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격암유록의 실체를 밝힌다

작성일
2024-01-29 06:12
조회
246

낭월도 과거에 격​암유록을 읽고서 인천과 부천을 누비고 소사와 범박과 성주산을 뒤졌던 그 시절도 있었습니다.

문득 어쩌다가 검색한 글에 그에 대한 내용이 소상하기로 이렇게 옮겨다 놓습니다. 또 누군가에게는 작은 안내글이 될 수도 있겠기에.

이 글은 저자가 신동아 2008년 1월호에 응모하여 당선되었고 내용이 게재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격암유록 실체를 밝힌다


관리자| 등록일 : 2020.07.03 |조회수 : 799 |추천 : 0


맹신 盲信 과 무지 無知 - <格庵遺錄>의 실체를 밝힌다 -

< 당선소감 > 대선 大選 같은 국가의 중대사가 있을 때마다 이른바 도사, 역술가, 무속인 등 일단의 예언가들이 등장하고, 항간에는 그들이 언급하였다는 여러 가지 설 說들이 은밀한 가운데 나돌기 마련이다.

차기 대통령 선거를 불과 두 달 남짓 앞두고 있는 현재, 본인이 응모한 작품, <格庵遺錄의 실체를 밝힌다>가 최우수작으로 당선되었다는 통보를 받은 이 시점에도 필자는 평소 교분을 나누고 있는 도 道 판의 지인들로 부터 대선과 관련된 이런저런 얘기들을 전해 듣고 있고 실제로 어떤 내용들은 주간지 등에 기사화되고 있음을 본다.

이때마다 설들을 언급하는 자들이 그들의 예언에 관한 전거 典據 로 으레 들고 나오는 것이 도참, 비결서들이고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언급되는 책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격암유록>이다.

“<격암유록>이라는 비서 秘書 에 이러저러한 구절이 나오는데, 이 내용을 파자 破字 로 풀면 바로 이러한 인물이 다음 대통령이 된다.”는 식의 설명이나, 그 표현은 다분히 은유적이고 암시적이며, 그 풀이 또한 주장하는 자의 자의적인 해석에 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관련자들은 물론 일반 대중들도 그들의 말에 귀를 솔깃해하기 마련이다.

필자는 숙명과도 같은 개인사적인 역정을 통해 그 집필배경과 경위를 분명하게 인지하게 된 <격암유록>이라는 책의 실체를 이제 만천하에 명명백백하게 밝히게 된 것을 역사적인 필연으로 받아들이며, 이러한 귀중한 기회를 마련해 주신 <신동아>와 심사위원님들께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필자 약력> 허 진 구 (許 眞 求)

- 1950년생 - 한양대학교 국문과 졸업

- 1977년 ~ 1990년 정부 산하기관 재직 - 1993년 ~ 1998년 (주) 진일통상 근무

- 지리산 청학동서당 훈장, 지방신문 논설위원 역임

1. 신앙촌 입주

1958년 가을, 우리 가족은 경기도 소사에 위치한 전도관의 신앙촌에 입주한다. 전도관은 6.25 전쟁 직후의 비참하고 암울한 시대적 상황에서 발생한 기독교 계통의 신흥종교 중의 하나로, 당시 ‘동방의 의인’, ‘불의 사자’ 등으로 불린 교단의 창시자 박태선 장로는 전국을 누비며 부흥집회를 열어 날로 그 교세가 커져가고 있었다. 그리고 신앙촌은 말세의 심판을 피하고 영생복락을 누릴 천년성이라며 전도관에서 건립한 일종의 신앙공동체라 할 수 있는 곳이었다.

우리 가족이 고향을 떠나 소사 신앙촌에 들어가게 된 경위와 그리고 그 뒤의 기구하고도 파란만장한 사연을 말하기에 앞서 증조부-조부-부 父 대에 이르기까지 100여 년에 걸친 우리 집안의 신앙에 얽힌 내력을 먼저 이야기하는 것이 순서가 될 것 같다.

우리 집안은 고조부 대까지 누대 累代 로 전라남도 진도에서 살아오다가 19세기 후반 증조부대에 이르러 전라북도 정읍으로 이거 移居 하였다. 그런데 증조부께서 출향 出鄕 을 하게 된 배경이 다름 아닌 종교에 있었고, 증조부대로부터 나에 이르기까지 4대에 걸쳐 세대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으로 이어져 내려 온 우리 집안의 신앙사는 실로 우리나라 근·현대사에 있어 종교의 변천사와 그 맥을 함께 하는 것 같아 참으로 기이하게 생각될 때가 많다.

1860년대를 전후하여 물밀듯이 밀려 든 서양 세력에 대하여 일어난 수운 水雲 최제우의 동학은, 수운의 사후, 해월 海月 최시형으로 이어지고 1894년 전라북도 고부에서 전봉준이 일으킨 동학란은 우리나라 근대사의 중요한 사건중의 하나이다.

그 배경과 인연이 어찌 된 것이었는지는 이제 와서 내가 소상하게 밝힐 수는 없는 일이지만 증조부께서 바로 이 동학운동에 합류하게 된 것이 조상대대로 살아오던 향리를 떠나 전라북도 정읍으로 이거하게 된 동기였다고 한다.

조부께서는 한학은 물론 풍수, 점복, 의술 등에 두루 밝으셨던 분으로 말년에는 20여 년 간 서당을 열어 후학들을 가르치셨다. 내가 유년기부터 조부 슬하에서 천자문을 시작으로 동몽선습, 사자소학 등을 읽고 성장하면서 한문에 문리가 트이게 된 것도 다 이런 연유에서다. 그런데 이 조부께서도 평생을 종교에 관련되어 사셨다.

동학혁명이 실패로 돌아간 후 이 지방에서는 새로운 종교운동이 펼쳐졌으니, 그것은 다름 아닌 증산교였다. 숱한 기행과 이적을 일으켰다고 전하는 교조 敎祖 강일순이 세상을 뜬 후 생시에 그를 따르던 제자들이 제각기 증산 甑山 (강일순의 호)으로부터 법통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며 여러 종파로 갈라졌는데 그 중 가장 크게 교세를 떨친 종파가 정읍 대흥리에서 차경석이 세운 보천교 普天敎 이다 .

교주 차경석은 일제시대 수백만 신도들을 거느리며 1만 여 평의 부지에 십일전, 성전 등 웅장한 건물들을 짓고 차천자 車天子 로 불리며 막강한 세력을 떨쳤던 바, 지금의 서울 조계사 대웅전이 이 보천교의 한 건물을 뜯어다 이축한 것이라 하니 가히 당시의 교세를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조부께서 바로 이 보천교의 교령 敎領 을 지내시며 활동하다 교주의 사망과 일제의 교단 강제해산 이후 인근 정읍군 태인에 거처를 정하여 칩거하시며 서당을 열어 노년을 보내셨던 것이다.

이 같은 집안 내력으로 아버지 또한 종교적인 영향에서 벗어날 수는 없었다.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 少太山 박중빈은 조부와 교분이 있었던 분으로, 아버지를 당신의 원불교 활동에 동참시키려 하였으나 조부의 반대로 아버지는 그에 따르지 않고 한학에만 매진하였다. 조부께서는 당신의 후손들은 어떠한 종교에도 관여치 않고 평범한 사람으로 살아가기를 바라셨던 것이다.

조부의 간곡한 당부에 따라 아버지는 그때까지 아무런 종교에도 관여치 않았으나 중년부터 역학과 풍수분야에 심취하였는데 결국 이것이 하나의 동기가 되어 증조부-조부대로 내려 온 종교적인 성향과는 전혀 이질적인 기독교 신흥교단에 들어가게 되었으니 세상사란 참으로 알 수 없는 일이다.

2. 어머니의 신앙

어머니는 인근지역 면장의 둘째 딸로, 나이 열아홉에 중매를 통하여 아버지와 혼인을 하였다. 천성이 다감하고 정이 많은 분으로 바느질 솜씨가 좋으셨고 당시로써는 흔치 않았던 손재봉틀을 가지고 있어 주위에서 부탁해 오는 일감으로 집안은 항상 분주하였다.

위로 두 살 터울인 누나와 나를 출산하고 난 몇 해 뒤부터 어머니는 특별한 원인도 모르게 늘 두통과 불면으로 시달리고, 때론 혼자서 중얼중얼 헛소리를 하기도 하여 주변 사람들은 이러한 어머니의 모습을 보고 실성한 사람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용하다는 한의의 치료도 받고 한약도 많이 복용해 보았지만 모두 별무효과였고 나중엔 절에 가서 조상 천도제도 지내고 신통하다는 무당에게서 굿도 수차례 해 보았으나 날이 갈수록 증세는 더 심해 질 뿐이었다.

그런 가운데 바느질 일로 우리 집을 드나들던 인근 동리에 사는 어느 부인이 어머니께 자기가 다니는 교회에 나가자고 권유를 하였다. 교회에 나가서 예수를 믿으면 병이 나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어머니는 솔깃한 생각이었다지만, 그러나 종교에 대해서는 완고한 입장을 가지신 조부의 명을 거스를 수는 없는 일이었다. 조부께서는 야소교 耶蘇敎 는 서양에서 건너온 몹쓸 종교라며 백안시하시고 예배당에 다니는 자들은 자기 조상들은 외면하고 남의 나라 조상신을 모셔다가 “아버지, 아버지”하며 섬기는 철딱서니 없는 자들이라며 심히 못마땅하게 여기셨다.

그런 가정에서 어머니가 교회에 나가는 것은 감히 엄두도 내지 못할 일이었다. 어머니의 증세는 더욱 악화되어 가정살림을 돌보지 못할 지경에 까지 이르렀는데 그 무렵 조부께서 세상을 뜨셨다. 조부께서 별세하시고 난 얼마 후부터 어머니는 교회에 다니기 시작하였는데, 아버지는 처음엔 어머니의 교회 출석을 극력 반대하였으나 날로 심해지는 어머니의 증세에는 달리 도리가 없었던지 나중에는 방관할 수밖에 없었던 모양이다.

어머니가 나가게 된 교회는 당시 문을 연 지 얼마 되지 않은 장로교 계통이었는데, 유가중심적인 전통사회에서 아직 예수교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 좋지 않던 터라 신자수도 그리 많지 않은 작은 예배당이었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 교회에 다니기 시작한 이후로 어머니의 정신질환 증세가 차츰 호전되기 시작한 것이다. 극심한 두통과 불면증세도 많이 좋아지고 혼자서 중얼거리던 헛소리도 차츰 줄어들었다. 대신에 한 손으로 재봉틀을 돌리며 나지막한 소리로 찬송가를 부르는 것을 좋아하고 교회 다니는 일을 낙으로 삼았다. 어느 날인가는 누나와 나를 교회에 데리고 나가려다 아버지로부터 호통을 들으시고 눈물을 흘리시기도 하였다. 이렇게 기독교 신앙을 가지게 된 어머니는 얼마 뒤 온전한 정신으로 돌아왔고 그 이후로 신앙생활에 더욱 열심이셨다.

그러던 어느 때인가 서울에서 내려 온 유명한 장로님이 전주에서 큰 부흥집회를 연다는 소식을 접하고 같은 교회 신자 두 사람과 함께 집회에 참석하게 되는데, 그 부흥회가 바로 박태선 장로가 이끄는 전도관 집회였던 것이다.

일반교회의 경건하고 단조로운 예배의식과는 달리, 전도관 집회는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힘차게 손뼉을 치면서 빠른 템포로 계속 찬송가를 부른다. 그리고 영모님(박태선을 지칭하는 말)의 은사로 병 고침을 받고 새 사람이 되었다는 신도들의 눈물어린 간증을 들으며 군중들은 환희에 벅찬 감정으로 탄성을 지른다. 이처럼 한껏 고조된 열광적인 분위기 속에서 박태선 장로의 걸출한 설교와 특유의 우렁찬 음성, 그리고 현란한 몸짓으로 펼쳐지는 집회는 어머니를 크게 매혹시켰던 모양이다. 또한 부흥집회에서 박태선 장로가 안수, 안찰을 행하여 앉은뱅이들을 일으켜 세우고 소경과 정신병자들을 고치며 기성교회의 부정적인 모습들을 질타하는 것을 보고 대단한 감동을 받았던 것이다.

