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국(2)
【滴天髓原文】
局混方兮有純疵. 行運喜南還喜北.
국혼방혜유순자. 행운희남환희북.
【滴天髓徵義原文】
地支有三位相合成局者. 皆取生旺墓一氣始終也.(見上) 柱中遇三支合勢. 吉凶之力較大. 亦有取二支者. 然以旺支爲主. 或亥卯, 或卯未, 皆可取. 亥未次之. 凡會忌冲. 如亥卯未木局. 雜一酉丑字於其中. 而又與所冲之神緊貼. 是爲破局. 雖冲字雜於其中, 而不緊貼. 或冲字處於其外而緊貼. 則會局與損局兼論. 其二支會局者. 以相貼爲妙. 逢冲卽破. 他字間之. 亦遙隔無力. 須天干領出可用. 至於局混方有純疵之說. 與方要得方莫混局相似. 究其理亦無所害. 見寅字是謂同氣. 見辰字是謂餘氣. 又是東方溼土. 能生助木神. 又何損累耶. 行運南北之分. 須看局中意向爲是. 如木局, 日主是甲乙. 四柱純木. 不雜別字. 運行南方. 謂秀氣流行. 則純. 運行北方. 謂之生助强神. 無疵. 或干支有火吐秀. 運行南方. 名利裕如. 運行北方. 凶災立見. 木論如此. 餘可類推.
지지유삼위상합성국자. 개취생왕묘일기시종야.(견상) 주중우삼지합세. 길흉지력교대. 역유취이지자. 연이왕지위주. 혹해묘, 혹묘미, 개가취. 해미차지. 범회기충. 여해묘미목국. 잡일유축자어기중. 이우여소충지신긴첩. 시위파국. 수충자잡어기중, 이부긴첩. 혹충자처어기외이긴첩. 즉회국여손국겸론. 기이지회국자. 이상첩위묘. 봉충즉파. 타자간지. 역요격무력. 수천간영출가용. 지어국혼방유순자지설. 여방요득방막혼국상사. 구기리역무소해. 견인자시위동기. 견진자시위여기. 우시동방습토. 능생조목신. 우하손누야. 행운남북지분. 수간국중의향위시. 여목국, 일주시갑을. 사주순목. 부잡별자. 운행남방. 위수기류행. 즉순. 운행북방. 위지생조강신. 무자. 혹간지유화토수. 운행남방. 명리유여. 운행북방. 흉재입견. 목론여차. 여가류추.
‘국이 방과 섞여도 허물이 되는데 운에서는 남쪽이 반갑기도 하고 북쪽이 오히려 좋기도 하다.’
“지지에 삼위가 있어 서로 합하면 국이 되는데 모두 생왕묘의 구색을 갖춰서 하나의 기가 시작과 끝이 있다.(위를 참고) 주중에서 세 개의 지지가 서로 합세하면 길흉의 힘이 비교적 강하게 나타나는데, 또한 두 개의 지지를 취하기도 하지만 그러나 중요한 것은 왕지(子午卯酉)를 위주로 하게 되니 혹 亥卯거나 卯未의 형태가 되는 것이다. 다만 亥未의 경우에는 떨어지는데, 대저 충은 꺼린다고 알고 있지만 亥卯未의 木局이 되어있는 상황에서 酉金이나 丑土가 그 사이에 섞여 있거나 또 왕지를 바짝 붙어서 충하거나 하면 국이 깨어지게 된다.
