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격(3)

작성일
2007-09-12 12:07
조회
2759
【滴天髓原文】

影響遙繫旣爲虛. 雜氣財官不可拘.

영향요계기위허. 잡기재관불가구.

【滴天髓徵義原文】

影響遙繫. 卽暗?暗合等格. 扶?者散也. 合者化也. 何能爲我所用乎. 至於雜氣財官. 亦是書蛇添足. 夫戊之在辰戌. 己之在丑未. 乃本氣用事. 非墓也. 乙辛之在辰戌. 癸丁之在丑未. 乃本方餘氣. 亦非墓也. 特辰中癸. 戌中之丁. 丑中之辛. 未中之乙. 乃誠墓耳. 故生於四季. 如用辰戌之戊. 丑未之己. 猶如用餘入支之本氣. 如用辰戌中之乙辛. 丑未中之癸丁. 猶之用餘入支之所藏. 皆不待刑?而得力也. 惟用辰戌中之癸丁. 丑未中之辛乙. 慮其閉藏, 當求其透出. 天干苟得透出. 亦不待刑?而後得力也. 不能透出. 乃講刑?. 然墓神强旺. 遇刑則動. 遇?則發. 是爲開庫. 墓神衰弱. 遇刑則敗. 遇?則拔. 是爲剋倒. 若土則本無刑?. 更不待言矣. 命者, 五行之理也. 格者, 五行之正也. 論命取格. 須究五行正理. 澈底根源. 則窮通壽夭, 自不爽矣. 大凡格局眞實而純粹者. 百無一二. 破壞而雜亂者. 十有八九. 無格取, 無用可尋者甚多. 格正用眞. 行運不悖. 名利自如. 格破用損. 謂之有病. 憂多藥少. ?行運得所. 去其破損之物. 扶其喜用支神. 譬如人染沈?. 得良劑以生也. 不貴亦當. 無格可用者. 尋其用神. 若用神有力. 行運安頓. 亦可以?業興家. 無格可取. 無用可尋. 只可看其大勢. 與日主支所向. 運途能補其所喜. 去其所忌. 雖碌碌營生. 可免飢寒之患. 若行運又無可取. 則不貧亦賤. 若格正用眞. 行運五行反悖. 一生有志難伸.

영향요계. 즉암충암합등격. 부충자산야. 합자화야. 하능위아소용호. 지어잡기재관. 역시화사첨족. 부무지재진술. 기지재축미. 내본기용사. 비묘야. 을신지재진술. 계정지재축미. 내본방여기. 역비묘야. 특진중계. 술중지정. 축중지신. 미중지을. 내성묘이. 고생어사계. 여용진술지무. 축미지기. 유여용여입지지본기. 여용진술중지을신. 축미중지계정. 유지용여입지지소장. 개불대형충이득력야. 유용진술중지계정. 축미중지신을. 여기폐장, 당구기투출. 천간구득투출. 역부대형충이후득력야. 불능투출. 내강형충. 연묘신강왕. 우형즉동. 우충즉발. 시위개고. 묘신쇠약. 우형즉패. 우충즉발. 시위극도. 약토즉본무형충. 갱부대언의. 명자, 오행지리야. 격자, 오행지정야. 논명취격. 수구오행정리. 철저근원. 즉궁통수요, 자불상의. 대범격국진실이순수자. 백무일이. 파괴이잡란자. 십유팔구. 무격취, 무용가심자심다. 격정용진. 행운불패. 명리자여. 격파용손. 위지유병. 우다약소. 당행운득소. 거기파손지물. 부기희용지신. 비여인염심아. 득량제이생야. 부귀역당. 무격가용자. 심기용신. 약용신유력. 행운안돈. 역가이창업흥가. 무격가취. 무용가심. 지가간기대세. 여일주지소향. 운도능보기소희. 거기소기. 수녹녹영생. 가면기한지환. 약행운우무가취. 즉부빈역천. 약격정용진. 행운오행반패. 일생유지난신.

‘그림자, 메이리 쳐다봄과 얽힘은 모두 헛된 것이고, 집기재관에도 구애받지 않는다.’

