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부 성정질병 - 제1장 性情(1)

작성일
2007-09-12 16:04
조회
7857
【滴天髓】
五氣不戾. 性正情和. 濁亂偏枯. 性乖情逆.
오기불려. 성정정화. 탁란편고. 성괴정역.
'다섯가지 기운이 일그러지지 않았다면
성품이 바르고 뜻은 화평하지만
탁하고 어지러우며 치우치고 메마르다면
성품은 일그러지고 뜻도 거역한다.'
【滴天髓徵義】
五氣者, 先天洛書之氣也. 陽居四正. 陰居四隅. 土寄居於艮坤. 此後天定位之序也. 東方屬木. 於時爲春. 於人爲仁. 南方屬火. 於時爲夏. 於人爲禮. 西方屬金. 於時爲秋. 於人爲義. 北方屬水. 於時爲冬. 於人爲智. 坤艮爲土. 坤居西南者. 以火生土, 土生金也. 艮居東北者. 萬物皆生於土. 冬盡春來. 非土不能止水栽木也. 故土生於寅. 亦生於申. 易艮成始而成終. 仁義禮智. 得信以成之. 故土於人爲信也. 五行賦於人者. 須要五行不戾. 中和純粹. 則有惻隱辭讓誠實之情. 若偏枯混濁. 太過不及. 則有是非乖逆驕倣之性矣.
오기자, 선천낙서지기야. 양거사정. 음거사우. 토기거어간곤. 차후천정위지서야. 동방속목. 어시위춘. 어인위인. 남방속화. 어시위하. 어인위례. 서방속금. 어시위추. 어인위의. 북방속수. 어시위동. 어인위지. 곤간위토. 곤거서남자. 이화생토, 토생금야. 간거동북자. 만물개생어토. 동진춘래. 비토불능지수재목야. 고토생어인. 역생어신. 역간성시이성종. 인의예지. 득신이성지. 고토어인위신야. 오행부어인자. 수요오행불려. 중화순수. 즉유측은사양성실지정. 약편고혼탁. 태과불급. 즉유시비괴역교방지성의.
"오기란 선천의 낙서(洛書)의 기운을 말하는데, 양은 東西南北에 거하고 음은 네 모퉁이에 있고 土는 艮坤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후천에 위치를 정하는 순서가 된 것이다. 東方은 木에 속하고 계절은 봄이 되며 사람에게는 仁이 되고, 南方은 火에 속하고 계절로는 여름이고 사람에게는 禮가 되며, 西方은 金에 속하고 계절은 가을이며 사람에게는 義가 되고, 北方은 水에 속하고 계절은 겨울이며 사람에게는 智를 의미한다. 곤간은 土가 되며 坤은 西南에 머무르면서 火生土를 하여 (다시) 土生金을 시켜준다. 艮은 東北에 머무르며 만물이 여기에서부터 생하게 되는 것이니 겨울이 다하고 봄이 올 적에는 토가 아니고서는 물을 멈추게 하고 목을 배양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土는 寅에서 생하고 또한 申에서도 생하니 易(周易)은 艮에서 시작하여 끝이 나게 되며 인의예지는 信을 얻어야 이뤄지는 것이니 그래서 토는 사람에게는 信이 되는 것이다.
오행의 부에서 보면 사람은 모름지기 오행이 일그러지지 않음을 요하니 (그렇게 된다면) 중화되어 순수하니 즉 측은지심과 사양지심과 성실지심의 뜻이 되는데 만약 편고하고 혼탁하여 태과하거나 불급하다면 즉 시시비비와 일그러짐과 교만한 성품이 되는 것이다."
【강의】
이제 낭월이 가장 매력적으로 생각하는 심리구조에 대한 부분으로 접근을 하게 되었다. 성정(性情)을 해석해보면 性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닌가 싶고, 情은 환경에 따라서 반응을 보이는 감정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또 달리 생각을 해보면 性은 이성적인 사고력을 두고 하는 말이고, 情은 감정적인 행동을 두고 하는 말인가 싶기도 하다. 여하튼 적천수에서 다루는 사람의 심리에 대해서는 이 장에서 모두 이해를 해야 하겠는데, 이미 심리적인 접근은 마음을 읽는 사주학에서 대략 정리를 해보기도 했지만 앞으로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더욱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아울러서 철초님은 어디에 주안점을 두고 사람의 심리를 이해하셨는지에 대해서도 참고를 할 수가 있으리라고 생각되기도 한다. 각설하고.
원문의 내용을 보면 오행의 기운이 고르게 배열되어 있으면 군자이고 일그러지면 소인이라고 요약을 한 느낌인데, 설명은 낙서(洛書)에 대한 설명을 하느라고 원문에 대한 언급은 좀 약하다고 하겠는데, 뜻은 대략 그 정도라고 보면 되겠다. 사주를 보면서 이해를 해보도록 한다.
戊 甲 丙 己
辰 子 寅 丑
戊己庚辛壬癸甲乙
午未申酉戌亥子丑
甲子日元. 生於孟春. 木當令而不太過. 火居相位而不烈. 土雖多而不燥. 水雖少而不?. 金本無而暗蓄. 則不受火之剋. 而得土之生. 無爭戰之風. 有相生之美. 爲人不苟. 無驕諂刻薄之行. 有謙恭仁厚之風.
갑자일원. 생어맹춘. 목당령이불태과. 화거상위이불렬. 토수다이부조. 수수소이불학. 금본무이암축. 즉불수화지극. 이득토지생. 무쟁전지풍. 유상생지미. 위인부구. 무교첨각박지행. 유겸공인후지풍.
"甲子 일주가 寅月에 생하여 木이 당령하였지만 태과하지는 않았다. 火는 相에 해당하면서도 맹열하지는 않고, 토는 비록 많으나 메마르지 않으며 수는 비록 적지만 마르지는 않았다. 금은 본래 없지만 지장간에 저축이 되어 있으니 즉 화의 극을 받지 않으면서 土의 생을 받고 있다. 그래서 싸움의 바람은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상생의 아름다움이 있다. 사람됨이 구차하지 않으며 교만하거나 아첨하거나 각박하지 않은 행동을 하며 겸손하고 공손하며 어질고 후덕함도 갖췄다."
【강의】
좋은 이야기는 다 써 놓은 것으로 보인다. 용신은 食神生財格으로 월간의 丙火가 좋아 보이고 흐름을 타는 모양은 아름답다고 해도 되겠다. 그리고 인성이 재성과 대립을 하면 불량하다고 하겠는데, 다행히도 子辰이 합을 하는 것이 있어서 분쟁이 일어나지 않은 듯 싶다. 배합이 좋다고 해도 되겠다. 이 명식을 심리적인 해석으로 풀이를 해보도록 한다. 그리고 성정에 해당하는 35개의 사주를 모두 이러한 식으로 접근해 보도록 하면 좋겠는데, 늘 쫓기는 것이 지면의 한계이다. 그래서 부득이 이 사주에 대해서만 상세한 설명을 해본다. 구체적인 설명이 혹 필요하다면 후에 다시 정리를 해보도록 할 생각이다. 벗님의 심리분석 이해에 도움이 되시기 바란다.
 
【心理分析의 요령】
심리의 대입순서는 『용신분석』의 201쪽에 있는 공식을 참고하시면 되겠는데, 찾으려면 번거롭다고 하실 벗님을 생각해서 다시 정리를 해 드리도록 해야 할 모양이다. 이 사주를 바탕으로 순서를 정해 드린다.
  日干 甲木의 기준으로 성격존(日支, 月干, 時干)을 보면 우선 순위는 음양이 다른 日支가 차지하게 되므로 正印이 먼저 나타난다. 그리고 子水 속에는 壬水도 있지만 子卯酉의 경우에는 本氣만 논한다. 참고로 亥水 속의 戊土는 논하지 않는다. 거의 작용이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회원들의 일부 건의 사항에서는 성격존에 月支도 포함을 시켜야 하지 않겠느냐는 이야기가 가끔 나오고 있는데 일리는 있다고 보고 있으나 아직 절대적으로 그렇게 해야 할 관점이 나타나지 않고 있어서 보류를 하고 있는 과정이다. 왜냐하면 하나라도 줄여서 정확하게 이해를 해야지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일일이 대입을 시키다가는 아마도 엉켜서 설명을 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고 봐서 조심스럽게 관찰을 하고 있는 입장이다. 앞으로 더욱 많은 임상을 거친 다음에 月支도 일차존으로 작용을 하는 것이 판명이 되면 그대로 대입을 시켜야 하겠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벗님도 활용을 해보시는 것이 좋겠다.
