왔기에 왜 그러는가 싶어서 그를 만나고 왔다네.”

“적어도 형님과 교분이 있을 정도라면 그분도 보통 사람은 아니겠습니다.”

“그는 비운의 사나이라네. 역적 누명을 쓰고 피신을 다니고 있는 안타까운 신세지. 내가 심곡문하에서 공부를 한다는 말을 듣고서는 같이 왕을 도와서 천하통일에 대한 위업(偉業)을 달성해 보지 않겠느냐는 이야기를 하려고 찾았다고 하지 않는가.”

“그야 형님도 관심이 많으시지 않습니다. 늘 병사를 조련(操鍊)하는 일에 대해서 궁리하시는 것으로 아는데 허락하지 그러셨습니까?”

“물론 관심이 있는 것과 출두(出頭)하는 것은 다른 것이라네. 지금은 그때가 아닌데 자꾸만 서두르는 것 같아서 앞으로 10년 이내에는 나를 찾지 말라고 못을 박아놓고 왔다네. 하하하~!”

“아, 그러셨군요. 깊은 뜻이 있더라도 그것이 때가 되기 전에는 기다려야 한다는 가르침으로 새기겠습니다.”

“그게 그렇게 되나? 하하~!”

“그러시면 헛걸음을 하신 셈이군요. 천하의 영웅호걸들과 함께 세상사를 논하는 것도 재미있지 싶은 생각이 듭니다.”

“말도 마시게. 지금 천하는 약육강식(弱肉强食)과 권모술수(權謀術數)가 판을 치고 있는 혼란의 소용돌이라네. 행여나 그런 생각은 꿈에도 품지 말고 태산에서 공부하는 것이 최상의 행복인 줄만 아시게. 하하~!”

“알겠습니다. 명심하겠습니다.”

“그런데 아우가 날 찾았을 때는 뭔가 궁금한 것을 참지 못했을 것이라는 짐작이네만 그것이 무엇인지나 꺼내 보시지?”

“과연 형님이십니다. 실은 오늘 범위수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 봐도 알쏭달쏭해서 궁금하던 차에 형님을 뵌 지도 오래되어서 문득 바람이나 쐬러 나온 것이니 너무 마음을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하~!”

“어쩐지, 그랬던 것이로군. 범위수는 지금 아우의 수준으로는 좀 버거울 듯도 싶은데 어떻게 시작을 하게 되셨나?”

“실은 주역의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기본적인 개념이라도 잡는데 큰 도움이 되려나 싶어서 시작은 했는데 오히려 기본을 더욱 혼란스럽게 해서 어떻게 해야 하나 싶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다른 선생들은 또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공부를 할 그릇이 아닌가 싶은 자괴감(自愧感)이 들기도 합니다.”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그런 말은 말고 무엇이 어려운지 차근차근 풀어보면 될 것이 아닌가? 범위수에서는 간지(干支)를 논하는 것으로 시작을 할 텐데?”

“맞습니다. 바로 그것이 머리에 불이 붙은 듯이 화끈거리지 뭡니까. 도대체 왜 이것이 끼어든 것입니까? 이제 겨우 팔괘(八卦)의 의미 정도나 이해하고 있는 저에게 말입니다.”

“결국은 그 모든 것을 다 알아야만 하기 때문이지. 그럼 이제부터는 간지에 대해서 공부를 하면 될 일이 아닌가? 뭐가 어려운 일이라고 아우답지 않게 죽을상을 짓는단 말인가? 하하~!”

“그러게나 말입니다. 그래서 생각나는 사람이라고는 형님뿐이라서 이렇게 달려왔지 뭡니까. 하하~!”

“내 그럴 줄 알았네. 그럼 범위수는 잠시 뒤로 미뤄놓고 간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좋겠네. 막상 알고 보면 간단한 것이니 너무 긴장하지 않으셔도 된다네.”

“그랬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럼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 것인지 소중한 가르침을 기대하겠습니다.”

“내가 전에 말했던가? 역경은 음양지도(陰陽之道)라는 것을 말이네.”

“예 기억하고 있습니다. 모든 것은 변화한다. 그러므로 그 변화하는 것을 읽어내는 것이 역학이고 변화의 학문이라고 하셨지요.”

“그러면 묻겠네. 세상에는 변하는 것만 있을까? 아니면 변하지 않는 것도 있을까?”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 무엇이든 시시각각(時時刻刻)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라고 형님께서 말씀하지 않으셨습니까?”

