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간지총론(1)

작성일
2007-09-12 09:50
조회
3777

【滴天髓原文】




陰陽順逆之說. 洛書流行之用. 其理信有之也. 其法不可執一.

음양순역지설. 낙서류행지용. 기리신유지야. 기법불가집일.




【滴天髓徵義原文】




陰陽順逆之說. 其理出於洛書. 然五行流行之用. 不過陽主聚. 以進爲退. 陰主散. 以退爲進. 若論命理. 則不專以順逆論. 須觀日主之衰旺. 察生時之淺深. 究四柱之用神. 以論吉凶. 則了然矣. 至於長生沐浴等名. 乃借假形容之辭. 人之日主. 不必生逢祿旺. 卽月令休囚. 而年日時中得長生祿旺. 便不爲弱. 就使逢庫. 亦爲有根. 時設投墓必冲者. 俗書之謬也. 古法只有四長生. 從無子午卯酉爲陰長生之說. 水生木. 申爲天關. 亥爲天門. 天一生水. 卽生生不息. 故木皆生於亥. 午爲火旺之地. 木至午發洩已盡. 故木皆死於午. 言木而餘可類推矣. 夫五陽育於生方.盛於本方. 斃於洩方. 盡於剋方. 於理爲順. 古人取格. 丁遇酉以財論. 乙遇午,己遇酉,辛遇子,癸遇卯,以食神論. 俱不以生論. 乙遇亥,癸遇申,以印論. 俱不以死論. 卽己遇寅藏之丙火. 辛遇巳藏之戊土. 亦以印論. 不以死論. 由此觀之. 陰陽同生同死可知也. 若執定陽順陰逆. 而以陽生陰死陰生陽死論命. 則太謬矣. 故云其法不可執一也.




(徐樂吾追加) 按陰陽者. 正負也. 凡物必有兩端. 甲端爲陽極. 乙端爲陰極. 中爲祿旺. 遇旺則衰. 陽極則陰生. 陰極則陽生. 循環無端. 順逆之理. 始於八卦. 故木生於亥. 至午八位爲極. (參看命理尋源).

음양순역지설. 기리출어낙서. 연오행유행지용. 불과양주취. 이진위퇴. 음주산. 이퇴위진. 약론명리. 즉부전이순역론. 수관일주지쇠왕. 찰생시지천심. 구사주지용신. 이론길흉. 즉요연의. 지어장생목욕등명. 내차가형용지사. 인지일주. 불필생봉녹왕. 즉월령휴수. 이년일시중득장생녹왕. 편불위약. 취사봉고. 역위유근. 시설투묘필충자. 속서지류야. 고법지유사장생. 종무자오묘유위음장생지설. 수생목. 신위천관. 해위천문. 천일생수. 즉생생불식. 고목개생어해. 오위화왕지지. 목지오발설이진. 고목개사어오. 언목이여가류추의. 부오양육어생방.성어본방. 폐어설방. 진어극방. 어리위순. 고인취격. 정우유이재론. 을우오,기우유,신우자,계우묘,이식신론. 구불이생론. 을우해,계우신,이인론. 구불이사론. 즉기우인장지병화. 신우사장지무토. 역이인론. 불이사론. 유차관지. 음양동생동사가지야. 약집정양순음역. 이이양생음사음생양사론명. 즉태류의. 고운기법불가집일야.

(서낙오추가) 안음양자. 정부야. 범물필유량단. 갑단위양극. 을단위음극. 중위록왕. 우왕즉쇠. 양극즉음생. 음극즉양생. 순환무단. 순역지리. 시어팔괘. 고목생어해. 지오팔위위극. (참간명리심원).




‘陰陽順逆의 설은 낙서(洛書)에서 시작이 되어 많은 부분에서 활용하고 있는데, 그 이치는 믿을 만 하지만 그 방법에서는 한가지로 집착을 할 일이 아니다.’




“음양이 순행하고 역행하는 이치는 낙서에서 나왔다고 전한다. 그리고 오행이 흐르는 것은 양의 기운이 모여들었다가 물러나고 음의 기운이 다시 흩어졌다가는 나아가는 것을 응용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치 중에서 명리학으로 논한다면 즉 순역의 이론이 완전히 부합되지 않음이 있으니 모름지기 日主의 쇠하고 왕성한 것을 살피고 태어난 계절이 어느 정도의 상황인기를 분별하며 이러한 것을 종합해서는 사주의 용신을 살피고 나서 그 사람의 길하고 흉함을 논하게 되면 그대로 정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장생이나 목욕 등의 이름은 거짓으로 빌려온 형용사에 불과한데 日主는 반드시 인성이나 비겁(祿旺)을 만나야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비록 월령에서는 휴수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年日時 가운데에서 인성이나 비겁을 만나면 문득 약하지 않게 되는 까닭이다. 나아가서 辰戌丑未월을 만난다면 또한 뿌리가 있다면 되는 것이니 세간에서 말하는 대로 ‘묘에 빠졌으니 반드시 충해서 꺼내야 한다’는 말은 속된 책의 잘못된 오류인 것이다.”