다음은 月干의 食神과 時干의 偏財가 있는데, 우선 순위로는 내가 생조하는 食神이 먼저이므로 식신이 나타나고 다음으로 偏財가 나타나게 된다.  다음으로 月支의 比肩이 나타나고 年干의 正財도 나타나며 시지의 偏財도 나타나겠지만 이미 앞에서 나타난 성분이므로 재론하지 않는다.  年支의 정재도 앞에서 언급을 하게 되므로 구태여 재론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없는 성분을 거론하게 되는데, 없는 성분을 찾을 적에도 우선하는 순서는 傷官→正印→正財→正官→劫財→食神→偏印→偏財→偏官→比肩의 순서를 대입시키고 이 사주에서는 傷官의 성분과 正官, 劫財, 偏印, 偏官 등의 심리구조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해석을 하면 되겠다.  다만 원국에서는 없지만 운에서 들어온다면 그 운이 작용하는 기간 동안에는 그대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게 된다. 그러니까 이 사람의 경우를 예로 본다면 상관이 없기 때문에 평소에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하겠지만 상관의 운이 들어온다면(대운이나 세운에서), 그대로 상관의 표현을 하여 사교성이라거나 표현력이 활발해지는 것을 알 수가 있는 것이다. 다만 대운이 상관이면 약 5년간 작용을 하고 세운이 상관이면 1년간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되겠다.  그리고 庶剋의 작용도 그대로 살아나는데, 가령 원국에서 正官이 합이 되어 있어서 늘 남의 마음을 배려하는 심리가 작용을 하다가 운에서 傷官이 들어온다면 그 정관의 마음이 극을 받아서 손상이 되므로 남을 생각하던 마음이 약화되고(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으므로) 대신 이기적인 방향으로 심리가 나타나는데 상관이 관을 극하여 그 자리를 차지한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그래서 일생 돈만 생각하면서 자린고비의 화신(化身)으로 살다가는 늘그막에 官殺의 운이 들어오면 남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생겨서 자신의 재물을 갑자기 기증을 하는 바람에 주변의 사람을 놀라게 하는 현상도 생기는데, 그 작용을 여기에서 찾아봐야 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러니까 어떤 사람이 자신의 돈을 빌려가고 갚지 않는다면 가만히 뒀다가 그 사람이 관살의 운이 온 것을 알고 나서 돈을 달라고 하면 아마도 쉽게 받을 수가 있지 않을까 싶은 활용도 가능하다는 말씀을 드린다. 하하~
  성격존에서 심리가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가령 이 사주에서 日支가 정인인데, 時干에 편재가 정재로 바뀐다면 정인은 정재에게 극을 받으므로 정인의 직관력이 약화되고 대신 정재가 살아나서 결실을 많이 생각하는 것으로 보게 된다. 아울러서 月干의 食神이 상관이라고 한다면 이 상관은 정인에게 극을 받아서 사교적이기는 하면서도 늘 조심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는 것도 고려하면 되겠고, 그 나머지의 관계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서도 이렇게 대입을 하면 되겠다. 단 여기에서 주의를 해야 할 것은 陰:陰이나 陽:陽으로 만났을 경우에만 이러한 제어 현상이 나타나고 이 사주에서처럼 서로 음양이 다르면 상관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성격존에 한해서 겹치는 십성이 있을 경우에 예외가 발생하는데, 가령 時干에도 癸水가 있었다면 정인이 겹치게 되는데, 그 작용은 정인의 성분이 더욱 강화되는 것이 아니고 거부하는 심리가 발생하는데, 이것은 얼른 보면 정재의 현상으로 보이는데 그렇다고 해서 정재인 것은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려야 하겠다. 다만 거부하는 마음이 생겨서 직관력이 강하면서도 스스로 그 성분을 거부하고 오히려 과감하게 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게 되는데, 정인의 경우에는 쉽게 판단이 되지 않지만, 편관이 겹치면 봉사를 하면서도 회의심을 갖게 되고, 식신이 겹치면 연구를 하면서도 의심을 하게 되는 형상을 생각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해당하는 성분이 겹쳤을 경우에는 어떻게 나타날 것인지를 음미하면 의외로 많은 것을 발견하게 될 가능성이 있겠다. 다만 세자가 겹친다면 부정적인 현상보다는 그대로 같은 성분이 강화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성격존을 제외하고는 서로 겹치더라도 고려하지 않으며 성격존에 하나가 있고 2차 구조에 하나가 있을 경우에도 겹친 것으로 보지 않음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이제 위에서 설명을 드린 순서로 이 사주의 심리구조를 분석한다면, 일지의 正印으로 인해서 직관력이 탁월하고, 月干의 식신으로 인해서 연구하고 분석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자신의 판단대로 통제를 하려는 마음은 시간의 偏財로 인해서이다. 그리고 월지의 比肩은 주체성을 나타내며 결실로 이어지는 마무리는 년간의 정재가 담당을 하게 된다. 그리고 사교성이 부족한 것은 상관이 없음으로 인해서이고, 관살이 보이지 않으므로 남을 위해야 한다는 갈등이 없는 사람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서 정리한다면 탁월한 직관력으로 수용한 부분에 대해서 궁리와 연구를 거듭한 끝에 결실을 내리는 성분으로 짜임새가 있는 성격의 소유자로써 학자의 구조에 가깝다고 해석을 하겠는데, 분쟁의 성분이 없으므로 안정된 가운데 순리적으로 풀어 가는 형상이라고 하겠다. 또 쓸데없는 면에서 시간이나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을 것으로 보는 것은 정편인이 겹치지 않아서이고, 한가지 방향으로 꾸준하게 연구를 할 수가 있다고 보는 것은 식신이 하나만 있으면서 정재로 흐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요리조리 수단을 부리지 않는 것은 사교성이 없는 것으로 봐야 하겠고, 그래서 감정적인 심리구조로 자신을 표현하므로 솔직하다고 하는 평을 얻을 수가 있겠다고 해석이 가능하겠다.
이렇게 요약을 해서 심리적인 분석을 해보는 자리를 마련하게 된다. 참고하셔서 방법을 이해하신 다음에는 다른 사주에도 대입을 하실 수가 있으시면 좋겠다. 이러한 심리분석의 방법은 감로사의 낭월학당에서 매일 반복해서 강의하는 형태이기도 하다. 일일이 이렇게 설명을 하면 좋겠다고 생각을 하실 벗님도 계시겠지만 지면의 관계를 헤아려 주시고 하나의 공식으로 천 개의 자료에 대입하는 요령을 터득해 주시기 바라는 마음이다. 뒤의 두 개의 명조는 약간의 설명을 해 드리도록 하겠다.
 
乙 己 丁 己
丑 卯 卯 酉
己庚辛壬癸甲乙丙
未申酉戌亥子丑寅
己卯日元. 生於仲春. 土虛寡信. 木多金缺. 陰火不能生濕土. 禮義皆虛. 且八字純陰. 一味趨炎附勢. 其衷懷損人利己之心. 萌幸災樂禍之意.
기묘일원. 생어중춘. 토허과신. 목다금결. 음화불능생습토. 예의개허. 차팔자순음. 일미추염부세. 기충회손인리기지심. 맹행재낙화지의.
"己卯일주가 卯月에 나서 토가 허약하니 믿음이 부족하다. 목이 많아서 금이 부서지며 음화는 습토를 생하기도 불가능하다. 그래서 예의도 다 허하다. 또 팔자가 음으로만 되어 있으니 한가지로 불꽃을 쫓고 세력에 의지하려고 하니 그 속에서는 다른 사람을 해롭게 하고 자신을 이롭게 하려는 마음이 존재하고 있으며 (남의) 재앙을 즐기는 의사가 그 속에서 싹트고 있다고 하겠다."