“영향요계라는 말은 즉 암충이나 암합 등의 격을 말한다. 대저 충이라고 하는 것은 흩어지는 것이다. 합은 변화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내가 쓸 수가 있겠느냐는 말이다. 내지는 잡기로 되어 있는 재관이라는 말도 또한 뱀 그림에 발을 그려 넣는 것과 다름이 없으니 대저 戊土가 辰戌에 있고, 己土가 丑未에 있으면 이것은 本氣에 해당하는 고로 그대로 용신으로 사용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니 이것은 묘라고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乙木이 辰에 있거나 辛金이 戌에 있을 경우나 癸水가 丑에 있는 경우, 그리고 丁火가 未에 있는 경우에는 각자 자신의 餘氣에 해당하는 것이니 또한 묘가 아닌 것은 당연하다.

특별히 辰土 속의 癸水와 戌土 속의 丁火, 丑土 속의 辛金, 그리고 未土 속의 乙木에 대해서만 진실로 묘라고 할 뿐이다.

그러므로 사계절에 태어난 경우, 예를 들면 辰戌 속의 戊土를 용신으로 삼거나 丑未 속의 己土를 용신으로 삼을 경우에는 마치 다른 8개의 지지에서 본기를 용신으로 삼은 것과 완전히 같은 것이다. (가령 申金의 庚金, 亥水의 壬水, 寅木의 갑목, 卯木의 乙木, 등등)

또 예를 들어 辰土의 乙木이나 戌土의 辛金, 丑土의 癸水나 未土의 丁火를 용신으로 삼았다면 이것은 마치 다른 8개의 지지에서 餘氣를 용신으로 삼은 것과 다름이 없으니 형충을 기다려서 힘을 얻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오로지 辰土 속의 癸水나 戌土 속의 丁火, 丑土 속의 辛金, 丁火 속의 乙木을 용신으로 했을 경우에만 갇혀 있는 것으로 간주를 해서 마땅히 투출이 된 다음에 사용을 한다고 할 것이다. 천간에 구태여 투출이 되었다면 또한 형충을 기다린 다음에 발한다고 할 것이 없다. 그리고 투출이 불가능하다면 이것은 형충을 꾀하게 될 것인데 그러나 묘신이 강왕하다면 형하면 동하고 충하면 발한다고 할 것이니 이는 창고가 열렸다고 해도 될 것이다.

그런데 묘신이 쇠약하다면 다시 형충을 만나게 되면 그대로 형하면 깨어질 것이고, 충하면 뽑혀버릴 것인데, 이것이 바로 극으로 꺼꾸러진 경우이다. 토는 본기이니 서로 형충을 할 필요가 없는 일이고, 다시 기다리고 자시고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팔자라는 것은 오행의 이치가 되고 격은 오행의 바름이 되는데, 명을 논하고 격을 취함에는 반드시 오행의 바른 이치를 연구해서 철저하게 근원을 규명한즉 궁리하면 길흉이 그대로 통할 것이다.

대저 격국이 진실하고 순수한 자는 백에 하나 둘 있을까 말까 하고, 깨어지고 혼란스러운 자는 열이면 8, 9명은 될 것이고, 또 격도 취할 수 없고, 용신도 찾기 어려운 사주가 억수로 많으니, 격이 바르고 용신이 진실하고 운에서도 어그러지지 않는다면 부귀공명은 자연히 마음대로 될 것이다.

격이 깨어지고 용신이 손상되었다면 병이 들었다고 말을 하거니와 근심은 많고 즐거움은 적을 것이다. 혹시 행운에서 도와준다면 깨어지고 손상된 부분을 제거해서 희용신을 도와 줄 것이니 비유한다면 사람이 나쁜 병이 들었다가 좋은 약을 얻어서 살아나는 것과 같다고 할 것인데 그래서 귀하지 못하면 또한 부자라도 될 것이다. 격은 없어도 용신을 취한 자는 만약 용신이 힙이 있고 운에서 안정이 된다면 또한 가히 창업하여 가문을 일으켜 세울 것이다.

격이 없어도 취할 수가 있고, 용신이 없어도 찾을 수가 있으니 다만 대세를 잘 봐서 일주의 의향과 더불어 운로에서 그 결함을 보조해 주고 그 꺼리끼는 것을 제거해 준다면 비록 인생을 살아가는 것이 만만치는 않다고 하겠으나 굶주리는 근심은 면할 것이다. 만약 행운에서도 취할 방법이 없다고 한다면 가난하지 않으면 천할 것이다. 만약 격이 바르고 용이 진실하지만, 행운에서 오히려 어그러짐이 발생하면 일생 뜻이 있더라도 펴 보기가 불가능 할 것이다.”

