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日干의 病藥用神

작성일
2007-09-11 18:56
조회
11317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日干이다. 일간은 그 사람의 주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간이 병들게 된다면 이것은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을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과연 일간의 병은 무엇을 두고 하는 말일까? 예로부터 동양의학에서는 질병의 원인을 태과(太過)나 불급(不及)에 두고 있었던 것 같다. 여기에서 ‘같다’고 말하는 것은 원래가 동양의학이 낭월이의 전공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저런 문헌을 볼 적에 느끼는 것은 무엇이던지 지나치거나 부족하게 되면 그곳에서 병이 발생한다고 본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인데, 이러한 생각이 올바른 것인지는 자신이 없다.




1) 太過와 不及




그렇다면 태과는 무엇을 일컫는 말인가? 글자의 의미로 봐서는 ‘지나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나치다’는 것은 넘친다는 의미가 될 것이고, 넘친다는 것을 사주에다가 대입시킨다면 어떤 五行이 편중되게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가령 사주에서 어느 한가지 오행이 4~5자가 된다고 하면 이 오행은 분명히 편중되어있는 것이라고 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지나친 오행이 바로 병이 되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겠다. 이것은 太過에 해당하는 것이다.









          ①

 時 日 月 年

 辛 壬 丙 辛

 亥 申 申 酉


          ②

 時 日 月 年

 戊 辛 戊 己

 戌 亥 辰 丑


          ③

 時 日 月 年

 癸 己 庚 戊

 酉 酉 申 辰


          ④

 時 日 月 年

 己 丙 甲 戊

 丑 午 午 戌








(1)번의 사주를 살펴보자. 壬水가 申月의 印星이 왕한 계절에 출생했다. 그런데 주변을 살펴보면 年柱는 辛酉이고, 日支에도 申金, 時干에서는 다시 辛金이 버티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금이 너무 많은 형상이 되면 身强하다는 것으로 말하기에는 뭔가 찜찜한 형상이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는 일간이 병이 들었다고 말할 만하다고 본다. 즉 금이 너무 태왕해서 물이 흘러갈 방향을 찾지 못하고 있는 형상이라고 할 수가 있겠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단지 억부법으로만 생각을 할 경우에도 용신은 왕한 금을 극하는 火가 되겠지만, 이 경우에는 일단 일간의 상태가 너무 심각한 것으로 간주하고서 病藥用神의 이론을 대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병약용신이라고 해서 특별한 것은 아니고, 다만 억부의 이론이 대입이 되는데, 정도가 좀 심하게 되면 병약이론을 대입시키는 것이라고 보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사실은 병약용신법은 생각을 하지 않아도 되겠고, 그 이치만 파악하고 있으면 될 것으로 본다. 결국 억부의 이론에 흡수를 할 참이라는 의미가 포함된다. 별도로 병약용신법을 등장시키지 않더라도 큰 지장은 없다고 생각되어서이다. 사실 하나라도 줄일 것이 있으면 줄여야 한다고 본다. 자꾸 늘여 벌려서 혼란만 가중시키는 것은 결코 命理學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에 항상 잘라낼 것이 무엇인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살피고 있는 낭월이다.




