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갑목(甲木)

작성일
2007-08-29 17:11
조회
11827

갑목(甲木)은 목(木)의 양(陽)에 대한 부호이다. 목의 기에 해당하기도 한다. 생기(生氣)라고도 하고, 초목(草木)에서는 새싹이 돋아나는 상황으로 이해를 할 수도 있다. 늘 생동감(生動感)으로 넘쳐나는 성분이기 때문이다. 골목에서 해가 넘어갈 때까지 지칠 줄 모르고 떠들며 노는 아이들을 생각하게 된다.

 

【하건충설(何建忠說)】

본질(本質)은 생장(生長)하는 성분이 되는 것을 말한다. 형식은 모여들어 뭉치는〔聚結〕성분이며 전체적으로는 능동적(能動的)이기도 하다. 이것은 자연에서 동물(動物)로 관찰을 하게 된다.

 

-해석-

갑목(甲木)을 동물(動物)로 보게 되는 것은 생명체(生命體)라고 하는 것을 전제(前提)로 하고, 다시 생명체 중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을 찾는 과정에서 연결이 된 것으로 이해를 한다. 즉 생명체는 움직이는 것〔동물〕과 움직이지 않는 것〔정물-식물〕으로 나누게 되는 것이므로 여기에서 양의 성분은 움직이는 것으로 봐서 동물로 결정이 났을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동물은 다시 활동하는 성분으로 보게 되므로 활동적인 생명체로 연결을 시키기도 한다. 그렇다고 해서 식물(植物)은 움직이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식물도 목이라면 움직인다고 하거나 혹은 자란다고 하겠는데, 그 정도가 갑목에 비해서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대입을 하게 된다. 그러니까 식물(植物)에서도 동물적인 요소가 있다고 한다면 눈트는 그 곳이 되는 것이다. 눈이 트는 것은 움직이는 것이고, 나무의 둥치는 움직이지 않는〔혹은 매우 적게 움직이는〕것으로 관찰을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滴天髓-甲木論】

갑목참천(甲木參天)이며 탈태요화(脫胎要火)하라.

춘불용금(春不容金)이요 추불용토(秋不容土)니라.

화치승룡(火熾乘龍)하고 수탕기호(水蕩騎虎)하라.

지윤천화(地潤天和)하면 식립천고(植立千古)니라.

 

【뜻풀이】

갑목(甲木)은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나는 성분이며

처음에 움직일 적에는 화의 도움이 필요하다.

봄의 목은 금을 받아들일 수가 없고,

가을의 목은 토(土)를 받아들일 수가 없다.

불길이 거세지면 진토(辰土)를 의지하게 되고,

물이 질펀하면 인목(寅木)을 의지하게 된다.

지지(地支)가 촉촉하고, 천간이 따스하면,

곧게 심어져서 천년의 세월을 살게 된다.

 

【풀이】

이 대목을 이해하면서 갑목(甲木)을 나무라고 단정하면 생각의 한계를 가져오게 된다. 그냥 뻗어나가는 추진력으로 보는 것이 오히려 실수를 줄이는 관찰력을 얻을 수가 있다.‘갑목은 나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나무인 것만이 아니라고 봐야 한다. 그리고 나무 중에서는 나무의 뻗어나가는 성분 정도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나가는 성분인 것이다. 그런데 왜 하늘로 솟아오를까? 그 이유는 그렇게 하늘로 향해서 추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마치 로켓의 모습과 흡사하다. 로켓은 갑목(甲木)의 변형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이다. 로켓은 정확하게 하늘로 향해서 추진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것은 비행기와 다른 구조라고 하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그럼 하늘은 무엇인가? 그것은 무토(戊土)이다. 무토는 대기권(大氣圈)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갑목(甲木)이 무토(戊土)를 극하게 되는 것이기도 하다. 갑목(甲木)이 왜 기토(己土)를 극하지 않고, 무토(戊土)를 극하는지에 대해서 이와 같은 답을 얻었다. 그리고 가장 효과적으로 무토를 극하는 방법이 곧게 하늘로 솟아오르는 것이다. 왜냐면 옆으로 비스듬하게 나아간다면 결코 무토(戊土)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기 때문이다. 곧게 뻗어 나가야만 무토인 중력(重力)을 극제(剋制)할 수가 있는 것이다. 로켓이 실패하는 이유도 아마 곧게 추진하지 못해서 생기는 원인이 아닐까 싶다. 이것을 고인(古人)은 참천(參天)으로 본 것이다. 참천은 갑목의 별명으로 봐도 된다. 사전을 찾아보면 참천은 ‘공중에 높이 뻗어나가는 모양’으로 되어있다. 결코 나무가 자라는 그러한 좁은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면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적천수의 묘미(妙味)라는 것을 바로 깨닫게 된다.

‘처음에는 화(火)의 기운이 필요하다.’고 했다. 어린 나무일 때 화의 온기(溫氣)가 필요하다고 해석을 해도 되지만, 목의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도 화가 필요하다. 로켓을 보면서 생각해 보자. 처음에 갑목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어떻게 하는가? 처음에는 대단한 힘의 화력으로 인해서 출발하게 된다. 물론 로켓은 나중에도 어느 정도의 화력에 의해서 출발한다. 그것은 당연하다. 로켓이 갑목 자체는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비유한다면 그러한 동작들이 연결되어서 이해를 돕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목은 여름이든 겨울이든 계절과 관계없이 처음에는 화(火)의 기운이 필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반드시 이른 봄에 태어날 때만 화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갑목이 어리거나 춥다고 관찰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그렇다면 일간(日干)으로 대입을 할 적에는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하는가? 그것은 바로 갑목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는 것으로 해석을 하면 된다. 그리고 그 화는 추진력을 얻기 위한 연료로 봐도 되겠다.