비록 충하는 글자가 그 중간에 섞여 있다고 하더라도 왕지와 바짝 붙어 있지 않는다면 합이 된 것으로도 보고 또 손상되었다고 겸해서 보면 된다. 그 두 개의 지지가 모여서 서로 붙어있으면 묘한데, 충을 만나면 깨어지는 것이다. 물론 그 사이에 다른 글자가 끼여 있다면 또한 멀리 떨어지게 되어서 합은 무력하다. 모름지기 천간에 나와야 쓸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국과 방이 서로 섞여 있음으로 해서 허물이 된다는 말은 방은 방으로 존재해야 한다는 말이고 국과 섞이면 안 된다는 말과 같은데, 연구해보면 그 이치는 별로 해로울 것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니까 寅木이 (亥卯未와 같이) 있다면 같은 동기가 되고, 辰土를 만나면 또한 여기가 되는 셈이며 동방의 습토에 해당하기도 하니, 능히 목의 기운을 도울 것인데 어째서 허물이 되겠느냐는 말이다. 그리고 행운에서의 남북으로 나누는 것은 모름지기 사주의 구조를 봐서 결정을 해야 옳다고 하겠다.
가령 목국에서 일주가 甲乙일 경우에 사주에서는 전부 목이고 다른 글자가 섞여 있지 않다면 운은 남방으로 가면 기운이 빼어나게 되니 순수한 흐름이고, 운이 북방으로 간다면 왕신을 생조하는 구조이니 허물이 없다고 할 것이다. 혹 간지에 이미 火가 있다면 남방 운에서는 명리가 넉넉하겠지만, 북방운으로 간다면 그 흉함을 그 자리에서 보게 될 것이니 목을 이와 같이 설명하는 것으로 미뤄서 다른 일간도 미뤄서 짐작하시면 되겠다.”
【강의】
방국에 대해서 상당히 상세하게 설명을 하셔서 낭월이는 드릴 말씀이 없으니 이쯤에서 생략을 해도 되겠다.
癸 乙 乙 甲
未 卯 亥 寅
癸壬辛庚己戊丁丙
未午巳辰卯寅丑子
此木局全. 混一寅字. 然四柱無金. 其勢從强. 深得一方秀氣. 少年科第. 推庚辰辛巳運. 雖有癸水之化. 仍不免刑喪起倒. 仕路蹭蹬. 至六旬外. 運走壬午癸未. 有縣令而遷司馬. 履黃堂而升觀察. 直如揚帆大海. 誰能禦之.由此觀之. 從强之木局. 東南北皆利. 惟忌西方金運剋破也.
차목국전. 혼일인자. 연사주무금. 기세종강. 심득일방수기. 소년과제. 추경진신사운. 수유계수지화. 잉불면형상기도. 사로층등. 지육순외. 운주임오계미. 유현령이천사마. 이황당이승관찰. 직여양범대해. 수능어지.유차관지. 종강지목국. 동남북개리. 유기서방금운극파야.
“이 사주는 목국이 완전한 상태에서 寅木이 섞여있다. 그리고 사주에 금이 전혀 없는데, 그 세력을 보면 종강격의 형태라고 하겠다. 이미 한 방향의 빼어난 기운이 강하니 소년으로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다만 庚辰 辛巳의 운이 있었는데 계수가 유통을 시켜줬음에도 오히려 고통을 받고 벼슬길도 순탄하지 못했는데, 대운이 60년을 넘어서 운이 壬午 癸未로 흘러가자 현령으로 시작을 해서 사마 벼슬로 옮겼다. 그리고 이어서 황당을 거쳐서 관찰사까지 도달했다. 곧바로 큰 돗을 달고 대해로 나아간 셈이니 누가 능히 이를 막으랴. 이로 미루어서 보건데 종강의 목국이 되었다면 동남의 운이 모두 좋다고 하겠고, 오로지 서방의 금운이 불리한 것은 목국을 극파하기 때문이다.”
【강의】
이미 해월의 종강격이라고 한다면 더 이상 말이 필요 없다고 하겠는데, 실은 未土 속에 들어있는 丁火를 용신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봐야 하겠다. 아마도 늦게 발달한 것도 어쩌면 이렇게 용신이 時支에 암장되어 있는 까닭이었다고 해도 말이 되겠는데, 목이 용신이었다고 한다면 의문이 남는 것은 초중의 운에서 寅卯의 목운이 있었는데, 전혀 힘을 받지 못한 이유가 명확하지 않은 까닭이다. 그래서 낭월이 생각으로는 시지의 미토 속에 있는 정화를 용신으로 하고 희신은 토로 정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추가로 드리고 싶은 말씀은 ‘여하튼 용신은 원국에서 찾도록 해보자’는 것이다. 더구나 그렇게 해서 말이 된다면 꺼릴 이유는 전혀 없는 것이다. 철초님이 슬거머니(!) 넘어간 부분도 보이기만 하면 뒤져봐야 하겠다.