【강의】

이미 통신송에서 언급을 한 부부이기도 하지만. 영향요계의 모든 허상들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를 할 필요가 없다는 말은 이미 유백온 님께서도 하고 있었다는 점이 놀랍다. 어쩌면 이미 600여년 전에 이러한 허상들에 대한 평가가 모두 내려 졌고 그에 대한 검증은 지금 해봐도 틀림이 없는 것으로 봐서 끝났다고 해도 되겠는데, 참으로 오랜 시간을 이렇게도 끈질기게 유지하고 있는 이 영향요계는 그야말로 무슨 영향으로 인해서인지 모를 일이라는 생각만 절도 든다. 이미 설명에서 충분한 내용이 되는 것으로 봐서 길게 부연하지는 않아도 되겠다.

그리고 앞에 언급한 몇몇 격에 기준을 두고 볼 적에, 격도 바르고 용신도 진실하고 운도 좋다면 더 말해서 뭘 하겠느냐만 실은 무수히 많은 사주는 그렇지를 못하더라는 말씀을 보면서 당시의 상황이나 지금의 상황이나 달라진 것이 아무 것도 없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용신이 참되다(用眞)는 말은 월령에 당령을 한 경우의 글자를 용신으로 삼을 수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말이다. 그래서 월령을 얻지 못하면 가용신이라는 말도 있는데, 이렇게 구분을 하는 것은 과연 월령과 해당하는 글자와의 관계가 어떻게 되느냐는 것을 구분하는 것이라고 이해를 하시면 되겠다.

여기에서 격이라고 하는 것은 여타의 다른 격까지 확대해서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 다시 명심하시고 살펴주시기 바란다. 용어는 같더라도 의미는 다르다는 것이 참으로 공부하는 학자의 입장에서는 혼란의 시작이 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격은 앞의 정격 열 개와 변격 9개에 국한해서 대입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혼란은 사소한 것에서부터 일어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용신의 상황에 따라서 운이 왔을 적에 발하는 복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한다면 이 월령에 의지를 하고 있는 상황이 어떤가에 따라서 구분이 되는 것으로 이해를 해도 되겠다. 물론 참고사항이기는 하지만 이렇게 이해를 해도 큰 문제는 없으리라고 본다. 그리고 실은 모든 글자를 월령에 대입해서 평가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되면 비로소 고수의 대열에 들어서는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도 하게 된다.

또 월령 즉 격국과 용신의 관계를 구태여 따질 필요가 없이 그대로 하나의 틀로써 자연스럽게 수용이 되며 완전히 하나가 되어서 구분이 없는 상태 그래서 격국인지 용신인지 미쳐 느낄 사이도 없이 그대로 자연스럽게 답이 보이는 상황이 된다면 얼마나 오행의 이치와 하나가 되겠느냐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욕심일까....?

              甲 丙 庚 己

              午 午 午 巳

           壬癸甲乙丙丁戊己

           戌亥子丑寅卯辰巳


此造俗論, 丙午日支全三午. 四柱滴水全無. 中年又無水運. 必作飛天祿馬. 名利雙輝. 不知此造午中己土. 巳中庚金. 元神透出. 年月兩干. 眞火土傷官生財格也. 初交己巳, 戊辰, 洩火生金. 遺業頗?. 丁卯, 丙寅. 土金喜用皆傷. 連遭回祿. 又剋兩妻四子. 家業破盡. 至乙丑運北方?土晦火生金. 又合化有情. 經營獲利. 娶妻生子. 重振家聲. 甲子, 癸亥, 水地. 潤土陽金. 發財數萬. 若以飛天祿馬論. 大忌水運矣.

차조속론, 병오일지전삼오. 사주적수전무. 중년우무수운. 필작비천녹마. 명리쌍휘. 부지차조오중기토. 사중경금. 원신투출. 연월양간. 진화토상관생재격야. 초교기사, 무진, 설화생금. 유업파풍. 정묘, 병인. 토금희용개상. 연조회록. 우극양처사자. 가업파진. 지을축운북방습토회화생금. 우합화유정. 경영획리. 취처생자. 중진가성. 갑자, 계해, 수지. 윤토양금. 발재수만. 약이비천녹마론. 대기수운의.