이 부흥회에 다녀 온 어머니는 박태선 장로야말로 ‘말세에 오신 이 땅의 구세주이시고 하나님의 사자’라며 새로운 신앙의 열정에 들떠 있었다. 그 이후로 어머니는 기회만 닿으면 원근을 불문하고 전도관 집회에 다니시는 것 같더니 1957년 말, 경기도 소사에 신앙촌이 생긴다는 말을 듣고 한 번 다녀온 후 아버지에게 신앙촌 입주를 권유하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그 같은 제의는 아버지에게는 가당치 않은 일이었으나 일이 그렇게 되려고 그랬는지 조부께서 작고하신 뒤 아버지가 선 친지의 빚보증이 사단이 되어 우리 전답 등 가산이 압류를 당하는 사태를 맞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가족의 새로운 생활터전을 제시하는 어머니의 권유는 아버지께서도 전혀 내칠 일만은 못 되었던 듯하다.

어머니의 얘기로는 얼마간의 입주금만 내면 신앙촌에서 의식주 염려는 물론 누나와 나의 교육문제도 걱정 없다는 것이었다. 게다가 신앙촌은 ‘계급이 없고 누구나 평등하게 살며 질병과 죽음이 없는 구원의 방주’라며 한번 가서 전도관 사람들을 만나보기나 하라고 계속 아버지를 설득하였다. 구원의 방주니 어떠니 하는 말이야 아버지가 받아들이지 않았겠지만, 의식주와 자식들의 교육문제가 해결된다는 말에는 당시의 절박했던 우리 집 형편으로 봐서 아버지도 흔들리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듬해, 아버지는 어머니와 동행하여 전도관 간부들을 만나게 되는데, 바로 이 과정에서 아버지로서는 전혀 뜻하지 않은 계기를 맞게 된다. 그것은 다름 아닌 아버지가 한학과 역학 등에 깊은 식견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안 전도관 측에서 아버지에게 파격적인 예우와 우대조건으로 신앙촌 입주를 제의해 온 것이다. 당시의 우리 집안의 경제사정을 감안하여 입주금은 성의만 보여도 좋다는 것이었고 식구가 된 다음에는 교단의 발전을 위한 집필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배려할 터이니 생활이나 자녀교육 등은 아무 걱정 안 해도 된다는 것이었다.

드디어 그해(1958년)가을, 우리 가족은 전라북도 정읍에서 전도관의 신앙촌이 있는 경기도 부천군 소사읍 범박리로 삶의 터전을 옮기게 된다. 증조부께서 동학에 참여키 위해 조상대대로 살아 온 진도를 떠나신 것이 19세기 후반이었으니 그 뒤로 거의 100년의 세월이 흐른 내 대에 이르러 다시 새로운 땅, 신앙촌으로 이주를 하게 된 것이다.

3. 최초로 쓰여진 <格庵遺錄>

신앙촌에 입주하여 사는 것은 당시 전국의 전도관 신자들의 소망이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일정한 절차를 거치고 소정의 입주금을 내야만 했다. 우리가 들어 간 소사 신앙촌은 백만 평의 땅에 주로 주택과 교육시설 위주로 세워졌다. 부모님께서 얼마의 입주금을 내었는지는 내가 모르는 일이지만, 우리는 방이 셋이나 되는 주택을 배정받았고 입주한 뒤에도 전도관측으로부터 여러 가지로 우대를 받는 듯 했다.

누나와 나는 신앙촌 안에 있는 학교로 전입학을 하였고 어머니는 양재부에서 일하는 등 초기생활에 비교적 큰 어려움은 없었다. 아버지는 처음부터 신앙촌의 종교생활에는 큰 관심이 없었으며 집필하는 일에만 전념하면 된다고 생각하셨는지 전도관의 다른 일에도 별로 개의치 않으시는 것 같았다. 그리고 한동안은 재단 사무실에 나가시더니 어느 날인가는 매우 침통한 표정으로 돌아오셨다. 그 뒤 며칠 동안을 사무실에도 나가지 않고 집에만 계시며 허탈한 모습으로 실소를 짓기도 하고 무엇엔가 착잡한 생각에 잠기시는 것 같기도 하였다.

그로부터 얼마가 지난 후부터 아버지는 당신의 방에서 여러 권의 서책들을 쌓아 놓고 그 책들을 참고삼아 무슨 책인가를 새로 쓰기 시작하는 것 같았다. 어쩌다가 내가 호기심을 가지고 아버지 어깨 너머로 쳐다보기라도 하면 아버지는 “네가 볼 수 있는 책이 아니니 건너가서 공부나 해라”하시면서 나를 방에서 내보내셨다. 아버지가 보시는 책들은 <삼역대경>, <정감록>, <무학비결>같은 제목을 가진 고서들과 기독교 성경, 그리고 전도관에서 나온 <오묘원리>라는 책도 있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신앙촌 생활을 한 지 두어 해가 지날 때까지 아버지는 이따금씩 재단 사무실에 나가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집에서 고서들을 보며 책을 쓰는 것이 주요 일과였다. 이따금씩 찾아와서 아버지와 대화를 나누다가 돌아가곤 하던 이씨 성을 가진 분과 김부장님이라는 분외에는 사람들과의 교분도 별로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동안 한지에 직접 붓으로 써 오시던 책을 노끈으로 묶어 편철하고 계셨는데, 그때 내가 본 그 책 표지의 제목이 <格庵遺錄>이었다.

그럼 소사의 신앙촌에서 아버지가 쓴 격암유록이란 과연 어떤 책이며 그 내용은 무엇이었던가. 이것은 그로부터 무려 20여 년의 세월이 지난 1980년대 초, 내 나이 30대 중반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알게 된 사실이었으니, 그 놀랍고도 기이한 경위와 사정을 어떻게 말로 다 표현할 수 있을 지 두렵기만 하다.

4. 아버지의 잠적과 누나의 죽음

책을 다 쓰고 나서 아버지는 다시 사무실에 나가셨다. 그러나 집에서 집필할 때의 진지하던 모습과는 달리 왠지 고뇌에 찬 얼굴로 한숨을 쉬기도 하고 누가 말을 걸어도 대꾸도 없이 그저 무표정하게 바라 볼 뿐이었다. 순간 내 기억에 언뜻 되살아난 것이 있었는데 그것은 아버지께서 처음 책을 쓰시기 시작하기 전 무렵의 일이었다. 그때도 허탈한 모습으로 실소를 짓고 무엇인가 착잡한 표정으로 괴로워하지 않으셨던가. 나는 도무지 그런 아버지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었다. 어머니는 소비조합 업무와 부인회 일에 열성적으로 활동하면서 때로 아버지의 그런 모습을 대하고 안타까워 하셨으나 어머니로서도 집필과 관련된 아버지의 인간적인 고뇌와 사정을 이해하지 못하셨던 것 같다.

그렇게 어두운 얼굴로 얼마간을 지내시던 아버지는 1961년 가을 어느 날 아무런 말씀도, 쪽지 한 장도 남기지 않은 채 홀연히 신앙촌에서 종적을 감추고 말았다. 곧 돌아오시겠지, 하는 기대 속에 우리 가족은 아버지의 소식을 애타게 기다렸으나 1년이 다 가도록 아버지로부터는 아무런 연락이 없었다.

그로부터 2년 뒤, 우리는 아버지의 잠적보다 더 큰 시련을 맞게 되었으니, 그것은 돌연한 누나의 죽음이었다. 어느날 초저녁에 갑자기 누나가 배를 움켜잡고 방바닥에 뒹굴면서 신음을 하고 있었다. 복통을 호소하며 까무러친 누나의 모습을 보고 나는 어머니에게 빨리 병원으로 가자고 하였으나 그러나 어머니가 가져온 것은 ‘생명수’였다. 생명수는 영모님께서 직접 기도로써 축복한 물로 당시 전도관 식구들은 이 물을 매우 소중하게 여기고 질병치료 등에 사용하고 있었다.

나는 내심으로 속히 병원에 가서 의사한테 진료를 받아야 할 텐데, 하면서 발을 동동 굴렀으나 누나에게 생명수를 먹이는 어머니를 곁에서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생명수를 마신 은혜였던지 다행히 누나는 통증이 가시면서 잠이 드는 것 같았다. 그러나 다음날 새벽, 다시 혼수상태에 빠진 누나를 보고 이제는 병원에 가야 된다며 나는 어머니를 졸랐다. 어머니도 심상치 않은 누나의 모습을 보고 “그러자”며 축 늘어진 누나를 들쳐 업고 막 현관 쪽으로 나가다가 무슨 생각을 하는 듯 잠깐 멈추어 서더니 다시 방으로 들어와 누나를 다시 자리에 눕혔다. 그리고 나에게 하는 말이 “오늘이 마침 주일이니 이따가 주일집회 때 영모님의 안찰을 받으면 된다.”는 것이었다.

나는 집회 시까지는 아직도 몇 시간이나 남았고 그때까지 어떻게 기다리느냐며 당장 병원에 갈 것을 애원하였으나 끝내 어머니는 당신의 고집을 꺾지 않았다. 영모님께서 인도하시는 소사 신앙촌의 집회시간은 오전 10시였다. 영모님께서는 두 손으로 누나의 배를 누르고 마치 휘파람 소리 같은 “쉬-잇, 쉬-잇”하는 소리를 내시면서 안찰을 해 주셨는데 영모님의 안찰은 그렇게 채 1분도 걸리지 않았다. 집회가 끝나고 축 늘어진 채 간신히 신음소리를 내는 누나를 다시 업고 집으로 돌아왔으나 그날 오후 누나는 끝내 눈을 감았다. 너무도 분하고 억울한 마음에 나는 어머니에게 달려들며 “누나는 어머니가 죽인 것이니 빨리 살려내라.”면서 울부짖었다.

17살의 꽃다운 나이, 꿈을 채 펼쳐보지도 못하고 비명에 스러져 간 누나를 제단 아래 야산에 묻고 그날로 나는 신앙촌을 뛰쳐나왔다. 그곳에 들어가 생활한 지 만 6년만인 1964년 12월 초였다. 소사 신앙촌에서 나온 나는 갈 곳이 없었다. 찾아갈 만한 가까운 친척도 생각나지 않았고 그렇다고 달리 아는 이도 없었다.

역 근처에서 배회하다가 가만히 생각해 보니 우리와 거의 같은 시기에 신앙촌에 입주하여 살다가 두 해 전인가 밖으로 나간 경식이가 떠올랐다. 수원 노송지대인가 하는 곳에서 포도밭을 한다는 얘기를 언뜻 기억해 낸 것이다. 수원으로 가서 다행히 경식을 만났고 그 집에서 일을 거들며 함께 살았다. 그러던 중 우연한 기회에 풍문으로 아버지 소식을 듣게 되었는데, 아버지가 부산 동래에서 서예학원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나는 부산으로 내려가 수소문 끝에 아버지를 만났다. 4년만이었다. 혈육의 정은 어쩔 수 없었던지 내가 누나의 죽음 얘기를 하자 아버지는 눈시울을 적시며 망연자실한 모습으로 긴 한숨만을 내쉬었다.

아버지와 함께 며칠을 지내고 난 뒤 나는 아버지에게 신앙촌에 가서 어머니를 모시고 나오겠다고 말했다. 아버지는 가타부타 말이 없으셨으나 나는 그것을 용인하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소사로 갔다.