(2)번의 사주를 보면, 辰月의 辛金인데, 역시 주변에는 6土가 버티고 있다. 이렇게 되면 辛金은 묻히고 만다는 이야기를 하게된다. 그래서 어서 빨리 흙을 걷어내야 한다고 서둘게 되는데, 토를 걷어내는 것은 木의 몫이다. 그런데 목이 없다. 이렇게 되면 참으로 난리가 나는 것이라고 해야 할 참이다. 그래서 약이 없는 사주라고 해야 하겠고, 그래선지 몰라도, 이 사주의 주인공은 요절(夭折)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우선 급한 대로 水를 쓰기는 했지만, 결국 木이 와줘야 제 기능을 발휘하는 약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약은 木에 있다고 하는 이야기를 하게 된다. 이러한 사주는 병약의 이론이 해당되는 예라고 하겠다. 그리고 의학적으로 따져본다면 (1), (2)의 사주는 모두 너무 강한 것이 병이므로 ‘실증(實證)’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3)번은 또 어떤가? 이번에는 金이 너무 많은 상태에 있는 己土일주이다. 그렇다면 4金1水가 병이라고 할 수가 있겠다. 금이 많아서 허약해진 것이 병이라고 한다면 금을 극하는 火가 약이 된다. 일반적으로 병을 다스리는 것은 극하는 글자가 맡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병의 기운을 설하는 것으로 약을 삼기도 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이다. 이렇게 처리하는 것은 쇠약한 환자에게 보약과 치료약을 섞어 먹이는 것과도 같다고 하겠다. 그리고 암 환자에게 항암치료를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즉 치료를 하기보다는 우선 지연작전을 쓰는 셈이다. 이것은 올바른 치료법이라고 하기가 어렵다. 일단 치료를 하려면 병균을 잡고 나서 보신(補身) 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라고 하겠다. 그래서 사주에서도 병이 있다고 간주하면 약은 거의 그 병을 극하는 글자가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것을 보면, 사주의 이치도 일반적인 세상의 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일간이 허약하게 되어서 문제라고 할 수가 있으므로 의학에서 말하는 ‘허증(虛症)’에 해당한다고 보면 되겠다.




(4)번도 살펴보자. 甲午월 丙午일주이다. 한마디로 木火의 세력이 대단하다고 해야 하겠다. 年柱의 戊戌은 얼핏 생각하기에는 토이기 때문에 불기운을 설해줄 것으로 생각되지만, 조금만 주의 깊게 살펴본다면 어림도 없는 이야기이다. 戌土는 이미 午戌로 火局의 형태를 띠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되면 불기운을 흡수하기는 고사하고 오히려 더욱 맹렬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만 하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이 丙火는 매우 열기가 넘친다는 이야기를 하게 된다. 그렇다면 처방은 어떻게 내려야 할 것인가? 일단 불기운을 빼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물이 있으면 적격이다. 그러나 이 사주에서는 이미 토기운이 상당히 강하다. 어설픈 물은 명함도 내밀지 못할 상황이라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차선책을 강구하게 되는데, 그 대상은 火生土로 막힌 기운을 흘려보내는 작전이 되겠다.

기가 정체되면 우선 누르는 방법을 써보고, 먹혀들지 않으면 유통시키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는 것이 유능한 의원이 할 일이다. 무턱대고 끝까지 물만을 찾는 의사는 아무래도 자연의 오묘한 섭리를 제대로 이해하기 못하고 있는 사람이다. 이 사주처럼 時柱가 己丑이라면 더 이상 다른 방법을 찾을 필요도 없다. 이미 불기운은 기축으로 흘러들어서 사주 내에서 상당한 활기를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사주의 병은 불이지만, 약은 수가 아닌 토가 되어있다. 이러한 경우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 방향으로 너무 지나치게 집착을 하지 않게 된다.




※ 抑扶法과의 비교




일단 病藥法을 대입시켜서 설명을 했지만, 이것을 다시 억부법으로 놓고 관찰해보면 그대로 대입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신왕한 丙火가 극하는 水가 없으므로 설하는 食傷을 용신으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나올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이것을 보면서 병약이론은 그대로 억부이론에 흡수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 예를 든 3개의 명조 경우도 역시 마찬가지라고 하는 것을 볼 적에, 이 병약이론은 억부이론에 흡수된다고 해도 어색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이다.

그래서 용신공식으로 등장한 다섯 가지(抑扶, 調候, 病藥, 通關, 專旺) 중에서 억부에다가 흡수를 시킬 참이다. 그리고 병약이라고 하는 용어만 그대로 둔다. 상황에 따라서 병약으로 설명을 해야 할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것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제로는 억부의 이론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라는 점을 말씀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