【강의】
한 마디로 아주 나쁜 놈이라고 하는 의미이다. 용신을 보면 殺重用印格이라고 해야 하겠는데, 그 살은 다시 卯酉?을 당해서 혼란스럽다는 설명이 가능하겠다. 아마도 하도 나쁜 놈이라서 길게 설명도 하기 싫으셨던가보다. 하하~
【心理分析 요령】
앞의 공식을 한번 활용하는 의미에서 조금 설명을 드려 본다면, 내성적 감정형(純陰의 四柱에 해당함)으로 강제적으로 봉사를 해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겹쳐있는 편관으로 인해서 봉사를 하면 나만 손해가 아니냐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생각을 부채질하는 성향인 편인까지 옆에 있다 보니까 자꾸만 곁눈질을 하면서 눈치를 살피는 모습이 떠오른다. 그래서 항상 영리하다는 말을 듣게 되는 가능성이 있는데 원래가 영리하다는 것은 상황판단을 잘 해서 자신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모색하는 것이라고 하면 되겠다.
창의력이나 사교력이 떨어지므로 남의 일에 대해서는 뭐라고 토를 달겠지만 스스로 무슨 일을 찾아서 만들어 나가지는 못한다고 하겠고, 사주가 순음이므로 내성적인 감정형이라서 한번 그 마음에 서운한 감정을 심어주게 되면 결국은 언젠가 갚고야 마는 심리도 포함이 된다.
甲 丙 乙 丙
午 子 未 戌
癸壬辛庚己戊丁丙
卯寅丑子亥戌酉申
丙生季夏. 火焰土燥. 天干甲乙枯木. 助火之烈. 更嫌子水, ?激之炎. 偏枯混亂之象. 性情乖張. 處世多驕倣. 且急燥如風火. 順其性千金不惜. 逆其性一芥中分. 因之家業破敗無存.
병생계하. 화염토조. 천간갑을고목. 조화지열. 갱혐자수, 충격지염. 편고혼란지상. 성정괴장. 처세다교방. 차급조여풍화. 순기성천금부석. 역기성일개중분. 인지가업파패무존.
"병화가 未月에 나서 화염토조한 구조이다. 천간의 甲乙은 이미 말라 들었고, 불의 조열함을 돕는다. 다시 子水가 싫은데 불기운을 충하기 때문이다. 편고하고 혼란한 형상이다. 성격은 일그러졌다 펴졌다 하며, 세상을 살아가는 과정에서는 교한하고 오만하다. 또 급하기는 바람과 불같아서 그 마음에 들면 천금의 재물도 아깝지 않으나 그 성격에 거역을 한다면 겨자씨앗 하나를 놓고서 나누려고 하는 사람이니 이로 인해서 가업이 다 깨어지고 남은 것이 하나도 없었다."
【강의】
日支의 子水를 용신으로 삼는 구조로 보이는데, 희신은 財星이 될 것이고 보이지 않으니 용신이 편고한 상황에서 다시 未土가 용신 子水를 극하게 되니 그래서 일그러졌다고 하게 되나보다. 사주의 설명은 조금만 하고 성격이 나쁘다고만 하니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감이 있다. 다만 사주는 매우 왕하지만 식신의 흡수가 되지 않으니 억지로라도 정관을 용신으로 하는 것으로 이해를 하면 되겠다.
【心理分析 요령】
月干의 正印으로 인해서 눈치가 빠르고 상황에 대한 인식이 매우 뛰어나며 영리하기도 하다. 그리고 日支의 正官으로 인해서 늘 합리적인 방법으로 생각을 하고 표현도 하게 되는데, 유감스럽게도 月支에서 未土가 극을 하는 바람에 말로는 올바름을 설명하지만 그 내부적인 마음으로는 생각이 약하고 오히려 이기적인 마음이 발생하게 된다고 하겠고, 時干의 편인은 부정수용이 발생해서 어떤 말을 들으면 그 상황을 그대로 인식하는 성향으로 월간의 을목이 작용하면서도 다시 편인은 부정수용을 하게 되므로 망상이 많고 판단력이 빠르지 못한 것은 재성이 옆에 없어서이다. 그래서 주변의 상황에 따라서 다른 결과로 해석을 하기 때문에 일관성이 없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月支의 상관은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데, 정관을 보고 있는 상관이어서 그 마음에는 늘 자기 위에 있는 사람을 끌어내리려는 마음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석을 할 수가 있겠다. 급하기가 불같다고 하는 것은 병화의 성분이라고 생각이 되고 맘에 들고 말고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은 정인과 편인의 작용이라고 이해를 해본다. 이 정도의 설명으로 완전히 이해가 되시리라고는 보지 않지만 책의 한계임을 생각하시고 많은 실험을 거쳐주시기 바란다.

【滴天髓】
火烈而性燥者. 遇金水之激.
화열이성조자. 우금수지격.
'불이 맹열하여 성격이 급한자는 金水의 충격을 받으면 격렬해진다.'
【滴天髓徵義】
火燥而烈. 其炎上之性. 只可純用柚土潤之. 則知禮而成慈愛之德. 若遇金水激之. 則火勢愈熱而不知禮. 災禍必生也. 濕土者, 丑辰也. 晦其光, 斂其性, 則明矣.
화조이열. 기염상지성. 지가순용습토윤지. 즉지예이성자애지덕. 약우금수격지. 즉화세유열이부지례. 재화필생야. 습토자, 축진야. 회기광, 염기성, 즉명의.
"불이 조열하면 그 성질은 불과 같을 것인데 다만 습토로 윤택하게 함이 가능하겠는데, 그렇게 되면 예를 알고 자애의 덕을 이룬다. 만약 金水의 자극을 받는다면 즉 火勢는 더욱 맹렬해져서 예를 모르고 재앙이 반드시 발생할 것이다. 습토는 丑辰의 토를 말하고 그 빛을 흡수하고 성격을 거둬들이는 것이 분명하다."
【강의】
사주에 火가 넘치면 성격도 그렇다고 이해를 하면 되겠다. 그리고 성정의 해석 방향을 보면 주로 仁義禮智信에 바탕을 두고 있지 않은가 싶은 생각이 든다. 물론 고전적인 방향에서의 심성을 보는 기준이라고는 하겠지만 복잡다단한 현대적인 사회 구조에서는 너무 단순하다는 생각을 하실 수도 있겠다. 이러한 점을 참고하고 대입하는 과정을 지켜보시는 것이 좋겠다.
己 丙 甲 丙
丑 午 午 戌
壬辛庚己戊丁丙乙
寅丑子亥戌酉申未
丙火日元. 生於午月. 年月又透甲丙. 猛烈極矣. 最喜丑時. 干支皆濕土. 能收丙之烈. 能晦午之光. 順其性, 悅其情, 不陵下也. 其人威而不猛. 名利雙輝.
병화일원. 생어오월. 연월우투갑병. 맹열극의. 최희축시. 간지개습토. 능수병지열. 능회오지광. 순기성, 열기정, 불릉하야. 기인위이불맹. 명리쌍휘.
"丙火가 午月에 나고 年月에는 甲木과 丙火가 투출되었으니 맹렬함이 극에 달했다. 가장 기쁜 것은 時支의 丑土인데, 干支가 모두 습토라서 능히 丙火의 열기를 거둬들이고 午火의 빛도 어둡게 하니 그 성품에 순응하여 그 마음을 기쁘게 하며 아래를 업신여기지 않는다. 그 사람은 위엄은 있으되 맹렬하지는 않아서 명리가 모두 빛났다."