1년 여 만에 나를 본 어머니는 어쩔 줄 몰라 하며 나를 덥석 끌어안더니 “미안하다. 나를 용서해 다오”하시며 흐느껴 우셨다. 많이 초췌한 모습이었지만 그러나 무엇보다 반가운 일은 어머니가 그때까지의 헛된 환상과 미망에서 깨어나 이성을 되찾으신 것이었다. 어머니는 누나의 비통한 죽음을 계기로 그곳에서 보낸 지난 세월을 돌아보았을 것이다. 그리고 처음 입주할 때 그들이 약속했던 ‘계급이 없고 누구나 평등하게 영생복락을 누리고 살며 질병과 죽음이 없는 천년성’이 얼마나 거짓되고 허황된 환상이었던가를 늦게나마 깨달으신 것이다.

어머니와 나는 가재도구를 정리하여 이삿짐 차에 싣고 신앙촌을 나섰다. 구원의 방주에서 영생복락을 꿈꾸며 차디찬 마룻바닥에 무릎 꿇고 앉아 두 손 뜨겁도록 손뼉 치며 부르던 찬송, ‘내 평생 소원은 이것뿐’, 하얀 와이셔츠차림으로 단에 오르시어 열정적인 음성으로 구원을 약속하시던 주님을 감격에 겨워 우러르던 일, 다 키운 꽃 같은 딸을 비명에 떠나보내던 일 등을 회고하는 것일까. 흔들리는 용달차 창가에 앉아 어머니는 만감이 교차하는 듯한 얼굴로 연신 두 뺨에 흘러내리는 눈물을 훔치고 있었다.

5. 22년 만에 만난 <격암유록>

부산으로 내려가 아버지와 합류한 우리 가족은 일반적인 생활인으로 다시 살게 된다. 아버지는 나에게 일절 다른 생각 하지 말고 검정고시 준비를 하여 대학에 진학하라고 권유하였다. 당신이 말씀하시는 ‘다른 생각’이란 아마도 종교적인 관심이나 신앙생활 같은 걸 두고 이르는 것으로 짐작했다. 어머니에게도 여러 가지로 다짐을 받았다. 이후 우리는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신앙촌에서 살았던 얘기는 입 밖에 내기를 꺼려했고 기독교 신앙이나 그 밖의 다른 종교에 대해서도 애써 외면하며 살았다.

무심한 세월은 덧없이 흘러 나는 대학을 졸업하고 군 복무를 마친 뒤 정부 산하기관에서 근무하게 된다. 수년 동안 지병으로 고생하시던 아버지께서 세상을 뜨시고 난 세 해 뒤인 1985년 초여름의 일이다. 시내에서 길을 걷던 중 어떤 청년이 건네주는 전단지 한 장을 무심코 받았는데 그것은 종교단체인 증산도를 홍보하는 내용이었다. 신앙촌에서 나온 이후로 어떠한 종교단체나 신앙도 외면하며 살아왔다고는 하나 증산교에 대한 관심까지 떨쳐버릴 수는 없었다. 조부께서 증산교의 여러 교단 중에서 가장 교세를 크게 떨쳤던 보천교의 교령을 지내셨던 분이 아니던가. 그 교단이 해체되고 난 이후에도 작고하실 때까지 증산교 계통의 여러 인사들과 잦은 왕래와 교분이 있었던 것을 내 유년시절에 직접 보고 자란 그 인연의 끈은 어쩔 수 없었던 것이다.

증산교를 표방한 종교나 신행단체는 해방이후로도 꾸준히 늘어나 태극도, 대순진리회 등 그 교세가 큰 교단으로부터 여타 군소교단까지 부지기수로 늘어났다. 그 중 증산도는 다른 교단에 비해 비교적 역사가 짧은 단체이나 1980년대부터 대학생층을 비롯하여 젊은 지식인들을 상대로 활발한 전도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그 전단은 그 교단의 교화원장이라는 사람이 펴냈다는 <이것이 개벽이다>라는 책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었는데 거기에 격암유록이란 말이 있었다. 그러니까 16세기 중엽 이조 명종때 격암 남사고라는 사람이 쓴 위대한 예언서가 있는데 그 책에 이러이러한 글이 있다면서 자기 교단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전거 典據 로 삼고 있었다.

나는 처음 <격암유록>이란 책이름을 대했을 때 마치 물 묻은 손으로 전기를 접했을 때처럼 온 몸이 저릿해 오며 순간적으로 20여 년 전 신앙촌에서 아버지가 붓으로 쓰신 책을 편철할 때 내가 본 그 책의 제목, ‘格庵遺錄’이란 네 글자가 스크린의 잔상처럼 눈앞에 떠올랐다. 나는 서점으로 달려 가 <이것이 개벽이다>라는 책을 사서 두근거리는 가슴을 누르며 집으로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부터 읽기 시작하였다.

나는 지금 여기서 이 책을 쓴 이가 격암유록에 나오는 내용을 어떻게 해석하고 인용하여 자기들 주장의 근거로 삼고 있는가, 하는가를 말하기에 앞서 우선 그 격암유록이라는 책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출현하였는가 하는 것을 먼저 밝히는 것이 순서라고 생각한다. 격암유록이라는 책의 내용이 어떠하며 처음 쓴 이가 누구이고, 그리고 누가 어떻게 그 책의 내용을 왜곡하여 이용하고 있는가 하는 것은 뒤에서 차차 확연하게 밝힐 것이다.

<이것이 개벽이다>라는 책의 말미에 있는 참고문헌 목록에 <격암유록 ; 남사고 저>가 나와 있고, 책의 내용 가운데, ‘조성기 편 <격암유록>을 참고하였다’는 말이 있었다. 나는 다음 날 대전에 있는 증산도 사무실을 방문하여 저자가 그 책을 쓰기 위해 참고하였다는 조성기라는 사람이 쓴 <격암유록>을 볼 수 있었는데 그 책은 신앙촌에서 펴낸 일종의 격암유록 해설서였다. 나는 비로소 ‘감을 잡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격암유록이라는 책이 신앙촌에서 나왔다는 사실은 나에게는 어떤 확신과도 같은 메시지를 시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버지가 신앙촌에서 격암유록을 집필한 때가 1962년 전후였으니, 그 이후 20여 년의 세월동안 어디에 사장되어 있다가 왜 이제야 출현한 것일까. 나는 마치 미스터리 외화에서 바바리코트의 깃을 세우고 어수룩한 모습으로 미궁에 빠진 어떤 사건을 추적해 가는 형사와도 같이 가벼운 흥분과 함께 묘한 긴장감마저 느껴졌다.

신앙촌에 가서 알아보면 조성기란 인물을 만날 수 있겠지, 그리고 그 사람을 만나면 그가 책을 쓸 때 보고 쓴 원본을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에서 다시 부산으로 내려가 간단한 여행 도구를 챙겨들고 경기도 소사로 향했다. 신앙촌에 나온 후 21년 만이었다.

박태선을 교주로 하는 전도관은 1960년대를 전후하여 박태선 씨가 폭행, 혼음, 사회질서 혼란 등의 혐의로 두 차례나 구속되어 감옥살이를 했고, 특히 1960년 말 <동아일보>가 ‘박태선 씨의 성화 聖火 는 조작된 것’이라고 폭로하자 전도관 간부들의 지휘에 따라 열성적인 신도들이 신문사를 난입하여 집기를 부수고 난동을 부려 그때 많은 신도들이 구속, 수감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 후 1970년대에 들어서서도 박태선의 장남 박동명이 호화방탕 생활을 하며 유명 여배우들과 엽색행각을 벌여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사건은 한 때 장안의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1970년대 전후까지만 해도 전국 각처의 읍 단위까지 전도관이 있었고 한창 전성기에는 100만 명의 신도수를 자랑하던 전도관은 그 이후 수많은 신자들이 이탈해 나가면서 그 교세가 현저히 줄어들었고, 1980년대부터는 이미 신앙은 쇠미해지고 공장운영과 기업 활동 중심으로 그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다. 간판도 ‘한국예수교전도관부흥협회’에서 ‘천부교’로 바꿔 달았다.

일부 달라지기는 하였지만 아직도 그대로 남아있는 주택들과 눈에 익은 이곳저곳을 바라보며 나는 찾아 온 목적마저 잠시 잊은 채 옛일을 떠올리며 깊은 회한에 젖었다. 재단 사무실에 찾아가니 몇 사람이 한가로이 장기판을 사이에 두고 잡담들을 나누고 있었다. 그 중 연세가 제일 많아 보이는 한 분은 안면이 있었으나 나는 아무런 내색도 하지 않고 조성기라는 사람을 찾아 왔다고 하자 그들은 의아한 눈길로 나를 쳐다보았다. 그들 중 한 사람이 무슨 일로 그 사람을 찾느냐고 묻기에 내가 조성기라는 분이 쓴 격암유록이라는 책을 보고 더 알고 싶은 내용이 있어 왔다고 하자 그제야 경계심을 푼 듯한 그는 나를 한 쪽으로 데리고 가더니 이런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었다.

조성기라는 사람은 전도관 신자였는데 어느 때 격암유록이라는 책을 들고 나와 그 책은 몇 백 년이나 된 오래된 고서인데 바로 거기에 박태선 장로가 말세의 성인이라고 쓰여 있다면서 영모님을 증거하여 신앙촌에서 큰 대우를 받고 살았는데, 어느 땐가부터 사람이 돌변하여 그 책에 박태선 장로뿐만이 아니라 자기도 성인으로 예언되어 있다면서 자신을 따르는 식구들을 데리고 신앙촌을 나가 새로운 집단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 사건이 있고난 후에 전도관에서는 그 책을 일절 못 보게 하고 없애버렸다고 하였다.

그럼 조성기라는 사람이 지금은 어디에 사느냐는 내 물음에 그것을 우리가 어떻게 알겠느냐면서, 들리는 말로는 신앙촌을 나간 뒤로 안양 어딘가에서 교단을 세워 운영해 나가다가 얼마 못 가서 신도들은 모두 흩어지고 그 사람은 종적을 감추었다고 하더라고 말하는 것이었다.

그 얘기를 듣고 내가 매우 낙담한 표정으로 나오면서 인사를 하자, 그 노인은 잠시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눈치더니 출입문 밖으로 따라 나오면서 “내가 누구에게서 얼핏 들었는데 격암유록이라는 책이 서울 국립 도서관에 또 한 권 있다고 합디다. 더 공부를 해 보려면 가서 그 책을 보든지,”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다. 나는 격암유록이 국립 도서관에 있다는 말에 너무도 놀란 나머지 그렇게 말하는 그 사람을 멀뚱히 쳐다보다가 이내 정신을 차리고 나서 거듭 감사하다는 인사를 하고 신앙촌을 나왔다.

격암유록이란 책이 국립도서관에 있다는 말은 나에게 새로운 기대와 희망을 불러 일으켰다. 서울에 있는 국립도서관이란 국립중앙도서관을 가리켜 말한 것으로 생각하고 중앙도서관을 찾았다. 대출신청을 해놓고 책을 받기까지의 불과 몇 분 동안의 시간이 왜 그리도 길게 느껴지던지, 나는 이제 곧 20여 년 만에 아버지가 쓴 책을 만난다는 생각에 가슴이 두근거리며 조바심이 다 날 지경이었다.

직원으로부터 책을 받아 펼쳐보는 순간, 나는 일순 아득한 절망감으로 눈앞이 흐려왔다. 그것은 분명 아버지가 집필한 책이 아니었다. 내가 어찌 아버지의 필적을 모를 리 있겠는가. 한지에 세필로 쓴 그 책은 총 60장 115쪽으로 (여기서 ‘장’은 총 60개의 소제목으로 나뉘어 쓰인 글을 필자가 편의상 붙인 것임)일부는 국한문 혼용문으로 되어 있었다. 나의 기억으로는 아버지는 한글은 쓰지 않고 순 한문으로만 쓰셨다. 열람석에 꼼짝하지 않고 앉아 처음부터 끝까지 그 책을 정독했는데 맨 마지막 장에 가서야 나는 드디어 다시 새로운 희망 하나를 찾을 수 있었다. 거기에는 그 책을 쓴 때와 장소, 그리고 쓴 사람의 이름이 나와 있었던 것이다.

