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수(壬水)

작성일
2007-08-29 17:10
조회
12577

임수(壬水)는 수(水)의 기(氣)에 해당하여 수기(水氣)라고 한다. 그리고 냉기(冷氣)라고도 하게 된다. 흡수력(吸收力)이 강해서 물과 함께 세상을 흘러 다니면서 오염된 물질이나 죽은 물질을 모두 빨아들이는 작용을 하여 자연을 정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하건충설(何建忠說)】

본질이 모여드는 성분을 가리키며, 형식은 유동적(流動的)이고, 전체적인 모양은 변동성(變動性)이고, 확산적(擴散的)이며 기체(氣體)이다.

 

-해석-

기체(氣體)를 이전에는 단순하게 공기(空氣)라고 하는 정도로 이해를 했을 수도 있겠다. 다만 지금은 그렇지만 않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는데, 공기 중에는 여러 기체가 많이 섞여 있는 것으로 관찰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임수의 기체도 그 중에 어느 것이 되거나 아니면 기체를 전부 통 털어서 말하는 것이 될 것으로 이해를 한다. 우선 기체 중에의 일부를 임수(壬水)의 영역으로 말한다면, 그 성분은 아마도 수소(水素)가 될 것이다.

수소는 물의 원소(元素)이고 임수(壬水)라고 하는 물 수(水)를 만족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여기에서는 기체라고 할 것이 아니고, 수소(水素)라고 해야 하겠는데, 그렇게 되면 계속해서 의문이 꼬리를 물게 된다. 즉‘그렇다면 질소(窒素)와 산소(酸素)는 또 어떻게 할 것이냐고 하는 생각이 뒤를 물고 일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대입은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다시 생각을 고치게 되면 공기의 원소들을 전부 모아서 기체라고 해야 할 것이라는 결론을 유추한다.

다시 정리를 하면, 공기를 기체라고 하고 임수는 공기와 같은 것으로 봐야 하겠다. 그리고 이 공기는 무토(戊土)의 장에서 논하게 될 인력(引力)의 범위 안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기체가 활동하는 것은 나중에 십성(十星)을 이해하게 되면 알 수가 있겠지만 다양한 궁리(窮理)를 모색하는 방향으로 응용이 된다는 것도 알 게 된다. 그래서 임수(壬水)는 구석구석 스며들지 않는 곳이 없으면서 인력(引力)의 지배 안에서 수(水)의 양(陽)에 대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을 하게 된다.

 

【滴天髓-壬水論】

임수통하(壬水通河)하고 능설금기(能洩金氣)하니,

강중지덕(剛中之德)이며 주류불체(周流不滯)니라.

통근투계(通根透癸)하면 충천분지(冲天奔地)하고,

화즉유정(化則有情)이요 종즉상제(從則相濟)니라.

 

【뜻풀이】

임수(壬水)는 은하계(銀河系)에 통하고,

능히 금의 기운을 설기하기도 하니

강한 성분이면서도 유통시키는 덕을 품고

두루두루 흘러서 막힘이 없다.

지지에 통근하고 계수가 나타나면

하늘과 땅을 휩쓸고 다니고

조화(造化)를 이루면 유정(有情)하게 되며

흐름을 따르게 되면 함께 이루는 공이 된다.

 

【풀이】

‘임수(壬水)는 은하계와 통한다.’고 해석을 해보게 된다. 황하(黃河)로 통한다고 하기에는 너무 유치하여 납득이 되지 않는 연고이다. 그리고 임수(壬水)의 공기(空氣)는 능히 지구를 감싸고 있으니 그렇게 봐도 아무런 문제가 없겠다. 지표를 벗어날수록 임수(壬水)가 작용하는 구역이 되기 때문이며, 그 냉기가 어디까지라도 통한다는 것은 타당성이 있어 보인다. 그래서 은하계와 통한다고 해석한다.

‘능히 금기를 설 한다’는 말은 금의 한기(寒氣)를 받아서 냉기(冷氣)가 강화되기 때문이다. 사실 한기와 냉기는 간발의 차이일 수도 있으니 금기운의 성분과 흡사하다고 이해를 해도 무방하다. 금기(金氣)는 경금(庚金)을 말하는데, 경금의 숙살지기를 이어받아서 만물이 얼어붙는 냉기(冷氣)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 임수이다. 바위에서 물이 나온다고 하는 관점으로도 이해를 할 수가 있지만 이것은 관찰을 하는 것만으로도 올바른 대입이라고 하기 어렵다. 그래서 정확한 원리를 추구하게 되면 경금과 임수는 물질적(物質的)인 차원이라기보다는 기질적(氣質的)으로 봐야 한다는 것으로 방향을 잡게 된다.