【강의】
넘치는 불기운을 거둬들이는 상관이 시에 있었던 것이 다행이고 다시 다행인 것은 관살이 사주에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만약 성격존에 정관이라도 있었다면 '싸가지가 없는 놈'이라고 하셨을 지도 모를 일이다. 상관이 대립을 하면 관성을 쳐버리기 때문이다. 흐름을 타는 것이 가장 아름답다는 말씀은 이러한 의미까지 고려를 한다면 더욱 의미심장하게 해석이 되는 것이다.
甲 丙 甲 辛
午 子 午 巳
丙丁戊己庚辛壬癸
戌亥子丑寅卯辰巳
丙火生於午月午時. 木從火勢. 烈之極矣. 無土以順其性. 金無根. 水無源. 激其猛烈之性. 所以幼失父母. 依兄嫂而居. 好勇不安分. 年十五六. 身材雄偉. ?力過人. 好習拳棒. 樂與里黨無賴交游. 放蕩無忌. 兄嫂不能禁. 後因搏虎而被虎?.
병화생어오월오시. 목종화세. 열지극의. 무토이순기성. 금무근. 수무원. 격기맹렬지성. 소이유실부모. 의형수이거. 호용불안분. 연십오육. 신재웅위. 여력과인. 호습권봉. 낙여이당무뢰교유. 방탕무기. 형수불능금. 후인박호이피호서.
"丙火가 午月 午時에 태어나 木은 화로 따라가고 맹렬함이 극에 달했으니 土의 흡수가 없어 그 성품을 수용할 수가 없고, 金은 뿌리가 없고 水는 근원이 없어서 맹렬한 성품을 자극시킨다. 그래서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형수에게 의지해서 자랐는데, 늘 안주하지를 못하고 힘 겨루기를 좋아하더니, 나이 15~6세가 되자 신체가 장대하고 힘이 엄청난 장사였다. 늘 무술 익히기를 좋아하더니 마을의 건달들과 떼거지로 몰려다니면서 행패를 부렸지만 형수도 그것을 말리지 못했다. 후에 호랑이를 잡으러 갔다가 (도리어) 호랑이에게 물려 죽었다."
【강의】
용신은 子水가 되겠고 희신은 辛金이 되겠는데, 서로 무정하게 떨어져 있으니 일간 병화를 제어할 힘이 되지 못하는 것이 유감이다. 정관의 성격으로 합리적인 사람이라고 해야 하겠는데, 편인이 겹쳐들면서 부정수용이 강화되고 다시 편인을 거부하는 마음까지 발동을 하게 되면서 스스로 결단을 내리려고 시도를 많이 하였을 것이다. 겁재는 경쟁심을 유발시키니 누군가 이 사람에게 '넌 용맹하기는 하지만 호랑이는 잡지 못할거야...'라고 약을 올렸다면 아마도 당장에 달려갔을 것이고 특히 그 호랑이가 사람을 해친다고 하는 말을 들었다면 정관이 자극을 받아서 명분도 살아나므로 일을 저지르고 말았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힘은 넘치지만 계략이나 머리가 따라주지 않았던 것은 성격존에 식상이 없었기 때문이 아니겠느냐고 하겠다.

【滴天髓】
水奔而性柔者. 全金木之神.
수분이성유자. 전금목지신.
'물이 넘치면서도 성품이 부드러운 것은 金과 木이 유통하는 연유이다.'
【滴天髓徵義】
水性本柔. 其?奔之勢. 剛急爲最. 若逢火?之. 則逆其性而更剛矣. 奔者, 旺極之勢也. 用金以順其勢. 用木以疏其?塞. 所謂從其旺勢. 納其狂神. 其性反柔. 剛中之德. 易進難退之意也. 雖智巧多能. 而不失仁義之情矣.
수성본유. 기충분지세. 강급위최. 약봉화충지. 즉역기성이갱강의. 분자, 왕극지세야. 용금이순기세. 용목이소기어색. 소위종기왕세. 납기광신. 기성반유. 강중지덕. 역진난퇴지의야. 수지교다능. 이불실인의지정의.
"물의 성품은 본래 유연한 것인데 충분한 세력이 된다면 강력하고 급하기가 으뜸이 되는 것인데 만약 불을 만나 충을 한다면 즉 그 성품에 거역하게 되어 더욱 강해진다. 奔이란 것은 왕이 극에 달하면 넘치는 성분이 되는데,금을 용해서 그 세력에 순응을 하거나 목을 용해서 그 엉킴을 풀어준다면 좋은데, 이른바 '그 왕성한 세력에 따른다'고 하는 것이 되고 미쳐서 발광하는 신의 강력한 성분을 부드럽게 수용하는 셈이니 그 성품이 도리어 유순하게 되므로 강한 가운데에서 덕이 된다. 나아가기는 쉬워도 물러나기는 어려운 뜻인데 비록 지혜가 교묘하고 능력이 뛰어나더라도 인의를 잃지 않는 뜻이 있다."
【강의】
내용은 그대로 수의 방향을 잡아주는 것이 좋겠다는 것으로 이해를 하면 되겠다. 왕성한 물의 성분을 목으로 흘려주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하겠지만 원문에서 금목의 신으로 인해서 부드러움을 얻는다고 한 것을 보면 종강격으 형태가 되는 것까지 포함을 시킨 것으로 보거나 혹은 金生水와 水生木을 모두 고려한 것으로 이해를 하면 되겠는데, 무리가 없는 설명이다.
庚 壬 甲 癸
子 申 子 亥
丙丁戊己庚辛壬癸
辰巳午未申酉戌亥
壬申日元. 生於子月. 年時亥子. 干透癸庚. 其勢?奔莫?也. 月干甲木凋枯. 又被金伐之. 不能納水. 反用庚金順其氣勢. 爲人剛柔相濟. 仁德兼資. 積學篤行. 不求名譽. 初運癸亥. 從其旺神. 蔭庇大好. 壬戌, 水不通根. 戌土激之. 刑喪破耗. 辛酉, 庚申, 入泮補弟. 又得四子. 家業日增. 一交己未. 激其?奔之勢. 連剋三子. 破耗異常. 至戊運而亡.
임신일원. 생어자월. 연시해자. 간투계경. 기세충분막알야. 월간갑목조고. 우피금벌지. 불능납수. 반용경금순기기세. 위인강유상제. 인덕겸자. 적학독행. 불구명예. 초운계해. 종기왕신. 음비대호. 임술, 수불통근. 술토격지. 형상파모. 신유, 경신, 입반보름. 우득사자. 가업일증. 일교기미. 격기충분지세. 연극삼자. 파모이상. 지무운이망.
"壬申일주가 자월에 나고 다시 年과 時에는 亥子숙 있고 천간에는 癸庚이 투출되었으니 그 세력은 넘쳐나서 아무도 막을 수가 없겠다. 月干의 甲木은 시들었고 또 금에게 극을 받기도 하니 물을 흡수하기는 글렀으니, 도리어 경금을 용해서 그 세력에 따르는 것이 좋겠다. 사람됨은 강과 유를 겸하고 인덕에 자질도 풍부하였고 학문도 쌓고 행동도 독실했으며 명예를 구하지도 않았다. 초운에서 癸亥는 왕한 세력에 따르니 부모의 도움이 크게 좋았고 壬戌에는 물이 통근이 되지 않으니 戌土가 자극을 시켜서 고통이 극심했지만, 辛酉나 庚申은 반수에서 공부도 하고 창고도 넓혔으며 또 네 아들을 얻었고 가업이 나날이 늘어났다가 한번 己未로 바뀌면서 넘치는 水의 세력을 때리니 연이서 세 아들이 죽고 고통이 많았으며 戊운에서 죽었다."
【강의】
종을 하는 구조라고 설명은 하시지만 그래도 역시 월간의 식신으로 용신을 삼아야 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은 해봐야 하겠다. 금운에서 잘 지낸 것은 금이 용신이라서 일지도 모르지만, 혹 金生水로 유통이 되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생각을 해도 되겠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려서 잘 살았던 것은 부모의 복이라고 해야 할 것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고려를 할 필요는 없다고 보겠다. 목운을 겪어보지 않아서 아쉽기는 하지만 이러한 사주라면 식신을 용하는 것이 원칙이 아닌가 싶다. 다만 희신으로는 재성을 써야 하겠는데, 비겁이 너무 왕해서 재운은 실제로 작용을 할 지는 의문이다. 쟁재의 현상을 염려해야 하겠다.