甲申閏四月丙申 瑞山郡 地谷面 桃星里

全城後人 李桃隱 複寫

그러니까 갑신년 윤사월 병신일에 서산군 지곡면 도성리에서 (혹은 도성리에 사는) 이도은이라는 사람이 복사하였다는 말인데, 여기서 ‘복사’라는 표현은 자기가 이 책을 지은 것이 아니라 남이 저술한 책을 그대로 보고 베껴 썼다는 얘기인 것이다. 그러니까 이것은 원본이 아닌 필사본인 것이다. 그리고 책을 다 필사한 날과 장소는 이 책의 앞표지에도 ‘畢甲申潤月丙申桃源精舍’라고 쓰여 있었다.

나는 우선 도서관 직원에게 간곡하게 협조를 구하여 그 책을 한 부 복사해 가지고 일단 부산으로 돌아왔다.

6. 필사자를 찾아서

집에 돌아와서 이도은이라는 사람이 복사하였다는 필사본 <격암유록>을 몇 번이나 정독하면서 나는 나름대로 어느 정도까지는 그 내용을 해독할 수 있었다. 뒤에서 다시 언급하겠지만 이 격암유록뿐 아니라 <도선비결>등 옛날 부터 민간에 유포되어 전해 내려오는 이른바 도참, 비결서들을 해독하려면 상당한 한문 지식은 물론 음양오행에 대한 이해로부터 하도낙서의 원리, 그리고 역학이론과 파자법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식견과 역사를 통찰해 볼 수 있는 혜안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 나는 내가 해독한 격암유록의 내용을 말하기에 앞서 우선 이 필사본의 원본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원본은 언제 누가 썼으며 지금은 어디에 있는지부터 밝히는 것이 선결문제라고 생각한다. 내 입장에서는 그 원본이 아버지가 집필한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 중요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원본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이 필사본을 쓴 사람부터 알아보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그리고 필사자 이도은이라는 사람을 만나려면 책의 말미에 쓰여 있는 주소지를 추적하면 되리라. 나는 먼저 이 필사본이 복사된 때가 언제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만세력을 펴놓고 이 책을 복사하였다는 ‘甲申閏四月丙申’이 어느 때인가를 찾아보았다.

연도, 즉 해를 간지 干支 로 표시한 갑신년은 매 60년마다 돌아오므로 현재로부터 거슬러 올라가면서 찾아보니 서력기원으로 1944년, 1884년, 1824년이 갑신년이다. 그리고 윤사월이면 음력으로 사월에 윤달이 든 해를 말하는 것이므로 이를 또 살펴보니 바로 1944년이다. 그리고 1944년 갑신년 윤사월에 병신 일진이 있었다. 음력으로는 이 해 윤사월 열 하룻날이오, 양력으로는 6월 1일이다.

물론 갑신년은 60년씩 계속 과거로 소급해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내가 더 이상 그럴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은 먼저 이 책에 등장하는 단어를 보고 난 뒤이다. 그리고 국한문 혼용으로 기술된 한글이 이조 중엽에 쓰인 고어체가 아니라 근대 가사체로 쓰여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한 확신을 가지게 된 것이다.

이 책에는 道路, 便所, 停車場, 公産, 原子, 哲學 등의 단어가 나오는데, 이 말들은 모두 개화기 이후에 들어온 일본식 한자어이다. 따라서 이 필사본 격암유록은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1944년 6월 1일에 쓰여 진 것이 분명하다 할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1985년 현재)으로부터 41년 전인데, 이 책의 필체로 보아 젊은 사람의 필적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필사할 당시의 연령을 40세 정도로 본다고 가정하였을 때, 필사자의 현재 나이는 81세가 된다. 그렇다면 아직도 생존해 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을 것이다.

나는 필사본에 나와 있는 주소지인 충청도 서산으로 향했다. 서산군 지곡면에 도착하여 먼저 도성리 이장댁을 찾아 방문한 취지를 말하고 한학 등에 박식한 이도은이라는 인물에 대하여 물었다. 50대 초반으로 보이는 이장은 그런 이름을 가진 사람은 들어 본 바 없다고 하였다. 내가 책의 앞표지에 적혀 있는 ‘도원정사’라는 이름을 상기하면서, 그러면 도원정사라는 절이나 건물 같은 것이 있었느냐고 재차 확인하였으나 그것도 모른다는 것이었다.

이장 집을 나서면서 다시 한 번 곰곰이 생각해 보니, 이도은이라는 성명이 가명이거나 또는 그 이름 ‘도은’이 어쩌면 호 號 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면사무소도 방문하고 대서방도 찾아가 여러모로 수소문을 해 봤으나 모두가 허사였다. 나는 허탈한 심정으로 다시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7. <격암유록>의 실체

격암유록의 저자로 알려진 남사고라는 인물에 대한 일화와 인물평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지봉유설>, <어우야담>, <해동이적>등 여러 곳에 나오는데 조선 명종 때 사람으로 풍수, 천문, 복서, 상법 등의 비결에 능통하여 그가 말한 예언이 모두 적중하였다는 신이 神異 한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그가 썼다는 책으로 현재 전해 오는 것은 <남사고비결>과 <남격암산수십승보길지지>가 있는데, 여타의 도참, 비결서들이 그렇듯이 이 두 책도 남사고라는 이가 직접 저술한 것인지의 여부는 고증할 길이 없다. 각종 도참, 비결류의 서책들은 대부분 그 원본을 찾을 길이 없고 지은 이도 분명치 아니할 뿐더러 민간에 은밀히 유포되어 나도는 각종 필사본이 있을 따름인데, 그나마도 이사람 저사람 거치는 동안에 잘못 옮기거나 또는 그 내용이 첨삭되기도 하고 보필하기도 한 것이 뒤섞여 후대에 이르러서 그 원저자를 밝히거나 원본을 찾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격암유록>이란 책명은 지금까지 어떤 사서나 기록에도 나와 있지 않다. 남사고의 호인 ‘격암’을 들어, ‘격암이 남긴 기록’이라는 넓은 의미로 본다면 앞에서 말한 <남사고비결>이나 <남격암산수십승보길지지>를 격암유록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격암유록>이라는 이름으로 전해 내려오는 책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격암유록>이란 책이름으로 유일하게 처음 출현한 것이 바로 지금까지 추적해 온 이도은이라는 사람이 복사하였다는 필사본이다. 그리고 앞서 남사고라는 인물에 대한 기록이 있는 여러 책에서 그의 신상을 명종때 사람, 울진 사람 등으로만 쓰고 확실한 생몰연대의 기록이 없는데 비해 유일하게 그 생몰연대를 밝혀 쓴 것이 이도은이 쓴 필사본의 첫 장에 나오는 <남사고비결>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이도은이 보고 복사하였다는 격암유록 원본의 존재여부는 물론 그 내용의 진위도 의심치 않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럼 이도은이라는 이가 필사한 격암유록과 1960년을 전후하여 아버지가 집필한 격암유록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것일까. 나는 아버지기 쓴 책의 표지만을 보았을 뿐이지 그 내용을 알지 못함으로 이도은의 복사본이 아버지가 쓴 격암유록을 원본으로 하여 필사한 것인지, 또는 반대로 아버지가 이도은의 복사본을 참고로 하여 다시 보필하여 격암유록을 고쳐 쓴 것인지는 확인할 방도가 없다.

나는 그때까지의 모든 수고와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는 것 같은 절망감으로 더 이상 그 책에 대한 미련을 놓아 버리고 싶었다. 그러나 어찌 되었던 간에 기왕에 해독하기 시작한 이 책의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해봐야 하겠다는 의지마저 떨쳐 버릴 수는 없었다.

1983년에 출간된 <이것이 개벽이다>에서 격암유록이 인용된 이후 연이어 여러 신흥종교단체들과 역술인, 그리고 우리 민족사상이나 동양철학에 심취한 사람 등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앞을 다투어 이 책의 내용을 거론하거나 해설서를 내어 시중에 유포함으로써, 격암유록이라는 책은 어느 사이엔가 위대한 민족의 예언서로 세간에 널리 알려지게 된다.

1980년대 중반부터 때마침 불어 닥친 세기말적 종말론에 편승하여 격암유록을 썼다는 남사고라는 인물은 서양의 예언가 노스트라다무스와 쌍벽을 이루는 우리 민족의 위대한 예언가로 추앙되고, 그가 쓴 책에는 임진왜란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수많은 역사적 사실들과 인물들의 행적이 정확히 예언되어 있다면서 격암유록은 ‘450년 만에 신비의 베일을 벗는 민족의 경전’으로까지 인구에 회자되기 시작한 것이다.

1980년대를 지나 1990년대에 들어서서도 격암유록과 관련된 책들은 속속 출간되어 그 해설서만 해도 십여 권이 넘고 격암유록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인용하여 언급하고 있는 저작물은 부지기수에 이른다. 이제 웬만한 도서관에는 격암유록이라는 책명의 도서가 한, 두 권 쯤은 다 비치되어 있고, 심지어 어떤 사람은 격암유록과 동학가사를 연계하여 쓴 논문으로 박사학위까지 받은 사실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서 나는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많은 사람들이 격암유록을 450여 년 전에 쓰여 진 예언서로 맹신하고 있지만 그 진위를 판별하는 것은 사실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앞에서 나는 이 책에 나오는 여러 어구들, 그러니까 도로, 정거장, 철학 등은 대부분 개화기 이후에 들어 온 일본식 한자말이고, 또 구원방주, 보혜사, 국한문 혼용으로 쓰여 진 내용 중 ‘우리 주님 강림할 제’같은 말은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전래된 이후부터 쓰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이미 지적한 바 있다.

450여 년 전 조선 중엽에 저술된 책에 어떻게 개화기 이후에나 쓰기 시작한 이런 말이 나올 수 있겠는가. 그리고 국한문 혼용으로 쓰여 진 한글 문체가 조선시대에 사용되던 고어체가 아니라는 점을 다시 들 수 있다. 그 뿐만이 아니다. 내가 필사본 격암유록을 해독하면서 알게 된 놀라운 또 하나의 사실은 이 책에 기독교 성경이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의 10장부터 16장까지, 그리고 18장, 이렇게 여덟 장은 그 제목이 모두 성경의 제목과 동일하고 그 내용 역시 성경 본문의 몇 절을 같은 의미의 한문으로 옮긴 것이다.

즉, <塞三五>는 이사야 35장이고 <羅馬簞二>는 로마서 2장이며, <哥前>은 고린도전서를 한자로 음사하여 표기한 것에 불과하다. 한문으로 된 중국어 성경을 보면 더욱 분명한 사실이다. 격암유록 10편에 나오는 <塞三五>를 원문과 해설, 그리고 성경 본문을 차례대로 한 번 보자.

<塞三五>

基時閉目忽開 聾耳亞聽吹吹歌 半身不隨長身脚 廣野湧出沙漠流 泉移山倒水海枯 山焚大中小魚皆亡 愚妹行人不入正路 天釋之人 兩手大擧天呼萬歲

“그 때에 닫혔던 눈이 홀연히 열리고 귀머거리가 듣고 벙어리는 노래를 부르며 반신불수가 다리를 펴고 광야에서 샘물이 솟고 사막에서 물이 흐른다. 샘을 옮기고 산이 무너지며 바다에는 물이 마르고 산이 불타서 크고 작은 고기들이 다 죽는다. 우매한 행인은 바른 길을 가지 못하고 하나님께서 놓아 준 사람은 양손을 크게 들어 하나님 만세를 부른다.”

