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用神格에 대한 이해

작성일
2007-09-11 18:59
조회
9190

일단 사주를 보고서 그 사주에서 용신을 찾은 다음에는 그 사주에 어울리는 格을 정하게 되는데, 그 격을 정하면서 기준을 삼는 것 중에는 用神格과 古典格이 있다고 하겠다. 여기에서 고전격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다른 뜻은 아니고, 예전에 나온 책들에서 보이는 격들을 가리켜서 하는 말이다. 그에 대응해서 붙여진 이름이 바로 용신격인 것이다. 용신격도 물론 그 연대를 생각한다면 그렇게 가깝다고는 못할 것이다. 이미 적천수징의에서 임철초 선생님이 적용을 시킨 것이 보이기 때문이다. 임철초 선생님은 청나라 시대에 공부하셨던 분이니까 이미 상당한 시간이 흘러간 상황이라고 해야 하겠다.

그러나 오늘 현재에도 이 고전적인 격국은 그대로 활용을 하고 계신 선생님들도 계시기 때문에, 일단 고전적인 격국이라고 하기는 해도, 현실적으로도 그대로 활용을 하고 있는 한 방법이라고 이해를 해야 할 것 같다. 그러면 이 고전의 격국에 대해서도 연구를 해봐야 할 참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일단 뒤쪽으로 미루도록 한다. 여기에서는 앞으로 이렇게 사용을 했으면... 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먼저 드리도록 하겠다. 그러니까 사주를 보고 용신을 찾은 다음에 그에 어울리는 이름을 붙이는 공부를 하는 과정으로 하면 되겠다. 그런데 용신격에 대한 이름은 아무래도 좋은 것이라고 본다.

‘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名’ 이라고 했다. 도를 도라고 하면 이미 도가 아니고, 이름을 이름이라고 하면 이미 이름이 아닌 것이다. 그러니까 이름에 대해서는 왈가 왈부를 하지 말라는 이야기인데, 낭월이도 이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을 한다. 그런데도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것은 여기에서 말씀을 드리지 않으면 벗님은 또 다른 책을 사러 가야 하는 줄로 생각을 할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득이 이렇게 자리를 마련하고 이에 대해서 설명을 드릴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면 현실이다.




이제 이번 항목에서는 사주를 보고서 그 사주의 용신을 찾는 공부를 할 것이다. 그냥 격국만 정하는 공부를 한다는 것은 너무 지면이 아깝기 때문에 일단 용신을 찾아가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아울러서 용신격을 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것은 용신을 찾는 기준으로 삼도록 한다. 그럼 천천히 용신을 찾는 과정에 동행을 하면서 납득이 되지 않는다면 다시 반복을 해서 연구를 하시기 바란다.

그리고 체계적인 정리를 위해서 용신격의 이름을 먼저 적어 놓고서 그 상황에 부합이 되는 사주들을 찾아보도록 하겠다. 그냥 무작위로 사주를 적어 놓고서 상황을 살펴야 원칙이겠지만, 우선 이름을 정하는 과정을 질서 있게 표시하기 위해서 이러한 방법을 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어서이다. 크게 나눠서 신강한 경우와 신약한 경우로 나눠보도록 하겠다. 이유는 적어도 사주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억부의 기준으로 정리를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