심리적으로는 식신이 있어서 학문에 깊은 조예가 있었다고 이해를 하면 되겠다. 다만 편인이 겹쳐있는 것은 문제이다. 즉 부정수용의 거부라고 하겠는데, 삐따닥하게 수용하는 면이 포함되어 있었겠지만 아마도 철초님의 눈에는 食神만 보이고 편인은 보이지 않았는지도 모를 일이다.
壬 壬 壬 壬
寅 辰 子 寅
庚己戊丁丙乙甲癸
申未午巳辰卯寅丑
天干四壬. 生於子月. ?奔之勢. 最喜寅時. 疏其辰土之?塞. 納其壬水之旺神. 所以不驕不倣. 秉性穎異. 讀書過目不忘. 爲文倚馬萬言. 甲寅入泮. 乙卯登科. 奈數奇不能得遂所學. 至丙辰, ?激旺水. 塋比爭財. 不祿.
천간사임. 생어자월. 충분지세. 최희인시. 소기진토지어새. 납기임수지왕신. 소이불교부방. 병성영이. 독서과목불망. 위문의마만언. 갑인입반. 을묘등과. 나수기불능득수소학. 지병진, 충격왕수. 군비쟁재. 불록.
"천간의 네 壬水가 子月에 났으니 넘쳐나는 세력이다. 가장 반가운 것은 寅時인데 진토를 뚫어서 막힘을 해소하고 壬水의 왕신을 흡수하기도 하니 그래서 교만하거나 오만하지 않고 성품이 리더쉽이 강했으며 책을 읽으면 눈앞을 지나간 것은 잊지를 않았고 말에 기대서서 만가지의 글을 지었다. 깁寅대운에 반수에 들어가 공부하고 乙卯대운에는 벼슬길에 올랐지만, 어쩔거나.... 이러한 기재도 배운 것을 써먹을 운이 따라주질 않으니.... 쯧쯧. 丙辰운이 되자 왕성한 수를 충격시켜서 군비쟁재가 일어나는 바람에 녹이 끊겼으니 말이다."
【강의】
성격존에 비견이 겹쳐있으니 2차존으로 넘어가서 식신의 작용이 극대화 되었다고 봐야 할 모양이다. 그리고 기억력이 좋았던 것은 일차존의 편관으로 인해서라고 하겠고, 흔히 세간에서는 식상을 기억력이 좋은 것으로 이해를 하기도 하는데, 실은 편관의 몫이라고 수정을 해야 할 모양이다. 식신은 늘 새로운 방향으로 모색을 하므로 기억을 하기에는 어울리지 않는 성분이고 상관은 활동적이기 때문에 또한 저장을 별로 하지 않는 스타일이다. 그래서 편관이 기억을 담당하게 되는데, 이렇게 일지에 편관이 있는 경우에는 식당을 가도 자신이 가본 식당을 찾게 되고, 사람도 한번 본 경우에는 여간해서는 기억을 할 수가 있다고 하니 이러한 점에서는 매우 좋은 성분이라고 하겠는데, 편관이 기억을 잘 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복종을 해야 하는 성분이기 때문이라고 이해를 해본다.
戊 壬 癸 癸
申 子 亥 未
乙丙丁戊己庚辛壬
卯辰巳午未申酉戌
壬子日元. 生於亥月申時. 年月兩透癸水. 只可順其勢. 不可逆其流. 所嫌未戊兩字. 激水之性. 故其爲人, 是非顚倒. 作事不端. 無所忌憚. 初運壬戌. 支逢土旺. 父母皆亡. 辛酉, 庚申. 洩土生水. 雖無賴邪僻之行. 倖免凶咎. 一交己未. 助土激水. 一家五口. 回祿燒死.
임자일원. 생어해월신시. 연월양투계수. 지가순기세. 불가역기류. 소혐미무양자. 격수지성. 고기위인, 시비전도. 작사부단. 무소기탄. 초운임술. 지봉토왕. 부모개망. 신유, 경신. 설토생수. 수무뢰사벽지행. 행면흉구. 일교기미. 조토격수. 일가오구. 회록소사.
"壬子일주가 亥月의 申時에 났고 年月에는 癸水가 둘이나 나와 있으니 다만 세력에 따르는 것이 좋겠고, 흐름을 거역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하겠다. 싫은 것은 未戊의 두 글자가 있는데 수의 성질을 극하고 있다. 그래서 사람됨이 옳은 것을 틀렸다고 하고, 틀린 것을 옳다고 하고, 하는 일은 두서가 없으며 거리낌도 없다. 초운에서 壬戌은 지지에 토가 왕함을 만났으니 부모가 모두 돌아가시고 辛酉와 庚申에는 토를 설하고 수를 생하니 비록 무뢰하고 사학하며 요행만 바라는 행동만 하였지만, 다행히도 흉한 일은 면했는데, 한번 己未운으로 바뀌면서 토를 도와 수를 격하게 만들어서 한 가정의 다섯 식구가 모두 불에 타서 죽었다."
【강의】
日支와 月干에 겁재가 겹쳐 있으니까 심리적으로 경쟁심이 왜곡되었다고 해도 되겠다. 그래서 남이 좋다고 하면 자신은 싫다고 하는 형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겠고, 時干의 편관은 기억력과 봉사심을 의미하겠는데, 경쟁적 주체성이 너무 강해서 봉사를 하는 방향이 다소 비틀렸다고 할 수도 있을 모양이다. 그런데 사주의 구조로 봐서는 토를 용신으로 하고 화를 희신으로 삼는 구조인데 설명은 금수가 희용신이라고 하는 것이 좀 꺼림칙하다. 그러니까 종왕격이라는 의미인가 본데 현실적으로 대입을 한다면 편관을 용신으로 하고 재성으로 도와야 하는 것으로 해야 하겠고, 기미운에서 가족이 불타 죽은 것은 왕신을 건드려서 액운을 당한 것으로 해석을 할 수도 있겠다는 의견을 추가한다.

【滴天髓】
木奔南而軟怯.
목분남이연겁.
'목이 남으로 달아나면 연약하여 겁난다.'
【滴天髓徵義】
木奔南, 洩氣太過. 柱中有金, 必得水以通之. 則火不烈. 如無金, 必得辰土以收火氣. 得其中矣. 爲人恭而有禮. 和而中節. 如無水以濟土. 土以晦火. 發洩太過.則聰明自恃. 又多遷變不常. 而成婦人之仁矣.
목분남, 설기태과. 주중유금, 필득수이통지. 즉화불열. 여무금, 필득진토이수화기. 득기중의. 위인공이유례. 화이중절. 여무수이제토. 토이회화. 발설태과.즉총명자시. 우다천변불상. 이성부인지인의.
"목이 남으로 달아난다는 것은 설기가 지나치다는 말이다. 사주에 金이 있다면 반드시 水를 얻어서 유통되어야 하니 즉 火는 맹렬하지 않게 되는데, 만약 금이 없다면 반드시 辰土라도 얻어서 화의 기운을 거둬들여야 하니 그러면 그 중화를 얻게 되나니 사람이 공손하고 예가 있으며 화목하고 절도도 있을 것이다. 만약 水 없이 토로 제어한다면 토는 다시 불을 어둡게 하니 설기가 너무 과다해서 즉 자신의 총명함만 믿고 또 변덕이 죽 끓듯 하니 부인의 인정을 이루게 될 것이다."
【강의】
삼국지에 나오는 조조를 일러서 '아녀자의 정'을 갖고 있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여름의 나무를 두고 하는 말이라고 이해를 하면 되겠다. 마음으로는 주고 싶지만 줄 힘은 되지 않는 마음으로 이해를 하면 될 것도 같은데, 실로 나무가 여름에 나면 겁을 낼만도 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이러한 대입은 모두 월지의 상황만 고려를 해서 풀이를 한 것으로 봐야 하겠다. 그러고 보면 예전에는 심리의 구조를 월지의 상황과 일간의 대입에서 읽으려고 시도를 했다는 생각도 든다. 식상은 인정이고 추진력이 약하면 지속성이 없다고 봐서 아녀자의 인정이라고 하는 말이 가능하겠다는 생각은 든다. 물론 사주에 따라서 해석은 얼마든지 달라질 것이다.