<이사야 35장 5~10절>

“그 때에 소경의 눈이 밝을 것이며 귀머거리의 귀가 열릴 것이며 그 때에 저는 자는 사슴같이 뛸 것이며 벙어리의 혀가 노래하리니 이는 광야에서 샘물이 솟겠고 사막에서 시내가 흐를 것임이라. (중략) 우매한 행인은 그 길을 범치 못할 것이며 (중략) 여호와의 속량함을 입은 자들이 돌아오되 노래하며 시온에 이르러 그 머리 위에 영영한 희락을 띠고 기쁨과 즐거움을 얻으리니 슬픔과 탄식이 달아나리로다.”

이렇듯 성경의 제목과 장은 물론 그 내용을 유사한 의미의 한문 문장으로 바꿔쓴 데 불과하다. ‘남사고는 신이한 예언가이므로 몇 백년 뒤의 후세들이 이러이러한 말을 쓰리라는 것, 또 기독교 성경이라는 책이 한국에 들어오리라는 것과 그 내용까지 미리 환히 알고 썼다’고 주장한다면 더 이상 할 말은 없다. 그러나 사실이 이렇게 분명한데도, 사람들은 어떻게 이 책을 지금으로부터 450여 년 전에 저술된 고서라고 맹신하는 것일까.

격암유록을 인용하거나 해설서를 쓴 사람들이 맨 먼저 들고 나오는 것이 이 책이 국립중앙도서관에 ‘고古 1496-4’로 소장돼 있다는 말이다. 이 말을 먼저 내세우는 것은 무슨 까닭에서일까. 우리나라 최대의 국립도서관에 고서로 소장돼 있는 책이라면 믿을 수 있는 것이라는 관념을 전제해두고자 하는 것 아닐까. 일단 이런 인식을 갖고 난 뒤에 그 책을 보면 선입관 때문에 부분적으로 의문이 생겨도 크게 문제삼지 않고 넘어가게 되기도 할 것이다. 더군다나 이 책은 보통의 책이 아니라 신비의 예언서라 하지 않던가.

바로 여기에 맹점이 있다고 판단한 나는 이 책이 어떻게 해서 고서로 분류되어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시 도서관을 찾았다. 담당부서 직원을 만나 도서 분류기준과 소장경위 등을 알고 싶다고 말하니 30대로 보이는 그 직원은 나를 다른 직원에게 안내했다.

도서 등록대장에는 이 책이 등재된 연도가 1977년으로 적혀 있고 월과 일은 기재돼 있지 않았다. 자세히 보니 책의 표지에 찍힌 장서인에는 등록일자가 1977년 6월7일로 돼 있었다. 나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아무리 필사본이라 해도 저술된 지 450여 년이나 되었다는 고서가 당시를 기준으로 불과 8년 전에 도서관에 등록되었다는 것도 믿기지 않거니와, 더욱 뜻밖인 것은 그 책이 어떻게 고서로 분류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이었다.

고서로 분류하는 기준은 책의 출간 연대나 그 저자가 살았던 시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책의 제본방식에 따른다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현대에 출판되는 책처럼 접착제로 붙이거나 철사를 박아 제본된 것이 아니고 옛날처럼 노끈 따위로 묶어 제책된 것이면 고서로 분류한다는 것이다.

나는 처음 그 말을 듣고 쉽게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지금이라도 누가 오래된 한지에 붓으로 글을 쓰고 끈으로 묶는 방식으로 제책하여 적당히 오래된 책처럼 보이도록 만든 후 예로부터 집안 대대로 내려오던 고서라며 도서관에 기증하면 고서로 분류되어 소장된다는 말이 아닌가. 내가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을 짓자 그 직원은 다시 이렇게 설명했다.

“도서관에서는 도서를 기증받을 때 그 책의 저자나 출판 연대에 대해 조사를 하거나 일일이 확인하지는 못합니다. 물론 기증한다고 해서 아무 책이나 다 받아들이고 소장하지는 않습니다. 소장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도서대장에 등재하고 그때부터 관리하는 것이지요.”

나는 그때서야 비로소 그렇겠구나 하고 이해하게 되었다. 그러니 국립도서관에 고서로 분류되어 있다 할지라도 그 책이 반드시 옛날에 저술된 고서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격암유록이라는 책이 국립중앙도서관에 ‘고古 1496-4’로 소장되어 있다는 말을 들으면 마치 국가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이 책을 고서로 인정이나 한 것처럼 믿게 마련이다. 바로 이러한 의도에서 격암유록에 관한 책을 쓰거나 그 내용을 인용하는 사람들은 으레 이 말을 먼저 내세우는 것이 아닐까.

8. 갖가지 해석과 예언

앞서도 언급했지만 도참, 비결서를 이해하고 해독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한문 실력은 물론 역학과 문자에 파자법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 대한 폭넓은 식견과 혜안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와 같은 능력을 갖춘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가 어떠한 관점에서 비결서를 보고 이해하는지에 따라서 내용에 대한 해석은 달라지게 마련이다. 같은 문장을 두고도 저마다 견해에 따라 달리 해석을 하고 주장하는 바가 다르다는 말이다.

먼저 격암유록이라는 책을 인용해 언급한 증산도의 해석을 살펴보면, 이 책의 여러 구절을 발췌해 그들의 교리체계에 맞게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天下文明始於艮”이라는 구절을 들어 ‘인류 구원의 대도는 한국에서 출현한다’로, “天降大道此時代”는 ‘지금은 하늘이 큰 도를 내려주는 시대’라면서 은연중에 그 도가 증산도의 도임을 내비친다. 또 “月日光塵霧漲天 自古無今大天·#55106; 天變地震飛火落地”는 ‘해와 달이 빛을 잃고 어두운 안개가 해를 덮는구나. 예전에 찾아볼 수 없는 대천재로 하늘이 변하고 땅이 흔들리며 불이 날아다니다가 땅에 떨어진다’로 해석하면서, 이는 바로 말세와 후천개벽의 상황을 말하는 것이자 노스트라다무스가 예언한 하늘에서 내려오는 공포의 대왕을 일컫는 것이라며 종말론적으로 해석한다. 이어 ‘하늘에서 불이 떨어져 인간들을 태워버림으로 십 리에 한 사람도 찾아보기 어렵네’라고 부연해 위기의식을 강조한다. 그리고 “上帝豫言聖眞經 生死理明言判”은 ‘상제님의 말씀이 담긴 성스러운 진경이 생사의 이치와 심판의 말씀이 명백하다’로 설명하면서 여기서 말하는 상제를 증산도 상제로 풀이했다.

물론 격암유록의 내용 중에는 세상의 종말을 시사하는 듯한 구절도 있고, 도에 대한 언급이나 성군, 상제 같은 말도 자주 등장한다. 그러나 이 책에 나오는 도나 상제가 곧 증산도에서 말하는 도이고 증산상제라고 단언하기에는 충분한 근거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 해석이야 각자의 뜻이지만 이를 연결할 논리적 고리가 불분명한 것이다.

격암유록을 자신들 종교의 전거로 삼는 또 하나의 교단은 영생교다. 영생교 교주 조희성은 고서 전문가라는 사람에게 영생학회 전문위원이라는 직함을 주고는 격암유록에 이러이러한 내용이 예언되어 있다면서 자신을 증거하도록 했다.

영생교 교주 조희성은 박태선의 전도관에서 전도사로 일했던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나는 영생교의 집회장에 가서 그를 보고 깜짝 놀랐다. 그 집회 인도방식이나 설교는 물론 제스처까지 생전의 박태선 장로와 매우 흡사했다. 그가 내세운 교리 또한 내 눈에는 예전 전도관의 교리와 별반 다를 게 없었다.

나는 여기서 특정 종교를 비판하거나 그들의 신앙에 대해 왈가왈부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격암유록과 관련된 사례를 들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영생교에서 격암유록을 어떻게 해석하고 그들의 전도활동에 어떻게 활용하는지만을 밝히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들은 ‘賽四一’에 나오는 “利見機打破滅魔 人生秋收糟米端風 驅飛糟風之人 弓乙十勝”이라는 구절을 들어 ‘바라보기만 해도 마귀가 멸해 없어지는데 그가 바로 인생을 추수하러 온 사람이다. 그 사람이 누구냐? 지게미 糟자에서 쌀 米자를 바람으로 날려 보내고 남은 무리 曹가 궁을십승이다’라고 해석한다. 여기에 나오는 조(曹)씨 성을 가진 인물이 궁을십승 주님인데 이는 바로 영생교를 세운 조희성님을 두고 예언된 말이며 ‘우리 주님을 초초로 바라보기만 해도 마귀가 박멸된다’고 설파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그 구절을 찬찬히 짚어보면 동의하기가 매우 어렵다. ‘賽四一’은 구약성경 ‘이사야서 41장’의 일부 내용을 약간 바꾸어 한문으로 옮긴 데 불과한 것으로 이사야서 41장 15~16절에는 이렇게 씌어 있다.

“보라, 내가 너로 이가 날카로운 타작기계로 삼으리니 네가 산들을 쳐서 부스러기로 만들 것이며 작은 산들로 겨 같게 할 것이라. 네가 그들을 까부른 즉 바람이 그것을 날리겠고 회오리바람이 그것을 흩어버릴 것이로되,”

또 다른 주장을 하나만 더 살펴보자. 영생교측은 ‘聖山尋路’편에 나오는 “永生不死聖泉何在 福地桃源仁富之尋”이라는 구절을 ‘죽지 않고 영생할 수 있는 성스러운 샘은 어디 있느냐, 복된 땅 도원인 인(仁)천과 부(富)천 땅에 가서 찾아라’로 해석한다. 또 ‘末運論’에도 仁富之間’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것은 바로 인천과 부천 사이 역곡에 있는 영생교 본부 승리재단을 말하는 것이라는 식이다. 조선시대에 살았던 남사고가 450여 년 뒤에 출현할 한 교주의 성씨와 그 교단 본부의 위치까지 예언했다는 것이다.

지금은 우리 국군의 심장부라 할 수 있는 계룡대가 서 있는 곳이지만, 1970년대까지만 해도 계룡산 신도안은 우리나라 신흥종교 및 유사종교들이 모여 있던 곳으로 유명하다. 이곳에 격암유록을 펼쳐 보이며 자기가 바로 그 책에 나오는 ‘구세진인’이요, ‘정도령’이라고 주장하는 또 한 사람의 종교인이 있다. 일찍이 음란죄를 범치 않겠노라며 스스로 자신의 고환을 거세한 ‘세계일주평화국’ 교주 양도천씨다. 기독교 목사 출신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정감록’을 신봉하면서 자기가 바로 정감록에서 말하는 정도령이라고 오래전부터 주장해온 사람이다.

‘정도령 사명 선언서’라는 제목으로 그는 이렇게 말한다. 격암유록에 “三八之北出於聖人” “渡南來眞主”라는 글이 있는데 이는 ‘평안북도 태생으로 1947년에 월남한 나를 두고 하는 말’이며 또 이 고서에 ‘정도령사명자는 미륵이라고 씌어 있는바, 내 어릴 때의 아명이 미륵이었다’는 것이다. 특히 자신이 바로 신인(神人)임을 확증케 하는 또 한 구절이 있는데, ‘挑符神人’ 편에 나오는 “克己魔로 十勝變이 不具者年 赤?로다”에서 말하는 불구자는 바로 성불구자인 자신을 두고 예언된 글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나오는 ‘불구자년’은 해를 간지로 표시한 병신년(丙申年)을 그 소리와 같은 다른 말, 즉 ‘병신’을 ‘불구’로 바꿔 쓴 데 불과하다. 그것을 자신의 성불구 사실과 연결해 스스로를 합리화하고 있는 것이다.

종교인들이 격암유록을 어떻게 해석하고 이용하는지에 대하여는 이상의 세 가지 사례만 봐도 능히 판단할 수 있는 일이다. 이제부터는 그 밖의 다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설명과 주장을 살펴본다.