옛날 법을 볼라치면 다만 네 가지의 (양간에 대한) 장생이 있었지 자오묘유가 음장생이라고 하는 말은 보이지 않는다. 水生木을 보면, 申金은 천관(天關)이라고 하고 戌亥는 천문(天門)이라고 하여 하늘에서 하나의 水를 생하니 이것이 생하고 또 생해서 쉬임이 없는 것이니 그래서 木은 亥水에서 생을 받는 것이다. 午火는 화의 왕지가 되니 木이 午火에 오면 기운이 다 설하게 되어서 죽게되는 것으로 오화를 인식하면 된다. 목을 대표로 말하므로 나머지는 미뤄서 생각하면 될 것이다.

대저 오행은 생방에서 자라고 본방에서 왕성해지다가 설방에서 넘어지는 것이 이치에 부합되는 말이다. 고인들께서 격을 취할 적에 丁火가 酉金을 만나면 財라고 논하셨고, 乙木이 午火를 만나거나 己土가 酉金을 만나거나 辛金이 子水를 만나고 癸水가 卯木을 만나면 이러한 성분은 모두 食神으로 논했을 뿐 생을 받는다고 하시지 않았다. 乙木이 亥水를 만나거나 癸水가 申金을 만나거나 모두 인성으로 논하셨을 뿐 죽는다고 말하지 않으셨다. 그리고 己土가 寅木 속의 丙火를 보거나 辛金이 巳火 속의 戊土를 만나면 또한 인성으로 논했을 뿐 죽는다고 논하지 않았음을 보건데 음양은 함께 살고 함께 죽게 되는 것임을 능히 알 수가 있는 것이다. 만약에 음이 생하는 곳에서 양이 죽는다는 이론으로써 운명을 감정한다면 대단히 큰 오류를 범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말하기를 ‘그 방법은 한가지로 집착하지 말라’고 한 것이다.




“(서낙오 의견) 음이 죽으면 양이 생하고 양이 죽으면 음이 생한다는 말은 믿을만한 말이다. 대저 물질은 양극이 있으므로 갑이 양의 끝이라면 을은 음의 끝이라고 하게 된다. 그 가운데에서 녹왕이 있으며 왕에 다다르면 다시 쇠하게 되는 것이니 음이 극에 달하면 양이 생하는 이치가 돌고 돌아서 끝이 없으니 순역의 이치는 팔괘에서 발생한 것으로 목이 화에서 생하여 8번째가 되면 오화를 만나서 극에 달하는 이치이다.(명리심원을 참고하시길...)”







【강의】




순역(順逆)은 十二運星에 대해서 언급을 하는 것이다. 즉 장생 목욕 등에 대한 말이 있는데 이것은 형용사로써 오행의 흐름을 설명한 것인데, 음양은 같이 살고 같이 죽는다는 이치를 거론하면서 양이 생하는 곳에서 음이 죽는다는 설이 크게 잘못 된 것이라는 말씀을 하시는 것이다. 이 정도의 내용이라면 부연설명을 할 필요가 없다고 봐서 생략하겠다.

그리고 일간이 반드시 왕해야 할 필요는 없으므로 월령을 얻지 않았다고 해서 약하다고 할 일이 아니라는 말씀을 하시는 것이다. 어찌 보면 당연한 이야기를 하신다고 하겠는데 실은 그게 아니다. 월지만 인겁이면 무조건 신왕한 사주라고 판단을 해버리는 많은 학자들을 상태로 사자후를 하신다는 점을 간과하면 철초님의 뜻을 헤아리기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진술축미에 대해서도 세간에서는 묘에 빠지면 충을 해서 꺼내야 한다는 말로 이치를 어둡게 한다고 핀잔을 심히 하는 의미가 느껴진다. 그런데 묘하게도 철초님 가신지 200여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도 이 말이 유효하다는 것이 참 아이러니하다고 하겠다. 묘한 일이다. 십이운성에 대해서는 ‘알기쉬운합충변화’에 언급이 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란다.