丙 甲 壬 庚
寅 午 午 辰
庚己戊丁丙乙甲癸
寅丑子亥戌酉申未
甲午日元. 生於午月. 木奔南方. 雖時逢祿支. 丙火逢生. 寅午拱火. 非日主有矣. 最喜月透壬水以濟火. 然壬水, 無庚金之生. 不能剋丙爲用. 庚金無辰土, 亦不能生水. 此造所妙者, 辰也. 晦火, 養木, 蓄水, 生金. 使火不烈. 木不枯. 金不鎔. 水不?. 全賴辰之一字. 得中和之象. 申運, 壬水逢生. 及乙酉, 金旺水生. 入泮補弟, 而擧於鄕. 丙戌, 火土?旺. 服制重重. 丁亥, 壬水得地. 出宰?中. 德敎?行. 政成民化. 所謂剛柔相濟. 仁德兼資也.
갑오일원. 생어오월. 목분남방. 수시봉록지. 병화봉생. 인오공화. 비일주유의. 최희월투임수이제화. 연임수, 무경금지생. 불능극병위용. 경금무진토, 역불능생수. 차조소묘자, 진야. 회화, 양목, 축수, 생금. 사화불열. 목불고. 금불용. 수불학. 전뢰진지일자. 득중화지상. 신운, 임수봉생. 급을유, 금왕수생. 입반보름, 이거어향. 병술, 화토병왕. 복제중중. 정해, 임수득지. 출재민중. 덕교병행. 정성민화. 소위강유상제. 인덕겸자야.
"甲午일주가 오월에 나서 목이 남으로 달아난다. 비록 時에서 비견을 만나기는 했지만, 丙火가 생을 만나고 寅午의 합으로 火가 되기도 하니 日主의 뿌리가 아니다. 가장 반가운 것은 월간에 壬水가 투출되어서 火를 다스리는 것이다. 그러나 壬水도 庚金의 생조가 없었다면 丙火를 극하는 용신이 되기에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庚金도 辰土가 없었다면 또한 능히 水를 생조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 사주의 묘한 점은 辰土이다. 불을 어둡게 하고 나무를 길러주며 물을 저장하고 금을 생조하며 불이 맹렬하지 않으니 목은 시들지 않고, 금은 녹지 않으며 水는 말라버리지 않으니 모두 辰土의 한 글자의 공이니 중화를 얻은 형상이다. 申金대운에서 壬水가 생을 만나고 다시 乙酉대운에서는 금이 왕하여 수를 생하니 반수에 들고 창고를 넓혔으며 고향에서 과거에 급제를 하였는데, 丙戌대운에는 火土가 함께 왕하여 줄초상이 났으며, 丁亥에는 壬水가 득지를 하니 민중으로 나아가 벼슬을 하고 덕을 가르치면서 다시 스스로 행동도 하였으며 정치를 잘하여 백성이 교화가 되었으니 이른바 강과 유가 서로 조화를 이루니 어짐과 덕이 함께 겸하였다."
【강의】
아따. 참 말씀도 길다. 그래도 사주의 균형이 辰土에 있다는 설명이 멋져서 모두 참을 만 하겠다. 그야말로 殺印相生格을 넘어서 財生殺印相生格이라고라도 해야 할 모양이다. 비록 화의 세력이 강하다고는 하지만 균형을 이루도록 방향을 잡고 있는 것이 아름답다. 심리적으로 보면 일지에 상관이 최우선으로 작용을 하여 사교성이 좋다고 하겠고, 다시 시간의 병화는 궁리를 하는 성분이 되는 것으로 좋은 작용을 하겠지만 만약에 壬水가 없었다면 천하에 자기가 최고인 줄을 알고 날뛰는 시건방진 성향이 나타나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壬水가 있어서 식상을 제어하는 작용이 나타나게 되어서 비로소 수용성이 있는 현명하고 센스가 있는 사람이라 어떤 상황이거나 잘 어울리게 마음을 썼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고 무엇보다도 운에서 관살의 작용이나 인성의 작용을 받아서 더욱 다듬어졌을 것으로 이해를 해본다. 역시 운의 심리변화에도 늘 관심을 갖고 대입해야 하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丙 甲 甲 丙
寅 申 午 戌
壬辛庚己戊丁丙乙
寅丑子亥戌酉申未
甲申日元. 生於午月. 兩透丙火. 支會火局. 木奔南方. 燥土不能晦火, 生金. 無水則申金剋盡. 柔軟極矣. 其爲人?私恩. 不知大禮. 作事狐疑. 少決斷. 所爲心性多疑. 貪小利. 背大利. 一事無成.
갑신일원. 생어오월. 양투병화. 지회화국. 목분남방. 조토불능회화, 생금. 무수즉신금극진. 유연극의. 기위인닐사은. 부지대례. 작사호의. 소결단. 소위심성다의. 탐소리. 배대리. 일사무성.
"甲申일주가 午月에 태어나서 丙火가 둘이나 투출되고 地支는 다시 火局이 되었으니 목이 남으로 달아난 것이다. 마른 土는 火를 어둡게 하기가 불가능하고 금을 생하기도 불가능하며 水가 없으니 申金도 이미 죽은 것이나 같이 부서져서 무력하다. 그 사람은 사사로이 친한 것에는 은혜를 중히 여기면서도 큰 예절은 알지 못하며 하는 일이 늘 여우처럼 의심을 하고 결단력이 적었으며 마음에는 늘 의심이 많았고 작은 이익을 탐하고 큰 이익은 배신을 하여 한 가지도 이루지 못했다."
【강의】
우선 사주에서 용신을 어떻게 정해야 할 지가 고민스러운 장면이다. 아무래도 '甲申戊寅 眞爲殺印相生'의 논리에 의해서 申金 속의 壬水를 용신으로 삼아야 할 모양이다. 그리고 寅申?으로 인해서 뿌리가 흔들리는 것이 부담이고 다시 午月의 火기운이 金을 극하는 것은 탁하다고 해야 할 모양이다. 그래서 용신이 무력하고 심리적으로는 偏官이 있어서 봉사를 하기는 해야 하겠는데, 時干의 식신이 있으니 이기적으로 마음이 변해서 처음에는 크게 생각을 하다가도 결과적으로는 이기적으로 방향을 바꾼다고 해석을 해보면 어떨까 싶다. 여하튼 이 사주야말로 겁이 많은 甲木이라고 할만 하다. 뭘 하든지 추진력이 있어야 하는데, 인성이 너무 약해서 추진을 할 힘이 없었다고 해야 할 모양이다.

【滴天髓】
金見水以流通.
금견수이유통.
'금이 수를 보면 유통이 된다.'
【滴天髓徵義】
金者, 剛健中正之體也. 能任大事. 能決大謀. 見水則流通. 剛煞之性. 能用智矣. 得氣之正者. 金旺遇水也. 其人內方外圓. 能知權變. 處世不傷廉惠. 行藏自合中庸. 得氣之偏者. 金衰水旺也. 其人作事荒唐. 口是心非. 有挾術待人之意也.
금자, 강건중정지체야. 능임대사. 능결대모. 견수즉유통. 강살지성. 능용지의. 득기지정자. 금왕우수야. 기인내방외원. 능지권변. 처세불상렴혜. 행장자합중용. 득기지편자. 금쇠수왕야. 기인작사황당. 구시심비. 유협술대인지의야.