격암유록 해설서를 처음 펴낸 한 역술인은 14장의 ‘羅馬簞二’라는 제목을 두고 이렇게 설명한다. “마(馬)는 하늘의 진리를 상징하는 동물이고 라(羅)를 파자한 사유(四維)가 맞지 않으면 똑바른 세상이 되지 못하여 방정(方正)하지 않다.” 또 16장 ‘哥前’은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가(哥)가 앞이면 뒤는 흠(欠) 이라는 특이한 측자법을 써야 풀린다. 가(哥) 뒤에 흠(欠)이란 글자가 없으니 정말 흠핍(欠乏)하여 조화일치는커녕 노래 가(歌)조차 없고 그것은 괴로움이고 고통인 것이다.”

앞서 얘기한 대로 ‘羅馬簞二’는 성경의 ‘로마서 2장’을, ‘哥前’은 ‘고린도전서’에서 ‘고’와 ‘전’, 두 글자를 취해 한자로 음사하여 표기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제목에 대해 저자는 이처럼 무슨 말인지도 모를 이야기를 풀어놓고 있으니 그의 탁월한 어휘 구사와 기상천외한 작문 실력에 그저 경탄을 금치 못할 뿐이다.

이번에는 한 단학 수련단체의 법사라는 이가 쓴 책을 보자. 그는 먼저 자신의 저서 머리말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 비결은 남사고 선생께서 하늘의 신인으로부터 전수받았다는 설과 선정삼매에 들어가 써 내려갔다는 설이 있는데, 필자의 생각으로는 선도수련으로 상단전이 완성되어서 선정삼매에 들어가 미래의 우주정보를 받아 써 내려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격암유록 본문에 자주 나오는 전(田)이라는 글자를 그는 “전(田)은 단전을 의미하는데 단전에는 상·중·하단전이 있다”고 해석한다. 정감록이나 격암유록에 나오는 전(田)이라는 글자의 의미는 쓰임에 따라 다소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나, 이 책의 저자가 말하는 소위 인체의 단전하고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글자다.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이 살아온 삶의 체험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어떤 사물이나 현상 등을 보고 이해하는 하나의 틀을 가지고 있다. 종교인은 각기 다른 종교적 배경과 신앙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역술가는 역학이라는 그 분야의 논리나 가설을 바탕으로, 단학 수련을 하는 사람은 그가 소속된 단체의 수행체계와 자신의 체험을 통해 제각기 자신만의 세계관과 지견으로 이 책의 의미를 해석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격암유록이 유·불·도를 위시해 동학·증산교·기독교 등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종교를 망라하는 사상을 담고 있으며, 다른 비결서에 비해 양적으로 방대할 뿐 아니라 그 표현 기교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여 일반인에게 난해한 책임에는 틀림없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여러 도참, 비결서 중에 이 책만큼 다양한 사상과 내용을 가진 책도 없을 것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동시에 이 책만큼 세간에서 악용될 소지가 많은 책도 다시 없다고 하겠다.

그러나 건전한 상식과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을 갖는다면 격암유록이 어떤 종류의 책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저토록 많은 사람이 왜 이 책을 450여 년 전에 씌어진 위대한 예언서라고 무비판적으로 맹신하는 것일까.

앞서 지적했듯, 격암유록이 국립중앙도서관에 고서로 소장돼 있음을 강조한 여러 해설서를 먼저 들 수 있다. 어쩌면 격암유록을 인용하거나 관련 출판물을 펴내는 사람 자신도 바로 이 점 때문에 맹목적으로 신뢰하게 됐을지 모르겠다. 한자를 파자법으로 쓰기도 하고 때로는 이두(吏頭) 식으로 한자의 음을 그대로 우리말로 사용하는가 하면, 한자의 훈(訓)을 빌려 표현하는 경우도 있고 단어의 글자를 도치시켜 쓸 때도 있고, 고도의 상징적인 말이나 은유적이고 암시적인 표현법을 쓰는 등 온갖 기기묘묘한 표현기법이 등장하는 이 책의 특징도 한 가지 이유가 될 것이다. 일반인으로서는 자칭타칭 그 방면의 전문가라는 인사들이 하는 말이나 그들의 저작물 등을 통해 격암유록의 내용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격암유록이 일반 대중에게 널리 유포되고 위대한 예언서로 신봉되기에 이른 것은, 이 책에 민족에 대한 드높은 자긍심과 장래에 대한 희망을 갖게 하는 내용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근현대사의 여러 역사적 사건에 대한 예언이 그대로 적중했다는 점에서도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末運歌’에는 “錦繡江山我東方 天下聚氣運回鮮 列邦諸民父母國 萬乘天子王中王”이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금수강산 우리나라 동방에 천하의 기운이 모여든다. 세계 만백성의 부모국이니 만승천자가 나와 왕 중의 왕이 되네’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같은 글을 대하면 누구나 참으로 가슴 뿌듯한 민족적 자긍심을 느끼게 된다. 말세 이후에 우리나라가 초강대국이 되어 온 세상을 다스리게 되고 세계만방에서 사신들이 공물을 가득 싣고 온다는 등의 말은 또 얼마나 우리를 희망에 부풀게 하는가.

또한 ‘末運論’에는 “太神歲壬申乙巳運 五白而七四始末”이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태조의 햇수는 임신년(1392년)에서 을사년(1905년)까지 가고, 그 시작과 끝은 500년이며 (왕조는) 7×4=28대(代)이다’로 해석된다. 태조 이성계는 1392년에 조선을 개국했고 1905년 을사보호조약으로 국운이 다했다. 그 500년간 역대 임금은 28대였다. 그러니 격암유록을 쓴 이는 조선왕조 역대 왕의 대수는 물론 그 몰락시기까지 미리 내다보고 정확히 예언했다는 것이다.

‘末初歌’에 있는 “靑鷄一聲半田落이 委人歸根落望故로 兩人相對河橋泣에 牽牛織女相別일세”라는 구절을 역학논리를 응용해 풀면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청(靑)은 오행으로 목(木)이고 천간으로는 갑(甲)이나 을(乙)이 된다. 계(鷄)는 닭이므로 지지로는 유(酉)가 된다. 따라서 청계는 을유년을 뜻하고 서기로는 1945년이다. 일성(一聲)이 한 큰소리를 뜻한다고 보았을 때, 1945년 히로시마에 떨어진 원자폭탄의 굉음으로 풀이할 수 있다. 반전(半田)은 田을 半으로 나누면 일(日)자가 되므로 일본을 의미한다. 따라서 ‘靑鷄一聲半田落’은 1945년에 원자폭탄이 떨어져 일본이 망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오는 위인(委人) 두 글자를 측자하면 왜(倭)가 되어 역시 일본을 의미한다. 따라서 ‘委人歸根落望故로 兩人相對河橋泣에 牽牛織女相別일세’라는 말은 ‘일본은 망하여 제 나라로 돌아가고 우리 민족은 마치 견우직녀가 오작교에서 울면서 서로 이별하듯 남북으로 갈라진다’는 것을 예언한 문구가 된다.

‘末運論’에 있는 “患亂之發 問於何時 玄蛇前三”이라는 구절은 ‘환란이 발생하는 때가 어느 때인가 묻는다면 계사년 3년 전이다’로 풀이할 수 있다. 현(玄)은 북방을 뜻하며 천간으로는 임(壬)이나 계(癸)이고, 사(蛇)는 뱀으로 지지로는 사(巳)이니 결국 ‘玄蛇’는 癸巳年을 말한다. 1953년이 계사년인데 그 3년 전이라 하니 1950년이다. 따라서 이 구절은 1950년에 발발한 6·25전쟁을 말한 것이다.

‘三八歌’에 “十線反八三八이요 兩戶亦是三八이며 無酒酒店三八이니 三字各八三八이라”는 구절이 있다. 십선반팔(十線反八)은 판(板)자를 파자한 것이고, 양호(兩戶)는 戶자를 양쪽에 쓰면 門문자가 된다. 이어서 무주주점(無酒酒店)은 酒店에서 酒자가 없다는 말이니 그러면 店자만 남게 되어 결국 위의 세 구절은 각각 板자와 門자, 店자를 가리켜 ‘판문점’을 말한 것이 된다.

더욱 기묘한 것은 마지막 절(節)에서 보듯 板門店 이 세 글자가 각각 8획이 되는 것에 운을 맞추어 三八歌로 노래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글을 지은 이가 놀라운 통찰력과 재치는 물론 시문(詩文)에도 능한 인물임을 유추할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末初歌’에 “四九辰巳革新으로 三軍烽火城愚賊을 軍政錯亂衆口鉗制니 口是禍門滅身斧라”라는 내용이 나온다. 동양철학의 논리에서 四와 九는 오행이 금(金)이고 천간으로는 경(庚)과 신(辛)이 된다. 이어서 진사(辰巳)는 辰월과 巳월을 뜻한다. 앞의 천간과 지지를 써서 경(자)년 (임)진월, 그리고 뒤는 신(축)년 (계)사월이 된다. 앞의 경자년 임진월에는 4·19혁명이, 뒤의 신축년 계사월에는 5·16군사정변이 일어났다. 결국 위의 글은 혁명을 일으켜 부정부패의 적을 척결한 군사정권이 대중의 입을 다물게 하여 독재정치를 할 것이니 언론이나 국민은 말조심을 하라는 얘기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 구절만 더 보자. ‘末初歌’에 “無面相語萬國語는 金絲千里人言來요 東北千里鐵馬行은 三層畵閣人坐去라 空中行船風雲捷은 赤旗如雨白鶴飛라”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얼굴을 마주하지 않고도 만국이 서로 말하는 것은 쇠실을 통해 사람의 말이 천리를 오가기 때문이오, 동북천리를 철마가 달리는 것이 마치 높은 집에 사람이 앉아서 가는 격이라. 공중에서 배가 풍운 속을 민첩하게 다니는 것이 마치 흰 학이 나는 것과 같도다’로 해석된다. 전화가 발명되고 기차와 비행기가 운행되리라는 것을 예언한 셈이다.

참으로 기가 막힌 예언들이 아닐 수 없다. 수백년 뒤에 일어날 일을 이토록 눈앞에 보여주듯 생생하게 예언하는 것이 귀신이 아니고서야 어찌 가능하다 하겠는가. 그래서 사람들이 이 책을 썼다는 남사고라는 인물을 신인(神人)이라고 부르고 싶은 것일 게다. 그러나 과연 그게 전부일까.

9. 전도관과 격암유록

문제의 핵심은 ‘격암유록’을 과연 언제, 누가 썼느냐 하는 부분이다. 필사본이 세상에 유포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필사자는 이 책이 수백년 전에 씌어진 것이며, 자신이 쓴 책의 말미에 그 책을 갑신년 윤사월, 즉 1944년 봄에 복사했다고 적었다. 여기서 한 가지 눈여겨볼 것이 필사본에 예언된 역사적 사건 가운데 최근세의 것이 5·16군사정변이라는 사실이다. 혹자는 격암유록에 제5공화국 정권이나 88올림픽도 예언되어 있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이는 근거가 없는 억지 주장이다.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술은 분명히 5·16군사정변이 마지막이다.

나는 여기서 1958년에 신앙촌에 입주해 책을 집필하고 난 뒤 1961년에 그곳을 떠난 선친을 생각한다. 신앙촌에서 아버지가 위임받은 일이 바로 전도관에 관련된 책을 쓰는 일이었고, 그때 집필한 책의 제목이 ‘格菴遺錄’이었음은 내가 분명히 보았고 기억하고 있는 사실이다. 나로서는 아버지가 격암유록이라는 책의 집필을 마친 시기가 바로 1961년 5월 무렵으로 그해 가을 신앙촌을 떠나신 일을 상기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이도은이라는 사람은 선친이 쓴 책을 원본으로 해서 필사본을 쓴 것이 아닐까. 당연한 말이지만, 이미 지나간 역사를 수백년 전 예언인 듯 감춰 쓰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물론 그 내용은 그 후의 사정에 맞추어 첨삭하거나 보필했다고 볼 수 있다.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술과 달리 전도관과 박태선에 대한 내용은 1975년의 일까지 기술되어 있다. 이렇게 보면 이 필사본은 1975년 이후에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누군가가 1977년에 이 필사본을 국립중앙도서관에 기증한 것이다.