‘주류불체(周流不滯)’는 두루두루 흘러서 막힘이 없음을 말하게 되는데, 만약 임수(壬水)를 물로 본다면, 조그만 둑을 만나도 멈춰야 하고, 산을 만나서는 도저히 앞으로 나아갈 방법이 없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우리가 이렇게 하는 말은 좀 어색할 것임을 생각하게 된다. 그렇지만 수기(水氣)라는 말로 대입을 하게 되면 수기는 어디에도 있으니 막힘이 없게 되며, 이것은 토(土)로도 막을 수가 없으며 화(火)로도 막을 수가 없는 수기의 특성이라고 하게 된다. 이 정도는 되어야 주류불체라고 하겠으니 어디에든 임수의 기운이 있음으로 해서 계수(癸水)가 그 기운을 따라서 분포가 되는 것으로 본다.

‘통근(通根)하는 곳’은 해자(亥子)가 되겠고, 투계(透癸)는 천간(天干)에 계수가 있음을 말하는 것이니 사주에서의 상황을 비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게 된다. 즉 수기(水氣)가 강력한데 물까지 있는 경우라고 이해를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충천분지(沖天奔地)는 하늘을 치고 땅을 휩쓴다는 의미로서 수기의 세력이 이렇게 대단하다는 의미가 된다.

그런데 정화(丁火)의 열기(熱氣)기를 만나서 조화(造化)를 이루게 되면 유정(有情)하다고 하는 것은 만물이 비로소 여기에서 소생하기 때문이다. 혹 정임(丁壬)이 합화(合化)한다는 관점으로 이해를 하는 것은 또 오류를 발생시킬 위험이 있으니 이렇게 대입하지 않는다. 열과 냉기가 서로 합을 이뤄서 만물을 생조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해를 하게 되는데, 만약 물의 계수(癸水)와 열의 정화(丁火)가 만나게 된다면 아무래도 유정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봐야 하겠고, 빛을 의미하는 병화(丙火)도 임수를 만나게 되면 조화를 이루기보다는 빛이 차단되어버리는 것으로 대입을 한다. 즉 임수(壬水)는 병화(丙火)의 빛을 흩어버리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봐도 된다. 다만 정화(丁火)의 열을 만나야만 냉혹한 임수(壬水)가 부드럽게 되어서 만물을 생조하는 씨앗으로 변화를 할 수가 있음을 생각하게 된다.

그렇다면 종(從)은 뭘 의미하는 것인가. 그냥 토를 따라 종하게 된다고 이해를 해도 무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심을 하게 된다. 상제(相濟)라고 하는 것은 서로를 함께 가지런히 한다고 하겠으니 여전히 수화(水火)의 소식이라고 봐야 하겠다. 그러니까 세력을 비교해서 종재(從財)를 하게 되면 좋다는 것은 난센스이지만, 그러한 의미 보다는 열기(熱氣)가 많으면 그 열기 즉 정화(丁火)를 따르게 되어서〔從〕공중에서 습기를 유지시켜 주게 되니, 금(金)은 부서지지 않고, 토(土)는 갈라터지지 않으며, 목(木)은 말라 죽지 않게 되니 모두가 구제를 받게 된다는 것으로 이해를 해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心理的인 해석-연구(硏究)와 궁리(窮理)】

임수의 심리적인 구조는 연구하는 성분과 궁리하는 성분으로 대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것은 매우 적극적(積極的)인 형태가 되는데, 한 가지 방향으로 연구를 시작하게 되면 그 나머지는 모두 의미가 없어지는 결과가 되기도 한다. 즉 연구에 몰두하게 되면, 가정에 무슨 일이 생기는지도 모르고 연구실 밖에 전쟁이 일어나는지도 모르고 연구에 몰두하고 궁리에 빠져들게 되는 것이다.

연구는 구체적인 정리가 되고 궁리는 추상적인 공상을 전개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겠는데, 이렇게 많은 궁리를 하는 가운데 그럴싸한 것을 발견하게 되면 달려들어서 연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단 시작이 되면 다른 것은 의미가 없어지고 오로지 연구하는 목표로만 매진을 하게 되는 것도 특성이 된다. 그러다가 방향을 잘 잡아서 목적지에 도달하게 되면 새로운 발명을 하게 되고, 방향을 잘 못 잡으면 헛된 시간을 낭비하게 되지만 그것을 실패라고 생각하지 않고 시행착오라고 생각하면서 다시 엎어진 자리에서 방향을 잡고 이어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성분을 십성(十星)에서는‘식신(食神)’이라고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