"金이란 강건한 가운데에서도 중심을 갖는 체이다. 능히 큰 일을 감당할만 하고 능히 큰 계획을 도모할 만 하다고 하겠는데, 水를 보면 흘러서 통하게 되니 강건하면서도 살기가 포함된 성분이 능히 지혜를 용하게 되니 기운의 얻음이 바르다고 하는 자는 금이 왕하면서 물을 만나는 것이다. 그 사람은 안으로는 반듯하고 밖으로는 원만하며 능히 권위의 변화를 알고 세상을 살아가는 것도 손상되지 않고 청렴하고 베풀 줄을 안다. 스스로 몰래 행하면서도 중용에 부합이 된다. (그리고) 기운이 편중된 자는 금이 쇠약하면서 왕수를 만난 것인데 그 사람의 하는 일은 늘 황당무계하고 입으로는 옳은 것을 말하는데 마음으로는 틀린 생각을 하는 사람이며 남을 속이려는 마음으로 기회를 엿보고 있을 수도 있다."
【강의】
金의 성분이 기본적으로는 같다고 하겠지만 왕한 금과 약한 금의 차이를 논하는 것을 보면 참 유연한 사고방식을 갖고 있다고 생각이 된다. 그리고 금의 설명을 잘 하였다고 생각이 되면서도 경금의 강력한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대목이 생각난다.
乙 庚 癸 甲
酉 子 酉 申
辛庚己戊丁丙乙甲
巳辰卯寅丑子亥戌
庚生酉月. 又年時申酉. 秋金銳銳. 喜其坐下子水. 透出癸水元神. 流通金性. 洩其菁華. 爲人任大事而布置有方. 處煩雜而主張不靡. 且慷慨好施. 剋己利人也.
경생유월. 우년시신유. 추금예예. 희기좌하자수. 투출계수원신. 유통금성. 설기청화. 위인임대사이포치유방. 처번잡이주장부미. 차강개호시. 극기이인야.
"庚金이 酉月에 났고 또 년과 시에도 申酉의 금이 있으니 가을의 금이 날카롭고 또 강하다. 반가운 것은 앉은자리에 子水가 있다는 것이고, 천간에 癸水가 투출되어 있어서 金의 기운이 흘러서 통한다는 것이다. 그 빼어난 기운을 설기하니 사람됨이 큰 일을 능히 감당할 만 하고 베풀어 가는 모습이 자못 반듯하며 복잡한 상황에서도 능히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으며 또 강경한 성품으로 베풀기를 좋아하고 자기는 억압하면서 남에게 이로움을 베풀려고 하는 사람이었다."
【강의】
日支의 상관이나 월간의 상관은 자신의 생각대로 표현을 하는 성분이면서도 겹쳐있다 보니까 인성의 심리가 약간 발휘된다고는 하겠지만 그래도 설명에 나온 정도의 심리를 가졌다고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설명으로 봐서는 어딘가에 편관이라도 하나 있어야 할 분위기인데 오히려 正財가 합이 된 채로 시간에 있는 것은 아무래도 물질적인 결실에 집착을 보이는 성분이라고 봐야 하겠기에 철초님의 설명과 연관이 되지 않는다. 구태여 긍정적으로 생각을 해본다면 다행히도 상관이 관살을 보지 않아서 흐름에 순응하여 격렬하지 않고 안정된 심리를 얻게 되었으며 상관은 베풀면서 생색을 내는 성분인데 남들이 그러한 것을 알아주니까 잘 하게 되었다고 생각을 해보면 어떨까 싶은 생각도 해본다. 그냥 참고사항이라고 해둔다.
丙 庚 壬 壬
子 辰 子 申
庚己戊丁丙乙甲癸
申未午巳辰卯寅丑
庚生仲冬. 天干兩透壬水. 支會水局. 金衰水旺. 本屬偏象. 更嫌時透丙火混局. 金主義而方. 水司智而圓. 金多水少. 智圓行方. 水泛金衰. 方正之氣絶. 圓智之心盛矣. 中年運逢火土. ?激壬水之性. 刑傷破耗. 財散人離. 半身奸詐. 誘人財物. 盡付東流. 凡人窮達貧富. 數己注定. 君子樂得爲君子. 小人枉自爲小人.
경생중동. 천간양투임수. 지회수국. 금쇠수왕. 본속편상. 갱혐시투병화혼국. 금주의이방. 수사지이원. 금다수소. 지원행방. 수범금쇠. 방정지기절. 원지지심성의. 중년운봉화토. 충격임수지성. 형상파모. 재산인리. 반신간사. 유인재물. 진부동류. 범인궁달빈부. 삭기주정. 군자락득위군자. 소인왕자위소인.
"庚金이 子月에 나서 천간에는 壬水가 둘이 투출되고 지지에는 水局이 형성되었으니 금은 쇠약하고 水는 왕하니 본래는 편고한 형상에 속한다. 다시 싫은 것은 時에 丙火가 투출되어 국을 어지럽힌다는 것이다. 金은 의리를 주관하여 반듯하고, 水는 지혜를 관장하여 원만하니 금이 많고 수는 적으면 지혜가 원만하고 행동이 반듯하겠는데, 水가 넘치고 金이 쇠약하니 반듯하고 바른 기운이 끊기고 원만한 지혜의 마음만 왕성하다. 중년의 운에서 火土가 되어 壬水의 성격을 충격하니 형상으로 고통을 겪었으며 재산이 흩어지고 사람은 떠나갔다. 그의 몸은 간특하고 사악하여 남의 재물을 유혹하여 모은 것은 모두 강물에 흘려보냈으니 보통 사람은 빈부에 대해서만 집착을 하여 스스로 그렇게 (사소한 것을) 목표로 정하는데〔數己注定〕, 군자는 스스로 즐거움을 찾아서 재미를 얻으니 (그래서) 군자가 되는 것이고 소인은 잘못되어 (재물을 탐하니) 스스로 소인이 되는 것이다."
【강의】
본문의 끝 부분에서 '數己注定'의 의미가 명확하게 이해되지 않는다. '자주 스스로 만들어 놓은 것에 따르다'의 정도로 해석을 해봐도 명확하지 않아서 대략 의미만 대입시켜봤음을 헤아려 주시기 바란다. 요약을 해보면 결국은 귀인이든 소인이든 스스로 그 마음으로 지어서 얻어지는 것으로 결국은 자신의 탓이라고 하는 의미로 이해를 하면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이 된다. 심리존으로 본다면 時干의 편관이 있으니까 남의 입장을 많이 헤아린다고 하겠는데, 월간의 식신이 정면으로 극을 하는 바람에 결국은 이기적인 방향으로 바뀌게 되어서 말과 행동이 다르게 나타났다고 이해를 할 수가 있겠다. 그리고 日支의 편인은 다시 부정수용으로 작용을 한다면 역시 스스로 그 마음에 늘 이기적인 심리가 존재하는데, 子月의 합으로 인해서 편인의 직관력이 이기적인 목적으로 활용이 되었다고 봐도 되겠다. 다만 편관이 뿌리가 있어서 좀더 강했더라면 그래도 이 정도는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을 해보게 된다. 그리고 다시 운에서 관살을 만났음에도 워낙 수의 세력이 강해서 수용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남을 생각하는 마음이 결과적으로는 자신을 이롭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을 하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도 해본다.

【滴天髓】
最拗者西水還南
최요자서수환남
'가장 잘 꺾이는 것은 가을 물이 남으로 가는 것이다.'
【滴天髓徵義】
西方之水. 發源崑崙. 其勢浩蕩. 不可?也. 亦可順其性. 用木以納之. 則智之性, 行於仁矣. 如用土以制之. 不得其性. 反有沖奔之患. 其性仍逆而强拗. 至於還南. 其?激之勢. 尤難砥定. 强拗異常. 全無仁禮之性矣
서방지수. 발원곤륜. 기세호탕. 불가알야. 역가순기성. 용목이납지. 즉지지성, 행어인의. 여용토이제지. 부득기성. 반유충분지환. 기성잉역이강요. 지어환남. 기충격지세. 우난지정. 강요이상. 전무인예지성의
"가을의 물은 발원이 곤륜산에서 비롯되니 그 세력이 호탕하여 막을 수가 없다. 또한 그 성품에 따르는 것이 옳다고 하겠으니 木을 용하여 수의 성분을 수용하는 것이다. 즉 지혜의 성분이 仁을 행하는 것인데, 만약 土로써 용하여 강제로 제어한다면 그 성품에 맞지 않아서 도리어 충격을 받다 휩쓸고 다니는 근심이 있을 것이며 그 성질에 오히려 거역됨으로 해서 강제로 꺾으려고 하니 운이라도 남방으로 흘러간다면 그 충격의 세력으로 더욱 멈추기가 곤란하여 너무 강제로 꺾으려고 하다가 고장이 날 것이며 인와 예의의 성분은 전혀 없게 된다."
