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羊刃格

작성일
2007-09-11 21:03
조회
5033

양인은 일명 陽刃이라고도 부른다. 甲丙戊庚壬의 日干이 月支에 子午卯酉를 만나면 이것을 일러서 양인이라고 하는데, 甲木 일간이 卯月에 나는 경우나 丙火 일간이 午月에 나는 경우 등을 일러서 양인이라고 말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乙丁己辛癸의 음일간은 해당이 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아 둬야 한다. 그리고 일종의 神殺로 취급을 하기도 한다.







時 日 月 年

戊 甲 己 庚

辰 寅 卯 申



[解釋] 이 사주는 甲日이 卯가 양인이 되고 庚金은 七殺이 되어서 甲木을 상해한다. 그러나 卯中의 乙木이 庚金과 합이 되어서 有情하게 되었으므로 殺이 甲木을 상하지 않는 이유는 乙木을 庚金의 처로 삼아서 결속한 때문이다. 身旺한데 南方으로 行하였으니 이 사주가 貴하게 된 것이다.


(풀이) 앞의 해석을 보면 양인이 용신이라는 이야기가 된다. 殺刃相停格과 같은 형상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목운이 좋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또 결과는 남방에서 귀하게 되었다고 말하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앞뒤가 맞지 않는 설명이라고 생각이 된다. 남방에 귀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아마도 食神制殺格의 형태로 본 것일 수도 있겠다. 이 사주를 본다면 신왕한 형상은 틀림없다고 보겠다. 토가 많기는 하지만, 그 토는 무력한 형상이어서 크게 마음을 쓸 필요가 없다고 보자. 그렇다면 극하거나 설하는 것이 용신인데, 봄철에는 금을 쓰지 못하는 것이 일반론이다. 물론 적천수의 이론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불을 쓰는 것이 자연이치에도 부합이 되는 것이다. 즉 春木向陽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식상이 용신이 되는 것이고 금은 한신이 된다. 그래서 남방운에서 발하게 되었다는 생각을 해본다. 즉 이 사주는 食神生財格의 구조에서 식신이 암장되어 있다가 남방운을 맞아서 투출이 됨으로써 원하는 바를 이루게 되었다고 보면 되겠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의문도 약간 발생하게 된다. 이 사주에서는 불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투출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일반적이라면 금을 용신으로 삼게 될 가능성이 많다고 보겠다. 혹 時柱가 한시간 당겨서 丁卯시가 된다면 또 모르겠지만, 이 상황에서는 아무래도 짱짱한 庚申이 버티고 있는 상황에서 그대로 양인이 들어와야 발한다는 것은 납득이 되지 않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혹 이런 경우에는 양인격이라고 하는 것이 성립하는 이론이 될런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얼핏 든다.

이렇게 이론의 여지가 있는 경우에는 한마디로 단언을 하기가 좀 그렇다. 그래서 다른 자료를 하나 더 보면서 구체적으로 납득이 되도록 살펴봐야 할 것 같아서 일단 추가로 다음 사주를 보자.







時 日 月 年

甲 戊 戊 戊

寅 午 午 午



[解釋]이 사주는 양인을 갖추고 있으며 오화를 용신으로 삼아서 貴命이 되었다. 印綬인 午火를 취해서 從强으로 되는데, 己未 대운은 旺火를 설하게 되어 大吉하고 壬癸亥 대운은 旺火를 충하지만 甲寅이 있어서 유통이 되고, 官運에 발달하며 子水 대운은 午火 용신을 충하므로 사망하였을 것이다.


(풀이) 사실 이 사주는 기본적으로 문제가 있어보인다. 양인격인 것은 분명한데, 오행의 배합을 살펴볼 적에 너무 조열한 것이 흠이라고 봐야 하겠다. 이렇게 조열한 상황은 아무래도 결함이 있는 사주인데, 從强이라고 하니까 오술의 작용으로 불로 변한 것인 모양이다. 그렇다면 양인격에 우선해서 전반적으로 사주의 구조를 먼저 본다는 의미가 될까? 아마도 그런 기분이 드는 원국에 대한 설명이다. 그런데 이 사주를 종강으로 보고 화를 용신으로 삼았다는 연해자평의 이론에 약간 다른 의미를 부여한 자료가 있어서 소개한다. 출처는 적천수징의 214쪽에 나온 동일한 사주이다.


[解釋] 이 사주는 戊午를 셋이나 만났다. 시에 殺이 있어서 비록 寅木에 앉아 있지만, 국 중에 물이 없고, 火土가 燥熱하므로 신하가 왕성하고 임금이 쇠약한 상황이다. 또 寅午가 합이 되므로써 목은 불의 세력으로 화해 버리니 도리어 日主를 생하는 꼴이다. 그러니 비록 君(官殺)의 은혜가 있다고 하지만 일주의 의향은 도리어 갑목의 생각을 위반하게 된다. 운이 西方 金地로 갈적에 공명이 빛났지만 너무 사사로이 생각을 하였고, 임금의 은혜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운이 북방으로 흐르자 또 君의 子(午火)를 극하였으므로 일을 잘못하여 일터에서 떨어졌다.


이렇게 해석이 되어있다. 이 말은 이미 종강이 되었으므로 금운에서는 식상으로 설하기 때문에 발복했다는 말이 반드시 들어있다. 그리고 앞에서의 설명처럼 水運에서는 종강을 한 사주에서 왕화를 건드리게 됨으로써 잘못된 운이므로 죽었던 모양인데, 이런 경우에 火生土의 세력이 대단하므로 토생금으로 해서 금운에 발하게 된다는 설명은 추가를 해도 되겠다. 그러나 목이 용신이 되는 것은 아닌 모양이다. 용신이 화가 되더라도 물론 금이 나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런저런 작용을 볼 적에, 이 사주는 종강격이라고 하는 의미는 통하지만, 여기에서 양인격이라서 어떻게 봐야 하겠다는 의미는 없는 듯 싶다. 그리고 종강격은 종강으로 논하면 그뿐이다. 여기에 다시 양인격이라고 하는 이름을 등장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은 분명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