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임인(壬寅) 〔食神→食神+偏財〕

작성일
2007-08-29 17:40
조회
8177

궁리(窮理)인 임수(壬水)가 다시 식신(食神)인 갑목(甲木)과 편재(偏財)인 병화(丙火)를 만난 형태이다. 이러한 구성이 되면 그야말로 책벌레라고 할만하다. 그리고 한 방향으로 파고들기 시작하면 주변에서 죽이 끓는지 밥이 타는지도 모르고 그대로 파고 들어가는 성분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방향만 잘 잡으면 크게 성공을 할 암시가 되는 것으로 해석하게 된다. 그것은 식신이 다시 식신을 본 것이며, 또한 식신만 본 것이 아니고 다시 그 식신이 식신을 본 것이기 때문에 중단 없는 궁리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형태가 임인(壬寅)이다.

임인(壬寅)은 궁리하고 파고 들어가는 성향이 구체적이면서 강력한 추진력을 갖게 된다. 그것은 임수의 식신이 편재의 기본형에 해당하는 갑목(甲木)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분으로 인해서 구체적이고 확실한 마무리까지 가능한 방향으로 파고 들어갈 수 있는 능력이 되므로 방향을 잘 잡으면 크게 성공 할 수가 있는 자질이 된다. 마치 포경선(捕鯨船)의 줄이 달린 창과 같은 느낌도 든다.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창을 쏘아놓고 그 흐름을 따라서 줄기차게 나아가는 형상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이것은 갑목(甲木)과 임수(壬水)의 합작품이다.

임인(壬寅)은 세상을 복잡하게 생각하지 못한다. 단순하게 추진만 하므로 남의 생각이 어떤가에 대해서는 크게 비중을 두지 않는다. 그러므로 대인관계에는 서투른 형태가 되기도 한다. 자신에게 이로운지 해로운지를 생각하는 면이 부족하고 계교(計巧)가 없으며, 주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누가 내 물건을 달라고 하면 그냥 줘버리기도 한다. 그래서 인심이 후하다는 평을 얻을 수도 있지만 헤프다는 별명을 얻을 수도 있다. 문학이나 학문연구에 적성을 보이기 때문에 학자(學者)의 성향으로 관찰을 하게 된다.

그리고 무슨 일이든지 하고 말고는 자신이 결정한다. 무엇이라도 마음이 내킨다면 남들이 뭐라고 하더라도 스스로 좋아서 시작을 하게 되고,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자신이 싫어지면 바로 중단하게 되는 면도 나타나게 되므로 끈기가 없다는 평을 얻을 수도 있다. 그래서 적성에 맞는 일을 찾아내는 것이 시행착오를 줄이고 시간낭비를 없애는 지름길이 된다. 남들이 자신의 일에 대해서 간섭을 하면 수용하지 않는다. 수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격을 할 수도 있다. 그래서 가만두는 것이 상책이다.

임인(壬寅)은 창의력이 뛰어나다. 연구하고 궁리를 한 다음에는 스스로 그러한 것을 만들어야 속이 시원하다. 그래서 시행착오를 열 번, 스무 번 겪어가면서 반복적으로 실험을 하게 된다. 그러는 과정에서 뭔가를 얻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성분은 결국 뭔가 세상을 놀라게 할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식신이 식신을 본 형태이기도 하며, 다시 그 식신이 결과에 해당하는 재성을 봤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해석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