“이 사주를 일반적으로 말할 때 병오 일주가 지지에 午火가 셋이 있고 물이 전혀 없는데 중년운까지 수운을 만나지 못했으니 비천녹마격이라고 해서 이름과 재산이 풍성하다고 하지 않겠는가만, 이 사주는 午火 속의 己土와 巳火 속의 庚金의 원신이 년월의 천간에 투출되었으니 참으로 火土의 상관생재격이다. 처음에 己巳, 戊辰의 운에서 화를 설하고 금을 생하니 부모 유산이 풍성했는데, 丁卯 丙寅 운을 지나면서 토금의 희용신이 모두 상하여 연이서 화재를 만났고, 또 두 처와 네 아들을 극했고, 가업은 완전히 깨어졌다. 을축운이 되어서 북방의 습지로 가자 습토가 불을 어둡게 하고 금을 생조하고 다시 또 합화로 청하게 되어서 경영하여 큰 이익을 얻었고 장가를 들어서 아들도 얻었으며 다시 집안의 명성을 드날렸는데, 甲子 癸亥는 水運이라 토를 적셔주고 금을 길러주니 재물이 수 억 쌓였는데 만약 이 사주를 비천녹마격이라고 한다면 수운은 엄청나게 불리할 것이다.”

【강의】

비천녹마격으로 논하는 것은 아마도 종왕격의 일종이 아닌가 싶기는 한데, 별로 관심은 없다. 이러한 격에 대해서 공부를 한다고 시간을 보내는 벗님들이 상당히 많은데, 모두 부질없는 시간 낭비일 뿐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낭월이니 구태여 이 부분에 대해서 공부를 하시라고 할 턱이 없다. 그냥 책에 나왔으니까 그런가보다 하고 생각을 뿐이다. 여하튼 말이 되지 않는 이야기는 빨리 접을수록 벗님의 명리공부에 걸리는 시간은 단축이 될 것이라는 말씀만 다시 드리고 넘어간다.

              己 乙 癸 丁

              卯 卯 卯 丑

           乙丙丁戊己庚辛壬

           未申酉戌亥子丑寅

乙卯日生於卯月, 卯時. 旺之極矣. 最喜丁火獨發. 洩其精英. 惜癸水剋丁. 仍傷秀氣. 時干己土臨絶. 不能去其癸水. 因之書香不繼. 初中運逢水木之地. 刑喪破耗. 家業漸消. 戊戌丁運. 大遂經營之願. 發財巨萬. 若以飛天祿馬論之. 則戊戌運當大破矣.

을묘일생어묘월, 묘시. 왕지극의. 최희정화독발. 설기정영. 석계수극정. 잉상수기. 시간기토임절. 불능거기계수. 인지서향불계. 초중운봉수목지지. 형상파모. 가업점소. 무술정운. 대수경영지원. 발재거만. 약이비천록마논지. 즉무술운당대파의.

“乙卯일주가 卯月, 卯時에 태어나서 굉장히 강하다. 가장 반가운 것은 정화가 홀로 투출이 된 것이다. 그 빼어난 기운을 설기하는 것이 좋은데, 아깝게도 癸水가 정화를 극하고 있으니 수기가 손상되는 것이 아쉽다. 時干의 己土는 이미 무력하니 癸水를 제거하기에는 불가능한 형상이다. 이로 인해서 공부를 하지 못했고, 초운이나 중운에서 수목의 지지로 가니 애로가 극심했고 가업도 점차로 소모되었는데 戊戌과 丁의 운에서는 경영을 해서 크게 원하는 바를 얻었으니 수 억의 재물을 벌었다. 만약 이 사주를 비천녹마격으로 논한다면 즉 戊戌대운에는 당연히 크게 깨어져야 할 것이다.”

【강의】

앞의 이야기와 같은 의미로써 비천녹마격의 부당함을 강조하고 있는 대목이다.

              甲 甲 癸 丁

              戌 辰 丑 未

           乙丙丁戊己庚辛壬

           巳午未申酉戌亥子

此造支全四庫逢?. 俗作雜氣財官也. 不知丑未逢?. 不特官星受傷. 而且?去庫根. 辰爲甲木餘氣. 亦是日主盤根之地. 更嫌戌?. 微根受傷. 財多身弱. 且旺土愈?愈旺. 則癸水必傷. 初運壬子辛亥水旺之地. 蔭庇有餘. 一交庚戌, 財殺?旺. 椿萱幷逝. 刑妻剋子. 己酉戊申. 土蓋天干. 使金不能生水. 家業破盡. 無子而亡.