그리고 말미에 추가된 의견은 낙오님의 의견인데, 내용을 보면 12운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하시는 듯한 느낌이 있다. 아마도 낙오선생님은 이 법을 활용하셨던 것으로 생각이 된다. 언급되는 내용으로 봐서 철초님이 실수를 하는 것이라고 하는 생각이 들어서 중요한 내용이 분실되는 거이 염려가 되어서 한가닥의 실로 묶어 두는 것이 아닌가 싶은 기분이 든다. 그러니까 비록 철초님은 어림도 없는 이야기라고 하지만, 낙오님의 생각에는 활용을 할 가치가 있으셨는지도 모르겠다. 물론 낭월이는 고려를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것을 고려하다가는 생극제화(生剋制化) 자체가 무너진다는 정도로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입장이므로 혹 낙오님이 긍정적으로 보셨다면 ‘글쎄요...’ 라고 하고싶다. 그리고 명리심원을 보라고 한 것은 그 책에 상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물론 낭월이는 낭월이의 저서 합충변화를 보라고 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丙 乙 己 丙

              子 亥 亥 子

            丁丙乙甲癸壬辛庚

            未午巳辰卯寅丑子




乙亥日元. 生於亥月. 喜其天干兩透丙火. 不失陽春之景. 寒木向陽. 淸以純粹. 惜乎火土無根. 水木太重. 讀書未售. 兼之中年一路水木. 生扶太過. 局中火土皆傷. 以致財鮮聚而志未伸. 然喜無金. 業必淸高. 若以年時爲乙木病位. 月日爲死地. 豈不休囚已極. 宜用生扶之運. 今以亥子之水作生論. 則不宜再見水木也.

을해일원. 생어해월. 희기천간양투병화. 부실양춘지경. 한목향양. 청이순수. 석호화토무근. 수목태중. 독서미수. 겸지중년일로수목. 생부태과. 국중화토개상. 이치재선취이지미신. 연희무금. 업필청고. 약이년시위을목병위. 월일위사지. 기불휴수이극. 의용생부지운. 금이해자지수작생론. 즉불의재견수목야.




“乙亥日元이 亥月에 태어났지만 천간에 두 개의 丙火가 있어 따스한 풍경을 잃지 않음이 기쁘다. 겨울 나무가 태양을 향하니 밝고도 순수하다. 아까운 것은 원국의 火土가 뿌리가 없고 水木의 힘이 너무 강한 것이다. 그래서 글을 읽었지만 팔리지 못했고, 겸해서 운도 중간에 水木으로만 흘러가니 생부가 너무 과해서 사주의 火土는 도리어 허약해져 손상을 입는다. 이로 인해서 돈이 모이지를 않았고, 그 뜻은 펴지를 못했다. 그래도 반가운 것은 금이 없는 것인데 그가 하는 일은 청고하다고 하겠다. 만약 年時의 子水가 (십이운성으로 따져서) 병(病)에 앉아 있다고 보고 月日의 亥水는 사지(死地)라고 논한다면 어찌 허약의 극에 달하지 않았다고 하겠는가. 그렇다면 마땅히 도와주는 인겁운을 반기게 될 것은 틀림없다. 이제 亥子의 수는 생으로 논하게 되니 다시 水木을 보는 것이 마땅치 않았던 것이다.”







【강의】




십이운성의 확인용으로 제시된 자료이다. 지당하신 말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癸 癸 乙 戊

              亥 卯 卯 午

            癸壬辛庚己戊丁丙

            亥戌酉申未午巳辰




春水多木. 過於洩氣. 五行無金. 全賴亥時比劫幫身. 嫌其亥卯拱局. 又透戊土. 剋洩並見. 交戊午運不壽. 若據俗說. 癸水兩坐長生. 時逢旺地. 何以不壽. 又云食神有壽妻多子. 食神生旺勝財官. 此名利兩全多子有壽之格也. 總之陰陽生死之說. 不足憑也.

춘수다목. 과어설기. 오행무금. 전뢰해시비겁방신. 혐기해묘공국. 우투무토. 극설병견. 교무오운불수. 약거속설. 계수양좌장생. 시봉왕지. 하이불수. 우운식신유수처다자. 식신생왕승재관. 차명리양전다자유수지격야. 총지음양생사지설. 부족빙야.




“卯月 癸水인데 木이 많아 洩氣가 심하다. 五行에 金은 없으니 오로지 時支의 亥水인 劫財에게 의지하고 있다. 그런데 亥卯합이 되고 天干에는 戊土가 나와 있으니 극설이 함께 보이는 것이 싫다. 戊午운으로 바뀌니 수명이 다했던 것이다.

만약 이 사주를 놓고서 속설을 대입한다면 ‘癸水가 卯木의 장생을 만났고 時에는 왕지까지 만났다’고 해야 할 것인데 어째서 오래 살지도 못했겠느냐는 말이다. 또 말하기를 ‘식신은 오래 살고 처자식이 좋은 것이므로 식신이 생왕하면 재관보다도 더 좋다’고도 하는데, 이 사주는 명예와 재물을 모두 얻고 자식도 많고 오래도록 살 사주라고 할 것이다. 그러니 음양생사에 대한 이야기는 믿을게 못된다고 보는 것이다.”







【강의】




간단하게 끝내버리는 모습이다. 길게 말을 할 필요도 없다고 하겠다. 이만 줄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