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징성(象徵性)

작성일
2007-09-10 22:13
조회
4651

우선 戌土의 원리에 대해서는 잠시 보류를 하고 상징성에 대해서부터 정리를 해보도록 하자. 아시다시피 술토는 개를 상징하고 있다. 개라는 동물은 오랬동안 인간들과 생활을 함께 해온 것으로 생각된다. 사냥을 하던 시절부터 아마도 들개를 길들여서 사용했을 것이다. 그리고 사냥이 끝나고 나면 그때는 개를 삶아 먹었다. 그래서 토사구팽(兎死狗烹)이라는 단어가 생겼는 모양이다. 이 말은 사실 정치를 하는 사람들간에 더욱 그 가치가 인정되는 내용이기도 하다. 정치를 할 적에 필요하면 개처럼 부리다가 쓸 곳이 없어지면 결국 적당한 구실을 달아서 쫓아버리는 것이다.

어쨌거나 정치에 대해서는 더 이상 말을 할 필요가 없을 것이고, 개라고 하는 동물은 그렇게 인간을 위해서 소모되어가는 동물 중에 하나라고 하는 것만 생각을 하면 되겠다. 그야 그렇다고 하더라도 戌土의 의미로써 부여되어 있는 개는 설마하니 그렇게 삶아먹을 요량으로 정해 놓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는데, 구태어 삶아 먹기로 든다면 어디 개뿐이겠는가? 닭, 토끼, 뱀, 말, 양, 닭, 호랑이, 뭐든지 모두 삶아먹는 것인데 구태어 개에 대해서만 부산을 피울 필요는 없다.

개를 생각하면서 술토와 연결을 지어볼 때 시간적으로 戌時는 개가 불침번을 서야 하는 시간이라는 말이 상당히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동물 중에서 양의 기운을 많이 머금고 있는 점에서도 조열한 술토의 구조와 서로 공통점이 있지 않겠느냐는 생각도 든다. 또 달리 생각해보면 ‘개짖는 소리’라는 말이 있다. 이것은 사람이 살고 있는 동네라는 의미가 되겠는데, 술토는 그렇게 동네를 꾸미고 살아가는 마을의 형태를 닮았다는 생각도 해본다. 동네라고 하면 일단 물빠짐이 좋은 토양이어야 하고, 습하면 주거지로써는 실격이다. 그런 점에서 술토는 아주 적당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메마르기 때문에 건조하고, 그래서 습기로 인한 질병에 대한 염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 밤중에 잠을 자다가 문득 천장에서 지네란 놈이 돌아다니다가는 이불 위로 뚝! 떨어지는 일이 발생하지도 않는다. 습한 곳에서는 이러한 독충들도 득시글 거리는 것인데, 건조하면 우선 음습한 기운이 제거되므로 곰팡이의 성분도 없다. 그래서 사람이 주거공간으로 꾸미기에 좋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물론 개의 소리에 관심을 갖다 보니까 이러한 생각을 하게 되는데, 어찌 생각을 해보면 개는 이러한 공간을 좋아한다는 말도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