차조지전사고봉충. 속작잡기재관야. 부지축미봉충. 부특관성수상. 이차충거고근. 진위갑목여기. 역시일주반근지지. 갱혐술충. 미근수상. 재다신약. 차왕토유충유왕. 즉계수필상. 초운임자신해수왕지지. 음비유여. 일교경술, 재살병왕. 춘훤병서. 형처극자. 기유무신. 토개천간. 사금불능생수. 가업파진. 무자이망.

“이 사주는 지지에 사고인 진술축미가 있고 충까지 있으니 일반적으로 잡기재관격이라고 할 것이다. 그런데 축미가 충을 만나므로 (축토 속의 辛金)  관성이 손상을 받을 뿐만 아니라 또 충해서 고의 뿌리까지 제거하게 되는 꼴이니 辰土는 갑목의 여기에 해당하는데, 또한 뿌리가 충분하련만 술토와 충이 됨으로 해서 미약한 뿌리가 뽑힌 셈이니 재다신약이 되어버린 상황이다. 그리고 왕한 土는 충으로 인해서 더욱 왕해지니 즉 계수는 반드시 손상을 받게 되어 있다. 초운에서 壬子, 辛亥의 水가 왕한 지지에서는 부모의 보호가 두터웠는데, 한번 庚戌운으로 바뀌자 재살이 함께 날뛰니 부모가 함께 돌아가시고 처자도 극하고 己酉와 戊申에서는 토가 천간에 덮혀 있으니 금으로 하여금 수를 생하지 못하게 해서 자식도 없이 죽고 말았다.”

【강의】

이번에는 잡기재관격이 표적이다. 물론 충해서 관성이 나왔으니 발하게 되리라고 했겠지만 말도 되지 않는 말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설명으로 봐서는 축월 갑목이 신약용인격이었던 모양이다. 수운에 편안했다는 것은 그렇게 밖에 볼 수가 없는 구조라고 이해를 하면 되리라고 본다.


              辛 甲 癸 丁

              未 子 丑 亥

           乙丙丁戊己庚辛壬

           巳午未申酉戌亥子


甲子日元. 生於丑月. 支類北方. 天干辛癸. 官印元神發露. 剋去丁火. 丑未遙剋. 又水勢乘權. 不能?丑. 正得中和之象. 所以土金水運. 皆得生化之情. 早遊泮水. 戰勝秋?. 祇因格局淸寒. 仕路未能顯達. 芹泮日長鳴孔鐸. 杏檀春暖秦絃. 可知墓庫逢?而發者謬也.

갑자일원. 생어축월. 지류북방. 천간신계. 관인원신발로. 극거정화. 축미요극. 우수세승권. 불능충축. 정득중화지상. 소이토금수운. 개득생화지정. 조유반수. 전승추위. 기인격국청한. 사로미능현달. 근반일장명공탁. 행단춘난진현. 가지묘고봉충이발자류야.

“甲子일주가 丑月에 태어나고 地支는 北方으로 모여있다. 천간의 辛金과 癸水는 관인으로써 원신이 투출된 상황이라 丁火를 극하게 된다. 또 축미가 바라보고 있으며 수의 세력도 상당하니 축을 충하기에는 불가능하다. 바로 중화의 형상이라고 하겠는데, 그래서 土金의 운에서는 생화의 정이 있어서 일찍이 일류 학당에서 공부를 했고 가을의 무과에서도 승리를 했다. 다만 사주가 너무 차가운 것으로 인해서 벼슬 길이 크게 발전하지는 못했는데, 나믈 캐는 것으로 날을 보내고 허구한날 넉두리만 했으며 살구나무 단에서 따스한 봄날을 비파나 켜면서 세월을 보냈으니 과연 묘고는 충을 만나야 열린다는 말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겠다.”

【강의】

재관이 투출되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는 의미인가 보다. 실제로 도움이 되지 않으면 아무런 쓸모가 없는 것이라고 이해를 하면 되겠다. 사주의 구조로 봐서는 한목향양격으로 丁火가 용신인 모양인데, 계수에게 깨어져서 무력한데 그 뿌리는 다시 未土에 있으니 도움이 되지도 못한다. 그리고 축미충이라고 하는 것은 다소 억지가 느껴진다고 해야 하겠다. 중간에 자수가 있으니 충돌의 힘이 약하다고 봐야 하겠는데, 충으로 열리지 않았느냐고 하는 자료로는 다소 부족해 보인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