丁 乙 丁 甲
亥 未 卯 寅
乙甲癸壬辛庚己戊
亥戌酉申未午巳辰
此亦木局全. 混一寅字. 取丁火傷官秀氣. 非前造從强論也. 至巳運. 丁火臨官. 登科發甲. 庚午辛未. 南方金敗之地. 不傷體用. 仕途平坦. 壬申木火皆傷. 破局. 死於軍中. 前則從强. 南北皆利. 此則木火西北有害. 由此兩造觀之. 局混方之無礙也.
차역목국전. 혼일인자. 취정화상관수기. 비전조종강론야. 지사운. 정화임관. 등과발갑. 경오신미. 남방금패지지. 불상체용. 사도평탄. 임신목화개상. 파국. 사어군중. 전즉종강. 남북개리. 차즉목화서북유해. 유차양조관지. 국혼방지무애야.
“이 사주도 또한 목국이 완전하고 寅자가 섞여 있는 구조이다. 정화의 수기를 용신으로 심으니 앞의 사주처럼 종강격으로 논하지 않는다. 巳火 대운이 되자 정화가 관으로 임해서 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했는데, 庚午와 辛未의 운은 (地支가) 남방이어서 금이 죽는 곳이니 일간과 용신이 손상을 받지 않아서 벼슬 길이 평탄했다. 壬申대운에는 목화가 모두 손상되어 파국으로 나타나는데, 그래서 군중에서 전사했다. 앞의 사주는 종강이므로 남북의 운이 모두 길했다고 한다면 이 사주는 木火로 되어 있는 사주이다 보니까 西北의 金水운은 해로움이 되는 것이다. 이로써 두 사주를 보건데 국과 방의 혼잡은 아무런 거리낌이 없는 것이 분명하다.”
【강의】
설명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앞의 사주는 수운을 봐도 원국에 식상이 투출되지 않아서 별 문제가 없었을 뿐이라고 한다면 구태여 종강격이어서 그렇다고 할 필요는 없다고 보겠다. 그러니까 중요한 것은 사주에서 어떤 구조가 되어있느냐에 의해서 인성의 운이 무난하기도 하고, 또 불리하기도 하다는 것으로 생각을 하면 되겠다. 그리고 앞의 사주에서도 그냥 壬申 癸酉의 대운이 왔더라면 이 사람보다는 덜 했겠지만 역시 부담이 되기는 마찬가지였을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滴天髓原文】
若然方局一齊來. 須是干頭無反覆.
약연방국일제래. 수시간두무반복.
【滴天髓徵義原文】
方局齊來者. 承上文方混局, 局混方, 之謂也. 如寅卯辰兼亥未. 亥卯未兼寅辰. 巳午未兼寅戌. 寅午戌兼巳未. 申酉戌兼巳丑. 巳酉丑兼申戌. 亥子丑兼申辰. 申子辰兼丑亥, 之類是也. 干頭無反覆者. 方局齊來. 其氣旺盛. 天干順其氣勢爲妙. 若日主是木. 地支寅卯辰, 而再見亥未. 或地支亥卯未, 而再逢寅辰. 旺之極矣. 非金所能剋也. 須要天干有火. 洩其菁英. 不見金水. 則干頭無反覆. 然後行土運. 乃爲全順得序而不悖矣. 如天干無火而有水. 謂之從强. 行水運, 順其旺神, 最美. 行金運, 金生水, 水仍生木, 逢凶有解. 苟有火而見水. 或無火而見金. 此謂干頭反覆. 如得運程安頓. 遇土則可止其亦水. 遇火則可去其微金. 亦不失爲吉耶. 如日干是土. 別干得火. 相生之誼. 亦不反覆. 見金以寡敵衆. 見水生助强神. 則反覆矣. 所以制之以威. 不若化之以德. 則其流行全順矣. 餘倣此.