‘정감록’을 비롯해 ‘도선비기’ ‘무학비결’ ‘삼역대경’ ‘궁을가’ ‘토정가장결’ ‘서계이선생가장결’ 등과 기독교 ‘성경’에 이르기까지 온갖 도참, 비결류와 경서에 나오는 용어와 일부 내용들이 인용된 격암유록 본문 전체를 완벽하게 해독하기란 실로 지난한 일이다. 그러나 이 책을 수차례 정독하고 나니 나는 이 책이 어떤 목적으로 어디서 쓴 것인지를 어렵지 않게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 나 자신이 이 격암유록을 해독할 만한 풍부한 식견이나 지혜를 갖춰서라기보다는 이 책에 나오는 여러 가지 말과 내용이 내게 너무나 친숙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본문에는 신천촌(信天村), 인부간(仁富間), 소사(素沙), 범박(範朴), 소래산(蘇來山) 등 여러 곳의 지명이 나온다. 우리 가족이 살던 신앙촌이 바로 인부간, 즉 인(仁)천과 부(富)천 사이에 있는 소사읍 범박리에 있었고, 소래산은 인근에 있는 산 이름이다. 그 밖에 생명수, 천향, 구원방주, 보혜사 같은 말들 또한 주일 집회 때마다 제단에서 늘 들어온 얘기였다. 물론 내가 격암유록을 몇 번 독파했다고 해서 처음부터 그 내용을 모두 해독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여러 사람이 펴낸 격암유록에 관련된 출판물들을 접하는 과정에서 내가 미처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깨우치기도 했고 잘못 알고 있던 구절이 새롭게 인식되기도 했다.

이 책은 겉으로는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대한 예언, 세상의 종말과 그 말세 때의 환란을 피할 수 있는 방책, 그 밖에 여러 가지 잡다한 내용이 기술돼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이면에 자리하고 있는 것은 전도관과 박태선 그리고 신앙촌에 관한 것이다. 내용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자명하게 밝혀지는 일이다. 먼저 그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몇 구절을 살펴본다.

‘挑符神人’에 “最好兩弓木人으로 十八卜術誕生하니 三聖水源三人之水 羊一口의 又八일세”라는 구절이 있다. 이를 해독하려면 먼저 파자된 문자부터 알아보는 것이 순서다. 十과 八과 卜 세 글자를 함께 쓰면 朴자가 된다. 다음 三과 人과 水 세 글자는 泰자를 이루고, 끝으로 羊과 一과 口와 八, 이 넷은 善이 된다. 박태선(朴泰善)을 이렇게 파자로 표현한 것이다. 이렇게 보면 이 구절의 전체적인 내용은 ‘가장 훌륭한 성인으로 박태선이 탄생한다’가 된다.

다음은 전도관이 파자로 씌어 있는 글을 보자. ‘道下止’에 나오는 “人惠無心村十八退 丁目雙角三卜人也 千口人間以着冠也 破字妙理 出於道下地也”라는 구절이다. 惠에서 心을 없애고, 村에서 十八(木)을 물리쳐 남은 과 寸을 함께 쓰면 專자가 되고, 여기에 맨 앞에 나오는 人을 붙이면 傳자가 된다. 따라서 ‘人惠無心村十八退’는 전(傳)이라는 글자를 말한 것이다. 다음으로 丁자 밑에 目을 쓰면 이 되는데 그 위에 한 쌍의 뿔(雙角)을 얹어 首를 이루고, 여기에 三, 卜, 人, 이 셋을 합한 ?(?)자를 함께 쓰면 道가 되어 결국 ‘丁目雙角三卜人也’는 도(道)자를 파자로 쓴 것이다. 다음 千, 口, 人, 이 세 글자를 합하면 舍자가 되고 여기에 冠(官)을 같이 쓰면 ·#53949;자가 되므로 이 ‘千口人間以着冠也’는 관(·#53949;)의 파자다. 마지막 구절에서 이 글을 쓴 이 스스로가 전도관을 파자의 묘리로 표현한다고 고백하고 있다. ‘도하지(道下止·도가 내려온 터)’라는 표현도 재미있다.

혹자는 위에 나온 글도 시각에 따라 또 달리 해석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얘기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위의 구절들은 그 파자풀이가 너무도 명백해서 다른 견해가 있을 여지가 거의 없다고 할 것이다. 이는 앞서의 다른 파자풀이와 비교해보면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이제부터는 격암유록 본문에 나오는 차례대로 박태선과 전도관에 관한 구절들을 해독해보기로 한다.

“八力十月二人尋 人言一大十八寸”은 먼저 八과 力, 月과 二, 여기에 人까지 다섯 자를 조합해 勝(승)자를 만들고 세 번째 있는 十자를 앞에 쓰면 十勝이 된다. 십승은 정감록과 기타 비결 등에 전란과 기근을 피할 수 있는 곳이라고 자주 나오는 십승지(十勝地)를 말하는 것으로 말세의 피난처를 의미한다. 다음 人과 言을 함께 써 信자가 되고, 一과 大는 天, 十과 八과 寸을 조합하면 村자를 이룬다. 따라서 ‘人言一大十八寸’은 신천촌(信天村)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그러니까 위의 글은 ‘말세의 피난처를 찾아라. (그곳이 바로) 신천촌이다’라는 뜻이다. 여기서 신천촌은 신앙촌을 가운데 글자 하나만 바꿔 쓴 것이다.

“十勝十勝何十勝 勝利臺上眞十勝”이란 구절은 앞의 글과 비슷한 내용이다. ‘십승십승 하는데 그곳이 어디냐, 승리대 위가 진정한 십승이다’라는 뜻이다. 승리대는 전도관의 별칭이다. 박태선은 생시에 승리제단을 짓는다고 신자들로부터 헌금을 걷은 바 있고, 1980년대에 출현한 영생교의 본부가 부천시 역곡동에 있는데 그들도 역시 이곳을 승리제단이라고 부른다.

“吉地吉地何吉地 多會仙中是吉地 三神山下牛鳴地 溪水範朴是吉地”라는 구절은 ‘길지길지 하는데 어디가 길지인가. 신선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 길지다. 삼신산 아래 소 울음소리가 들리는 땅, 계수와 범박, 이곳이 길지다’로 풀이된다. 전도관 신자들을 신선으로 표현하고 있다. 소 울음소리란 신자들이 제단에서 기도할 때에 마치 송아지가 어미 소를 찾는 울음소리처럼 영모님을 부르는 것을 비유하여 말한 것으로 보인다. 송아지 울음소리의 ‘음메’와 ‘영모’소리가 그 음이 유사한 데서 착안한 표현일 것이다. 전도관에서는 박태선을 영모님으로 부른다는 것은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삼신산은 경기도 소사 신앙촌 주위에 있는 소래산, 노고산, 성주산, 이 세 산을 말하는데 이 중 특히 소래산(蘇來山)은 그 글자가 뜻하는 것처럼 예수(기독교 전래 초기에는 예수를 야소(耶蘇)라고 쓰고 그렇게 불렀다)가 오시는 산이라며 은연중에 박태선을 이 땅에 오신 재림예수라고 선전하였다. 계수(桂樹)와 범박(範朴)은 신앙촌이 위치한 소사읍 계수리와 범박리의 동리 이름이다.

“好事多魔此時日 雙犬言爭艸十口 暫時暫時不免厄”은 ‘호사다마로 이때에 옥고를 치르는데 잠시잠시 액을 면치 못한다’는 의미다. 雙犬言爭(쌍견언쟁)은 言자를 사이에 두고 두 마리 개가 다투고 있음을 말함이니 바로 감옥 옥(獄)자를 뜻함이오, 艸자와 十과 口는 苦(고)자를 파자한 것이므로 ‘雙犬言爭艸十口’는 옥고(獄苦)를 의미한다. 위의 글은 박태선이 1960년을 전후해 두 차례 구속되어 감옥생활을 한 것을 두고 말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옛 비결에도 이렇게 그의 옥고가 예언되어 있다면서 그의 구속과 옥중생활을 합리화하기 위해 만든 구절로 볼 수 있다.

“十勝兩白矢口人 不顧左右前前進 死中求生元眞理 出死入生信天村”이란 ‘십승과 양백을 아는(矢+口=知) 사람(人)은 좌우를 돌아보지 말고 앞으로 앞으로 나아가라. 죽음 가운데 생명을 구하는 것이 으뜸가는 진리다. 신천(앙)촌을 나가면 죽고 들어오면 산다’는 의미다.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없는 구절이다. 십승의 의미는 앞에서 애기했고, 兩白은 양백진인(兩白眞人)을 줄인 말로 말세의 진인, 곧 박태선을 지칭하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

격암유록에 첫 번째로 나오는 ‘南師古秘訣’ 한 장 가운데서만 발췌한 전도관과 박태선, 그리고 신앙촌을 증거하는 구절들이 위와 같다. 총 60장 전문에서 다 찾아내 열거한다면 얼마나 많겠는가. 시기적으로 늦게 기록된 것으로 보이는 내용과 마지막 장인 ‘甲乙歌’에 등장하는 한 구절만 더 보자.

“堯舜亦有不肖子息 末聖豈無放蕩兒只”는 ‘요순임금도 불초자식이 있었다. 말세성군이라 해서 어찌 방탕한 자식이 없겠는가’의 의미다. 이 구절은 1975년 박태선의 장남 박동명의 엽색행각과 방탕한 생활이 세상에 알려져 일반인의 지탄의 대상이 된 것을 의식해 쓴 것으로 보인다.

“三處朴運誰可知 枾從者生次出朴 天子乃嘉鷄龍朴 世人不知鄭變朴”은 ‘세 곳을 다니는 박(朴)을 누가 알겠는가. 감람나무를 따르는 자는 (죽지 않고) 사네. 천자이시며 아름다우신 박, 바로 계룡산의 정도령이 박으로 변하여 오신 것을 세상 사람들은 알지 못하네’라는 말이다. 여기서 朴은 물론 박태선을 가리킨다. 전도관의 신앙촌은 처음 경기도 소사를 시작으로 후에 덕소, 경남 기장에 건립되었는데, 세 곳을 다닌다는 구절은 이 세 신앙촌을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실제로 주일 집회 때마다 박태선은 소사-덕소-기장의 순으로 다니면서 집회를 인도했다.

예전부터 민간에서는 정감록 등 도참, 비결에서 말세의 진인으로 나올 인물을 정도령으로 지칭해왔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바로 박태선이 비결에서 예언된 정도령으로 오신 분이라는 게 이 구절에서 증거하는 내용이다. 감람나무 또한 전도관에서 박태선을 지칭하는 말인데, 이 글에서 감람나무를 그 음이 유사한 감나무(枾)로 표현한 것이 재미있다.

이제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1970년대 후반에 세상에 나와 인구에 회자되고 있는 격암유록이라는 책은, 450여 년 전 조선 중기의 예언가였다는 격암 남사고라는 인물의 이름을 빌려 불과 30~40년 전에 누군가가 일정한 의도와 목적을 가지고 옛 비결서로 위장해 집필한 위서(僞書)임이 분명하다. 이미 지나간 과거의 사실을, 마치 후대에 일어날 일을 미리 예언하는 것처럼 여러 가지 다양하고 교묘한 표현수법으로 기록한 것이다.