‘봄에는 금을 용납하지 않는다’는 부분에서 비로소 사주에 대한 해석으로 들어간다. 즉 앞의 절반은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으로 갑목(甲木)을 관찰하고 뒤의 절반은 형이하학적(形而下學的)으로 관찰을 한 의미가 다분히 나타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올바른 해석이 된다. 그러니까 앞에서는 갑목의 특성을 논하고 뒤에서는 갑목을 쓰는 방법에 대해서 논하는 것으로 갑목의 체(體)와 용(用)으로 구분하여 관찰한다고 해도 된다.

그래서 봄의 갑목(甲木)은 금을 고려하지 못하고, 그 힘이 마구 솟아나가는 성분인데 여기에 금으로 극을 하게 된다면 대형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마치 시속 100km로 달리는데 갑자기 거대한 바위가 나타나면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그래서 봄에는 금을 용납하지 않으며, 금을 쓰려고 생각을 해도 안 된다는 의미도 포함이 된다.

그리고 가을에는 토를 용납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목의 기운이 쇠해서 더 이상 뻗어 나갈 여력이 없는 상황이라서 그대로 멈추게 되는데, 다시 금(金)의 극제(剋制)까지 받게 되었으므로 이번에는 아예 목의 힘이 소멸되어가는 상태라고 하겠다. 다시 토(土)를 만나서 토생금(土生金)이 되면 금의 기운이 더욱 강화되고, 목은 완전히 소멸이 될 가능성까지 발생하게 되므로 가을에는 토를 용납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것이다.

처음에 추진력을 필요로 할 적에는 화가 중요하지만 만약 그 화가 너무 강력하다면 오히려 목의 기운에 장애를 받게 된다. 그러므로 ‘불이 치열하게 되면 습토(濕土)에 뿌리를 내리고 의지하게 되는 것’이다. 습토는 당연히 진토(辰土)가 으뜸이 된다. 이 정도의 해석은 벗님도 능히 하실 수가 있을 것이므로 길게 늘어놓지 않아도 되겠다.

‘물이 질펀하면 이번에는 인목(寅木)을 의지하라’고 했으니 이것도, 지지의 과습(過濕)을 염려하는 것인데, 인목은 습기를 흡수하여도 뿌리가 썩지 않는 건조형 지지(地支)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이보다 더 좋은 해결책은 없기 때문에 그 대입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지지에는 진토(辰土)를 만나서 촉촉하고, 천간에는 병화(丙火)를 만나서 따스하다면 갑목의 희망으로는 더 이상 바랄 것이 없으니, 그대로 곧게 자라서 천년을 간다고 해석을 한다.

 

【心理的인 해석-전진(前進)과 통제(統制)】

갑목의 심리적인 구조는 전진(前進)과 통제(統制)로 대입을 한다. 갑목(甲木)은 앞으로 전진하는 성분이 무척 강하기 때문에 후진이 뭔지 모르는 성분이기도 하다. 그리고 앞을 향해서 통제하는 성분이기도 하므로 공간에 대한 인지능력이 좋다. 이것을 서양심리학으로 대입한다면 감각적(感覺的)으로 생각하는 스타일이라고 하겠고, 생각이 나는 대로 바로 통제하고 시행하고자 하므로 즉흥성이 강하다고 관찰을 할 수도 있으며, 오랜 시간을 궁리하고 고민하는 것은 어울리지 않는다고 보기도 한다. 이러한 성분은 관리자(管理者)의 능력이나 감독(監督)의 역할에 잘 어울린다고 하겠는데, 이러한 성분을 십성(十星)에서는‘편재(偏財)’라고 한다. 동물이라고 하는 것은 자신의 영역을 반드시 관리하고 통제하며 다른 침입자가 생기게 되면 대들어 싸우는 것이므로, 편재의 성분과 서로 닮은 점이 있기도 하다.

갑목(甲木)에 대해서는 좀 더 부연해서 설명을 할 필요가 있겠는데, 졸저《마음을 읽는 사주학》에서 갑목의 표면심리(表面心理)와 내면심리(內面心理)를 언급하면서 갑목의 표면적인 성분으로 비견(比肩)을 생각하고, 내면적인 성분으로 편재(偏財)를 언급했는데, 여기에서 이러한 부분을 수정하도록 한다. 나머지 양간(陽干)도 같이 보면 되겠다.

즉 갑목(甲木)의 본질(本質)을 목기(木氣)로 고정해서 보게 된다고 하겠고, 목기(木氣)는 십성(十星)의 영역에서는 편재(偏財)로 본다고 이해를 하면 되겠다. 비견에 대해서는 오해가 있었다고 하겠는데, 그 오해가 생기게 된 연유는‘강력한 통제력’으로 인해서이다. 즉 통제력이 강하므로 주체성이 강할 것으로 관찰을 했는데, 실상으로 연구해 오는 과정에서 통제력과 주체성의 연관성을 묶기 보다는 별도로 대입을 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