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순(相順)

작성일
2007-09-11 13:47
조회
5932

干支의 좌우배합을 따져서 상순이 되면 서로 접착력이 더욱 좋아진다는 이야기가 등장하고 있다. 상순의 원리는 간단하다. 표를 보면서 이해를 해보도록 하자.






 丁 → 己     戊 ← 甲     庚 ← 丁     乙 ← 甲

 亥 → 丑     午 ← 寅     戌 ← 未     未 ← 午

(2급 상순)    (5급 상순)   (3급 상순)    (1급 상순)





이렇게 몇 개의 상황을 보면 금새 이해가 될 수 있는 구조들이다. 즉 간지가 나란히 오른쪽으로 전개가 되던지 왼쪽으로 전개가 되던지 상관하지 않고서 있으면 상순이라고 하는데, 가령 丁亥가 있고, 己丑이 있다고 할적에 정해 다음에는 戊子가 있고, 그 다음이 기축인데, 중간에 무자가 빠진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이렇게 서로 순서를 따른다는 의미가 있는 것 같다. 하선생님은 이것에서 뭔가 의미를 찾으려고 하셨던 것 같은데, 막상 실제로 응용을 해보면 크게 두드러지는 것은 못느끼겠다. 그러나 혹 무슨 의미가 있다면 소개를 한 인연으로 콩고물이라고 있으려나 싶어서 말씀드려본다. 일단 시도는 좋았다고 생각이 되어서 말이다.

이 상순의 등급은 가까울수록 그 작용력이 강하다고 한다. 단결이 잘 된다는 의미인 것으로 생각된다. 地支의 흐름에서 중간에 한 글자가 빠져나가면 그 글자가 있는 것처럼 봐줘야 한다는 이야기를 예전에 배웠던 기억이 난다. 이렇게 중간에 빠진 한글자를 공협이라고 불렀는데, 특히 천을귀인은 공협되면 좋다는 말이 생각난다. 이 공협의 본격적인 이론이라고 한다면 바로 상순이 해당한다고 생각된다. 즉 공협은 지지끼리만 논하게 되는데, 상순은 간지를 같이 논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원형이라고 봐야 하겠다. 지나는 길에 한번쯤 자신의 사주와 대입을 시켜보시기 바란다.

다만 실제로 대입을 시키는 과정에서는 상순이 반드시 좋은 것이라고만 하기에는 오행의 원리상 좀 무리가 따르지 않을까 싶다. 가령 보이지 않는 간지가 끼어든다고 가정을 한다면 그 끼어든 글자가 좋은 역할을 해준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끼어든 것이 있으므로 해서 사주에 귀한 흔적이 된다면 이것은 또 모르겠지만, 원국의 상황이 더욱 중요하지 않을까 싶어서 상순에 대한 것은 약간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