10. 필사자와의 만남

격암유록이 450여 년 만에 신비의 베일을 벗고 출현한 민족의 경전으로, 천기를 밝힌 위대한 예언서로 선전되고 이용되는 것을 목도하면서도 어떻게 하지 못하는 나 자신의 무력함이 스스로 안타까울 뿐이었다. 세간에 나도는 ‘격암유록’이 위서임을 밝히는 책을 써볼까 생각해보았지만 그렇게 하려면 그 책과 관련된 나의 가족사나 개인적인 사정을 함께 밝힐 수밖에 없을 터였다. 참으로 민망한 노릇이었고 차마 그럴 용기가 나지 않았다.

1990년대 중반에 나는 4년 가까이 재직 중인 회사의 해외지사에서 근무하느라 국내를 떠나 있었다. “눈에 보이지 않으면 마음도 멀어진다”는 말처럼 격암유록에 대해서는 한동안 잊고 지냈다. 그러다가 해외근무를 마치고 귀국한 1998년 연말 무렵의 어느 날이었다. 서점에 들러 그동안 새로 간행된 관심 있는 분야의 신간들을 둘러보다가, 나는 ‘위대한 가짜 예언서, 격암유록’이라는 책을 발견하고 깜짝 놀랐다.

지은이는 역학과 비결서 등에 깊은 식견과 탁월한 통찰력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 책을 읽으면서 ‘이럴 수가’ 하고 연이어 감탄했을 정도로 격암유록에 대한 이해와 해독 내용이 내 견해와 대부분 일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놀란 사실은 그가 격암유록의 필사자인 이도은이라는 노인을 만났다고 밝히고 있는 점이었다. 내가 1985년 필사본에 적힌 주소지로 직접 찾아가 수소문했으나 행적을 밝히지 못한 것을, 이 책의 저자는 너무도 쉽게 추적해 노인을 직접 만난 것이다.

이 노인은 신앙촌에 있는 사람이라고 했다. 등잔 밑이 어두웠던 셈이다. 책에는 필사자 자신이 스스로 필사한 책을 국립중앙도서관에 기증했다는 사실까지 밝혀져 있었다. 이는 그때까지 격암유록이란 책에 대해 내가 갖고 있던 추정과 심증을 뒷받침하는 것이었으므로, 나는 주체할 수 없는 흥분에 가슴이 뛰기 시작했다.

특히 이도은이라는 이름은 가명이고 본명은 이○○이며, 충청도 출신이라는 이야기는 나로 하여금 거의 확신에 가까운 어떤 정황을 회상케 했다. 아버지가 1960년을 전후해 신앙촌에서 책을 집필할 때 종종 우리집을 찾아와 아버지에게 무엇을 묻기도 하고 대화를 나누기도 하던 사람이 바로 충청도 말씨를 쓰는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이었다는 것을 상기해낸 것이다. 나이가 얼마쯤 아래인 그를 아버지는 ‘이 선생’이라고 호칭하였고, 그는 아버지께 ‘선생님’이라고 부르며 깍듯이 대했다.

나는 그제야 필사본 격암유록이 어떻게 씌어졌는지에 대해 확실하게 추정할 수 있었다. 그렇다. 이○○씨가 필사한 책은 나의 아버지가 최초로 집필한 격암유록을 원본으로 그 후의 상황들을 이씨가 추가로 보필해 완성해낸 것이다. 그러고 나서 그는 자신이 쓴 필사본을 직접 도서관에 기증한 것이다. 이제 필사자 이○○씨를 내가 직접 만나 확인하기만 하면 되는 일이다. ‘위대한 가짜 예언서, 격암유록’의 저자가 1993년에 이씨를 만났을 때 그의 나이가 여든여덟이라고 했다. 이때가 1998년이었으므로 그의 나이는 아흔셋이 될 터였다. 고령의 나이이긴 해도 책에서 정정하다고 묘사할 정도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생존해 있을 가능성은 충분했다.

나는 먼저 ‘위대한 가짜 예언서, 격암유록’의 저자를 만나보기 위해 출판사에 전화를 걸었다. 그러나 전화는 연결되지 않았다. 책에 나와 있는 번호는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영세한 출판사라서 그 사이 문을 닫았거나 다른 사정이 있는지도 몰랐다. 책을 쓴 저자의 이름도 필명인 듯했다. 나는 격암유록에 대해 나와 동일한 견해와 인식을 가진 저자를 만나지 못하는 것이 못내 아쉬웠으나, 바로 필사자 이 노인을 만나기 위해 경기도 소사의 신앙촌으로 향했다.

소사의 신앙촌은 이미 오래전에 일반 주거지역이 된 것을 알고 있었으나, 아직도 그곳에 살고 있는 예전 신앙촌 사람이 적지 않았다. 이 노인의 소식은 쉽게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무슨 불운이란 말인가. 그가 불과 얼마 전에 서울에 있는 아들 집에서 사망했다는 것 아닌가. 격암유록과 관련해 나의 심증과 추정을 확인해줄 유일한 인물을 만날 수 없다는 것은 천길 나락으로 추락하는 것 같은 절망이었다. 그를 만나면 증언을 확보해두는 것이 좋으리라는 생각에서 여행용 가방에 녹음기와 카메라까지 준비해 갔는데….

나는 이 노인의 아들이라도 만나보면 또 다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아들이 살고 있다는 서울로 향했다. 어렵사리 만난 이 노인의 아들은 60대 초반의 대학 교수였다. 나하고는 나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안면은 없었지만, 옛날 신앙촌 얘기를 함께 나누면 서로에 대한 이해와 친화감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해서 내가 먼저 신앙촌에서 살던 얘기를 꺼냈다. 그러자 그는 안색을 바꾸면서 “용건이 뭐냐”고 무뚝뚝하게 물었다.

그의 태도와 표정으로 보아 신앙촌에 대해 상당한 거부감과 기피의식을 가진 게 분명했다. 나는 그의 처지와 심중을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했다. 나 자신부터 신앙촌에 관한 일은 누구에게도 말하고 싶지 않은 어두운 과거이기 때문이다. 나는 조심스럽게 이 노인을 찾게 된 연유를 말하고, 어릴 때 종종 뵈었다는 말과 함께 그분의 사진이 있으면 한번 보고 싶다고 청했다. 그는 마지못해 영정으로 사용한 듯한 액자사진을 보여주었다. 확대해서 인화한 사진처럼 보였으나 전체적인 얼굴 윤곽이며 온후한 인상이 내 기억 속에 있는 그 사람, 우리집에 드나들던 ‘이 선생’의 모습이 분명했다. 감사하다는 인사를 하고 혹시 그가 남긴 서책 같은 것이 있느냐고 묻자, 이 교수는 “그런 것은 없다”면서 귀찮다는 표정을 지었다.

돌아서 나오는 나의 심경은 두 가지 서로 다른 감정으로 착잡하기만 했다. 우선은 격암유록에 대해 그때까지 내가 갖고 있던 심증과 추정이 사실로 확인되었다는 것이고, 다음으로는 이제 무엇으로, 어떻게 격암유록이란 책의 실체를 밝힐 수 있겠는가 하는 아득한 절망감이었다.

11. 역사의 증명

이제 격암유록이란 책을 누가, 언제 썼는가 하는 것은 그리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자신이 필사자이며 동시에 국립중앙도서관에 기증한 당사자라고 주장한 이 노인도 세상을 떴다. 그리고 내게는 이 노인이 쓴 필사본의 원본이 선친께서 최초로 집필한 ‘格菴遺錄’이라고 주장할 만한 아무런 물적 증거가 없다. 설령 이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 예컨대 그 원본을 어디선가 발견한다 할지라도 그 또한 종이에 붓으로 쓴 한 서책에 불과할 뿐 그 집필 동기나 경위 등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겠는가.

또한 그것은 한 종교의 회유에 응해 가짜 예언서를 집필한 선친을 욕되게 하는 일이 될 터인데 자식으로서 무슨 실익이 있다고 그런 불효를 범하겠는가. 책의 집필을 전후해 그토록 번민하며 허탈해 하시던 아버지의 심경을 이제 뒤늦게나마 나는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그것은 필시 위서를 쓰는 데 대한 당신의 양심에 따른 자책과 고통이었을 것이다.

지난 세기말, 여러 지구적 재난과 종말론에 편승해 그토록 세간의 화제가 되었던 격암유록도 새천년 시대를 맞이한 이후 그 인기가 현저히 수그러들었다. 노스트라다무스가 썼다는 ‘제세기’ 또한 마찬가지다. 결국 역사가 이 책들의 진위를 증명했다고나 할까.

이른바 무슨 무슨 경(經)이나 록(錄), 비결(秘訣)이라는 이름으로 지금껏 세간에 은밀히 유포되어 나돌던 책이 얼마나 많았던가. 하나같이 출처나 저자도 분명치 않고 내용 또한 갖가지 교묘한 수법으로 애매하게 기술되어 있어 이용하는 사람에 따라 얼마든지 자의적으로 풀어 둘러댈 수 있는 책이었다. 신흥 종교인들이 대중을 현혹하고 그들의 교리를 정당화하기 위한 도구로 삼았던 책, 역술가나 민족 신앙인들, 혹은 도를 구한다는 사람이나 옛것을 좇아서 탐구하기를 좋아하는 이들이 자신의 박학다식을 자랑하며 온갖 어지러운 잡설로 풀어내는 책. 아무런 근거도 없는 이와 같은 서책들을 얼마나 많은 사람이 우리 옛 조상들이 남긴 소중한 고서요, 자랑스러운 민족의 유산이라며 맹신하고 추종해왔던가. 그에 따른 개인적인 희생과 사회적 파장은 또 얼마나 컸을 것인가.

첨단 과학문명을 구가하며 높은 교육수준과 온갖 다양한 정보로 무장한 인터넷 시대의 현대인들이 점집을 드나들며 사주나 풍수에 사로잡혀 시간과 정력을 쏟아 붓기도 하고 엉터리 예언서에 빠져드는 현상을 보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운 듯하면서도 또한 한없이 어리석은 것이 인간인 듯싶다.

당선소감

국가 중대사가 있을 때마다 이른바 도사, 역술가, 무속인 등 일단의 예언가들이 등장하고, 항간에는 그들이 언급했다는 여러 가지 설이 은밀한 가운데 나돌게 마련이다. 대통령선거를 불과 두 달 남짓 앞둔 지금, 본인이 응모한 작품 ‘격암유록의 실체를 밝힌다’가 최우수작으로 당선되었다는 통보를 받은 이 시점에도 필자는 평상시 교분을 나누고 있는 도(道)판의 지인들로부터 대선과 관련된 이런저런 얘기를 전해 듣고 있다. 그 가운데 어떤 내용들은 실제로 여러 매체에 기사화되는 경우를 보기도 한다.

이때마다 설들을 언급하는 이들이 자신의 예언 전거(典據)로 으레 들고 나오는 것이 도참, 비결서들이고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언급되는 책이 바로 ‘격암유록’이다. ‘격암유록이라는 비서(秘書)에 이러저러한 구절이 나오는데, 이를 파자(破字)로 풀면 바로 이러한 인물이 다음 대통령이 된다’는 식이다. 격암유록의 표현이 다분히 은유적이고 암시적이며 그 풀이 또한 주장하는 자의 자의적인 해석에 지나지 않음에도 관련자들은 물론 일반 대중까지 그들의 말에 솔깃이 귀를 기울인다.

숙명과도 같은 개인사적인 역정을 통해 그 집필 배경과 경위를 분명하게 인지한 ‘격암유록’이라는 책의 실체를 이제 명백하게 밝히게 된 것을 역사적인 필연으로 받아들인다. 소중한 기회를 마련해준 ‘신동아’와 심사위원들께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허진구(필명) ● 1950년 전북 정읍 출생 ● 한양대 국문과 졸업

● 14년간 정부 산하기관 재직, 이후 1998년까지 무역회사 근무

● 수필가, 청학동 서당 훈장 ● 2000년 이후 경남 남해에 정착, 노동수행공동체 추진 중

 

 

위의 자료와 같이 참고하면 좋을 듯하여 캡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