방국제래자. 승상문방혼국, 국혼방, 지위야. 여인묘진겸해미. 해묘미겸인진. 사오미겸인술. 인오술겸사미. 신유술겸사축. 사유축겸신술. 해자축겸신진. 신자진겸축해, 지류시야. 간두무반복자. 방국제래. 기기왕성. 천간순기기세위묘. 약일주시목. 지지인묘진, 이재견해미. 혹지지해묘미, 이재봉인진. 왕지극의. 비금소능극야. 수요천간유화. 설기청영. 불견금수. 즉간두무반복. 연후행토운. 내위전순득서이불패의. 여천간무화이유수. 위지종강. 행수운, 순기왕신, 최미. 행금운, 금생수, 수잉생목, 봉흉유해. 구유화이견수. 혹무화이견금. 차위간두반복. 여득운정안돈. 우토즉가지기역수. 우화즉가거기미금. 역부실위길야. 여일간시토. 별간득화. 상생지의. 역부반복. 견금이과적중. 견수생조강신. 즉반복의. 소이제지이위. 불약화지이덕. 즉기류행전순의. 여방차.
‘만약 방과 국이 함께 온다면, 모름지기 천간에서 반복됨이 없어야 한다.’
“方局이 함께 온다는 것은 앞의 글에서 말하는 방국 혼잡의 말에서 이어지는 말이다. 예를 들면
寅卯辰에 亥未가 함께 있는 경우거나,
亥卯未에 寅辰이 함께 있는 경우이며.
巳午未에 寅戌이 함께 있는 경우거나,
寅午戌에 巳未가 함께 있는 경우이며.
申酉戌에 巳丑이 함께 있는 경우거나,
巳酉丑에 申戌이 함께 하는 경우이며.
亥子丑에 申辰이 함께 있는 경우거나,
申子辰에 亥丑이 함께 있는 경우이다.
‘간두에 반복이 없어야 한다’는 말은 방과 국이 함께 왔을 경우 그 기세가 극히 왕성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천간에서 그 기세에 따라 줘야 묘함이 되는 것이다. 만약 日干이 목일 경우에 지지에는 다시 寅卯辰이 있고 겸해서 亥未까지 있는 경우이거나, 또는 지지에 亥卯未가 있는 상태에서 다시 寅辰이 축되어 있는 경우이니 극히 왕한 상태가 되니, 이런 경우가 되면 금으로써는 극을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모름지기 천간에는 丙丁화가 있어서 목의 왕성한 기운을 설해줘야 아름답고, 金水의 성분은 보이지 않아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간두(干頭)에 반복이 없는 경우라고 하겠다. 그 다음에 다시 운에서 토운을 만난다면 완전하게 순탄한 흐름이 되어서 어그러짐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
가령 천간에 火가 없고 水가 있는 경우라고 한다면 이때는 종강이 되는 상황이어서 수운으로 갈 적에는 강한 목의 기운을 따르는 셈이어서 가장 아름다운데 금운으로 가더라도 金生水의 이치가 발생하므로 수는 다시 목을 생해서 흉을 만났지만 해소가 된다고 하는 것이다. 다만 원국에 화가 있는 상황에서 수운을 만나게 되거나, 혹은 화가 없는 상황에서 금을 보거나 하면 이것이 바로 간두반복(干頭反復)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래도 운에서 안정이 된다면 문제는 없는데, 토를 만나서 거역하는 물을 제어한다든지, 또 화를 만나서 미약한 금을 제거한다면 상생의 의미가 발생하게 되니 또한 반복이 아니라고 하겠으므로 다시 길한 상황을 잃지 않았다고 해석을 하게 된다.