“아니 다시 생각을 해 보세. 변하는 것이 있으면 변하지 않는 것도 있어야 음양의 논리에 부합되지는 않을까?”

“그게 무슨 말씀이십니까? 듣느니 처음입니다.”

“그렇다면 묻겠네. 아우는 자신이 변한다고 생각하는가?”

“예? 자신이 변하다니요?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이 몸으로 여태까지 살아오고 있으니 변했다고 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그것 보시게, 아우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금 아우의 입으로 말하지 않았는가 말이네. 하하하~!”

“변하지 않는 것이란 이것을 말씀하신 것입니까? 자신이 변한다는 것은 있을 수가 없지 싶습니다. 그렇다면 이것을 음양의 이치로 논한다면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합니까?”

“당연히 음양은 상대적이라고 하지 않았는가. 변하지 않는 것이 있어야 변한 것이 무엇인지를 가늠할 것이 아닌가? 모두가 변한다면 무엇을 기준으로 삼아서 변했다는 것을 판단할 것이며, 그 변화가 어느 정도로 어떻게 된다는 것을 읽을 수가 있겠는가 말이네.”

“형님의 말씀을 듣고 보니 과연 일리가 있겠습니다. 여태까지 공부를 한 바로는 모든 것은 변화하는 것으로 그 변화가 어떻게 할 것인지를 읽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이제야 그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는 주체가 존재한다는 새로운 이치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맞게 이해를 한 것인가요?”

“맞는 말이네.”

“그렇다면 주역도 자연의 절반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것이라고 해야 할까 싶습니다. 나머지 절반은 변화하지 않는 것에 대한 이해로 채워야 할 테니 말이지요.”

“이치로 논한다면 그게 맞겠네. 그래서 기본적으로 학문에서도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변화에 대한 팔괘의 기본적인 이치를 이해한 다음에는 다시 범위수를 통해서 간지의 기본적인 이치도 정리하면서 발전하는 것이라고 보면 틀림없겠지.”

“이제야 왜 이렇게 뜬금없이 간지가 주어졌는지를 이해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오늘은 공부의 방향을 새롭게 수용하고 공부해야 하겠습니다.”

“물론이네, 그렇게 수용하면 되지. 결국은 모든 이치가 만나는 곳은 한 곳이라네.”

“어디에서 만나게 됩니까?”

“산정(山頂)으로 오르는 길은 여덟 갈래라고 하더라도 결국 목적지는 어디일까?”

“그야 산 정상일 테지요. 아하~! 그래서 결국은 정상에서 만나게 된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혜암도인이나 달마존자께서 서로 다른 학문의 길을 걸으셨지만 결국은 정상에서 만나서 한 가지로 소통이 된다는 것으로 이해를 해도 되겠습니까?”

“옳은 말이네. 그건 그렇고, 묻고 싶은 것이 생겼다면 질문을 하시게.”

“우선, 임갑종건수(壬甲從乾數), 을계향곤구(乙癸向坤求)에 대해서 여쭙습니다. 이것은 무슨 뜻입니까? 알쏭달쏭하고 당최 어디부터 건드려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임갑은 건으로 쫓아서 나온 수라는 말이지 않은가? 그리고 을계는 곤으로 구한다는 말인데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니까 여기에서 기본적으로 나오는 팔괘는 팔괘(八卦)의 방향(方向)을 말하는 것입니까? 그것은 전에 형님께서 설명해 주셔서 이해하고 있습니다. 건괘는 서북방, 곤괘는 서남방이라고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맞네. 그러니까, 임갑은 건궁으로부터 나온다고 했으니까 그 집은 건궁이 된다는 말이네.”

“그런데 임(壬)과 갑(甲)에 대해서부터 막히니 어떻게 해결을 해야 할 것인지를 모르겠단 말입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임은 6이고, 갑은 9가 된다는 것인데, 팔괘(八卦)의 건(乾)은 1이니 서로 연결이 되는 것은 하나도 없더란 말이지요. 이것을 어떻게 묶어서 정리를 해야 할 것인지가 너무 어렵습니다.”

“아하, 그러니까 간지(干支)의 의미를 아직 잘 모르고 있었다는 이야기로구먼. 그런가?”

“맞습니다. 형님. 언제 간지에 대해서 설명을 들어 본 적이 없어서 말이지요. 그래서 왜 제가 알고 있는 간지와 다른지부터 혼란이 생기기 시작한 것입니다. 이것에 대한 가르침이 절실합니다. 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