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强도 弱도 아닌 사주라면...

작성일
2007-09-11 18:55
조회
12655

공부를 하는 사람에게 가장 큰 괴로움이 바로 이러한 사주들이다. 나름대로 공식은 세워 뒀지만, 실제로는 대단히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어쩌면 30여 만개의 모든 사주를 적어놓고 설명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욕심 많은(?) 벗님도 있을 것이다. 그러니 이것은 생략할 수밖에 없다는 것도 너무 명확한 일이기 때문에 현실성이 없다. 그렇다면 적은 자료를 통해서 많은 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데, 그 사주들 중에서는 이렇게 강하다고 할 수도 없고, 약하다고 할 수도 없는 사주들이 등장을 한다. 그때에는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해결책을 설명드린다.




처음에는 사주를 대하면서 강하지 않으면 약하다는 생각으로 접근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좀더 많은 사주를 보면서 느끼는 것은 강하지도 약하지도 않은 사주도 많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러한 경우에는 어떻게 해결을 볼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을 하신 경험이 많을 것으로 본다.

결론부터 말씀을 드린다면 일단 강하지도 약하지도 않은 사주는 그대로 두면 그만이다. 즉 명확하게 강약을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의 미세한 사주를 놓고서 과연 어느 쪽인지를 구분하려고 고민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낭월이도 처음에는 반드시 어느 방향으론가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많은 고민을 했었는데, 실제로 경험을 해가면서 생각하는 것은 억부에 구애를 받지 않을 정도로 급한 사주가 아니라면 그대로 두고서 다른 관점에서 용신을 찾으면 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적용을 하다 보니까 그렇게도 애매해서 고생을 했던 사주들의 해결책이 금새 드러나는 것이 너무도 편안하게 되었다.




1) 해결책은 ‘寒煖燥濕’




그렇다면 어느 공식을 대입하면 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하겠는데, 이 문제도 간단히 해결이 된다. 즉 ‘抑扶에 구애받지 않는 四柱는 調候로 논하라.’는 이야기를 할 참이다. 실제로 임상을 하면서 느끼는 것은 억부가 급하지 않은 사주를 놓고서 억부로 해결을 하려고 하다 보니까 왕왕 실수를 하게 되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그 해결책에 대해서 궁리를 하다가 문득 조후를 생각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결과는 대단히 만족스럽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래서 여기에 말씀을 드리거니와, 일단 이러한 사주들에 속하는 경우에는 구태여 고민을 할 것없이 그대로 조후의 관점에서 해결을 찾으면 될 것이다.




바로 ‘더우면 식혀주고 추우면 데워주고 습하면 말려주고 건조하면 적셔주는 것이 용신’이라는 이야기가 된다. 그러니까 억부와 조후의 관계를 이렇게 정리하고 나니까 대단히 일관성이 있으면서 편안한 해결책이 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니까 반드시 억부로만 해결을 보려고 하지 말라는 말씀이다. 낭월이가 이 점에 대해서 왕초보사주학에서는 언급을 못했는데, 여기에서 그 해결책을 드리게 되어서 한편은 죄송하고, 또 한편으로는 다행스럽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을 역설적으로 말한다면 우선 억부가 시급한 사주라고 한다면 한난조습은 뒤로 미뤄줘야 한다는 이야기가 되기도 한다.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억부를 생각하고 나서 다음으로 조후를 거론하면 되겠는데, 이러한 내용에 대한 언급은 이미 하건충(何建忠) 선생님이 하신 내용이기도 하다. 즉 ‘1용신은 抑扶요. 2용신은 調候요 3용신은 病藥이다.’라고 말하는데, 경험을 통해서 볼 적에, 일단 억부에 구애를 받지 않는 사주일 경우에는 조후로 대입을 시키는 것이 분명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는 입장이다.




2) 조후에도 해당되지 않으면 剋洩을 쓰자




거의 중화에 가까운 사주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 강약이 급하지 않은 사주들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한난조습에 해당하는 사주들이라고 한다면 앞의 1)번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처리를 하면 될 것이다. 그런데 한난조습에도 해당되지 않는 사주라고 한다면 과연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해보지 않을 수가 없겠다. 그러한 사주는 일단 ‘剋洩이 用神’이라고 생각을 하고서 그 중에서 月令을 잡은 사주를 용신으로 하면 무난하겠다. 즉 신왕한 사주를 다루는 관점에서 해결을 보면 되겠다는 생각이다. 그러니까 신왕한 사주의 범위가 좀더 넓어진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이것도 또한 강약만을 가리던 시절에는 생각을 하지 못했었는데, 시간이 경과되면서 별로 편중되지 않은 사주로서 약하지 않다면 극설을 사용할 수가 있겠다는 생각을 해보는 것으로 수정을 해 가는 것인가 보다. 그러니까 ‘약하지 않은 사주’는 극설을 쓸 수가 있다.는 말을 할 수가 있겠는데, 실제로 약하지 않은 사주에서 조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면 그대로 극설 중에서 월령을 잡은 글자를 용신으로 삼으면 상당히 명확해지는 경우를 많이 접하면서 이러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즉 처음에 강조했었던(왕초보사주학 등) 내용 중에서 신왕한 사주의 영역이 조금 넓어진 것으로 보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