또 일간이 土일 경우에 달리 천간에 火가 있다면 또한 상생의 의미가 되므로 또한 반복이 아닌데 금을 본다면 무력한 금이 될 것이고, 수를 보면 다시 왕한 목을 생조하게 되니 또한 반복이 되는 것이다. 어거지로 제어를 하는 것은 덕으로 化하는 것만 못하게 되니 흐름으로 따라는 것이 좋은 것이다. 나머지도 이렇게 판단을 하면 되겠다.”
【강의】
여하튼 뜻은 이해가 되는데, 요약을 하면 반복이라고 하는 어려운 말을 사용했을 뿐이지 실제로 의미하는 바는 ‘木이 극히 왕하므로 극하는 金이 천간에 없어야 하겠다는 것이 요지가 되겠고, 목이 화를 봤을 경우에는 다시 천간에서 水가 없어야 하겠다는 정도로 이해를 하면 충분하리라고 본다. 그리고 끝 부분에서 일간이 토일 경우에 대한 설명도 있는데, 원리는 모두 같은 것으로 이해를 하면 되겠다.
癸 乙 丁 甲
未 亥 卯 寅
乙甲癸壬辛庚己戊
亥戌酉申未午巳辰
此方局齊來. 月干丁火獨透. 發洩菁英. 何其妙也. 惜乎時干癸水透露. 通根亥支. 緊傷丁火秀氣. 謂干頭反覆. 所以一衿尙不能博. 貧乏無子. 設使癸水換一火土. 名利皆遂矣
차방국제래. 월간정화독투. 발설청영. 하기묘야. 석호시간계수투로. 통근해지. 긴상정화수기. 위간두반복. 소이일금상불능박. 빈핍무자. 설사계수환일화토. 명리개수의
“이 사주는 방국이 함께 왔다. 월간의 정화가 홀로 투출이 되어서 빼어난 기운을 설하니 어찌 묘하지 않은가. 아까운 것은 계수까지 투출이 된 것인데 亥水에 통근까지 되어서 丁火를 바짝 붙어서 극하니 이른바 간두반복이 된 셈이다. 그래서 작은 벼슬은 했지만 넓히지를 못했고, 자식도 없었으며 가난했다. 가령 계수를 하나의 火土로 바꿀 수만 있었다면 명예와 이로움이 따르게 되었을 것을....”
乙 甲 甲 丁
亥 寅 辰 卯
丙丁戊己庚辛壬癸
申酉戌亥子丑寅卯
此亦方局齊來. 干頭無水. 丁火秀氣流行. 行運不甚反悖. 中鄕榜. 仕至州牧. 子多財旺. 賦性仁慈. 品行端方. 壽越八旬. 夫婦齊眉. 所謂木主仁. 仁者壽. 格名曲直仁壽者. 信斯言也. 由此觀之. 干頭反覆與全順得序者. 判若天淵也.
차역방국제래. 간두무수. 정화수기류행. 행운불심반패. 중향방. 사지주목. 자다재왕. 부성인자. 품행단방. 수월팔순. 부부제미. 소위목주인. 인자수. 격명곡직인수자. 신사언야. 유차관지. 간두반복여전순득서자. 판약천연야.
“이 사주 역시 방과 국이 함께 왔다. 천간에 수가 없고 정화의 빼어난 기운이 유통되어 흐른다. 그리고 운에서도 크게 어그러짐이 없어서 향방에 합격하고 벼슬은 주목까지 도달하고 자식도 많았으며 재물도 넉넉했다. 품성은 인자했으며 행동은 절도가 있었고 수명은 팔순을 넘기고 부부가 함께 오래도록 살았으니 이른바 ‘木은 仁을 주관하고 인은 다시 수명도 늘린다’는 말은 곡직인수격에게 있어서는 믿을 만 한 말이다. 이로 보건데 천간의 반복과 순수한 흐름을 얻은 자는 천지의 큰 차이가 있는 것이다.”
【강의】
여전히 방국의 혼합이 무슨 장애가 되겠느냐는 설명을 강도 높이 이치는 목소리가 귀에 쟁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