【강의】
가을의 물이 남으로 간다고 하는 것은 운이 역행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를 하면 되겠다. 사주에 가을의 물이 왕성하면 목으로 흘러가야 하겠지만 그것도 마음대로 되지 않으므로 혹 남으로 가더라도 사주에 木이 있어서 유통을 시켜 주기만 한다면 구태여 걱정을 할 정도는 아니라고 하겠는데, 그렇지 못해서 토를 용신으로 하려면 금왕절의 금기운이 토를 약하게 만들 것이므로 다시 수의 입장에서는 토의 극을 안중에 두지 않을 염려가 있는 것이고 관의 지배를 거부하겠다는 심리가 발생하는 이상 어딘가에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항상 있다고 하겠다. 이 경우의 상황을 고려해 본 듯 싶다.
甲壬庚癸
辰申申亥
壬癸甲乙丙丁戊己
子丑寅卯辰巳午未
壬申日元. 生於亥年申月. 亥爲天門. 申爲天關. 卽天河之口. 正西方之水. 發源最長. 所喜者時干甲木. 得辰土通根養木. 足以納水. 則智之性行而爲仁. 禮亦備矣. 爲人有驚奇之品彙. 無巧利之才華. 中年南方火運. 得甲木生化. 名利兩全.
임신일원. 생어해년신월. 해위천문. 신위천관. 즉천하지구. 정서방지수. 발원최장. 소희자시간갑목. 득진토통근양목. 족이납수. 즉지지성행이위인. 예역비의. 위인유경기지품휘. 무교리지재화. 중년남방화운. 득갑목생화. 명리양전.
"壬申일주가 亥年의 申月에 났는데 亥는 하늘의 문이고 申은 하늘의 빗장이니 즉 천하의 입구가 되어 바로 서방의 물이 되어 발원이 가장 길다. 반가운 것은 時干의 甲木이다. 辰土를 얻어서 통근하고 목을 기르니 족히 물을 흡수하게 된다. 즉 지혜로운 성품에다가 다시 인을 행하며 예도 또한 갖춰지니 사람됨이 놀라운 기재의 품성이 있었지만, 교활하거나 이익을 탐하는 재능은 발휘하지 않았다. 중년에 남방의 火운이 되자 甲木이 생화를 얻어서 명리가 모두 갖춰졌다."
【강의】
하늘의 빗장이니 천하의 물이니 하는 것은 명리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이야기지만 주역의 의미로써 구분 없이 통용이 되던 내용이었던가 싶다. 몰라도 되는 이야기라고 봐서 특별히 관심을 기울이지는 않는다. 심성을 보면 외향적 감정형이라고 하겠는데, 일간을 중심으로 모두 양의 구조로 성격존이 형성되어서이다. 그래서 되는 것은 된다고 하고 안 되는 것은 불가하다고 말을 하는 올곧고 고지식한 사람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리고 편인이 겹쳐 있어서 부정수용이 상당했겠는데, 그 성분을 자극하는 火가 없어서 驚奇의 의미를 놓고 생각해보니 아마도 어지간히 괴팍하지는 않았는가 싶은 생각이 든다. 잘 쓰지 않는 문자여서이다. 편인이 겹치니까 부정수용성이 발달되어 있으면서 다시 거부하는 심리는 언뜻 보면 편재처럼 보인다. 결단력이 발생하는 구조라고 하겠는데, 다행히 시간의 식신이 있어서 궁리하고 정리하는 성분이 작용을 하여 쓸모가 있게 되지 않았겠느냐는 생각을 해본다. 다만 철초님처럼 인례가 있었다고 하는 말은 火도 없고 목도 약한데 구태여 언급을 할 사안이 아닌 것으로도 봐야 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타심이 약하고 편중된 형태가 약간 보인다.
丙壬庚癸
午子申亥
壬癸甲乙丙丁戊己
子丑寅卯辰巳午未
壬子日元. 生於申月亥年. 西方之水. 浩蕩之勢. 無歸納之處. 時逢丙午. ?激以逆其性. 爲人强拗無禮. 兼之運走南方火土. 家業破敗無存. 至午運强娶人妻. 被人歐死. 俗以丙火爲用. 運逢火土爲佳. 不知金水同心. 可順不可逆. 須逢木運, 生化有情. 可免凶災而人亦知禮矣.
임자일원. 생어신월해년. 서방지수. 호탕지세. 무귀납지처. 시봉병오. 충격이역기성. 위인강요무례. 겸지운주남방화토. 가업파패무존. 지오운강취인처. 피인구사. 속이병화위용. 운봉화토위가. 부지금수동심. 가순불가역. 수봉목운, 생화유정. 가면흉재이인역지례의.
"壬子일주가 申月의 亥年에 나서 서방의 水가 되어 호탕한 세력을 이뤘으나 돌아갈 곳이 없다. 시에 만난 丙午는 (왕성한 화의 세력을) 충격하니 그 성품에 거역된다. 사람됨이 강요를 하고 무례하였는데, 겸해서 운도 남방의 火土로 흐르니 가업이 완전히 망해서 남은 것이 없었다. 午火의 운이 되면서 강제로 남의 처를 빼앗아서 장가를 들었는데, 그로 인해서 맞아 죽었다. 속론으로 말한다면 丙火가 용신이 되어서 운에 火土를 만나니 아름답다고 해야 할 모양이지만, 金水의 마음이 같음을 모르고 하는 말이다. 순응하는 것이 옳고 거역하면 불가하다. 그래서 모름지기 木의 운을 만나야 할 것이고, 그랬더라면 생화하고 유정해서 흉한 일도 면했을 것이고 사람도 또한 예를 알았으리라고 본다."
【강의】
철초님께서 俗論之라고 말씀하실 적에는 잘 살펴봐야 한다. 실로 속론지가 타당할 수도 있겠기 때문이다. 이 사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자신이 행동을 그렇게 했으면 운과 상관없이 맞아 죽어도 싸다고 해야 할 것인데 운이 나빠서 그렇다고 한다면 좀 곤란하지 않을까 싶다. 즉 운과 상관없이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결과는 자신의 책임이고 운의 탓이라고만 할 것은 아니라고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들어서 말이다. 사주를 보면 분명 棄印就財格으로 나아가는 구조이며 용신이 화가 되어야 마땅하다고 해석을 하는 것이 이치에 옳을 것으로 본다. 아마도 午火운에서 무례를 범한 것은 용신의 운에서 쟁탈의 현상이 생기는 바람에 남의 부인을 빼앗을 용기를 냈는지도 모를 일이다. 다만 식상이 있었더라면 솜씨를 발휘해서 노련하게 꼬여 냈겠지만 그런 재주가 없으니 강제로 수단을 발휘했을 것이고 그로 인한 결과로 맞아 죽었던 것은 운을 떠나서 자신의 인과라고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든다. 편인이 강력하게 들어오므로 부정수용이 발생하였을 것이고 일지에 겁재가 있으니 경쟁심이 발휘되었을 것이며 희망이라고는 편재뿐이므로 마음대로 취하고 싶은 욕심에 저지른 결과라고 생각을 해보게 된다.

【滴天髓】
至剛者東火轉北
지강자동화전북
'지극히 강한 자는 봄 불이 겨울로 가는 것이다.'
【滴天髓徵義】
東方之火. 火逞木勢. 其炎上之性. 不可禦也. 只可順其剛烈之性. 用柚土以收之. 則剛烈之性, 化爲慈愛之德矣. 一轉北方. 焉制焚烈之勢. 必剛暴無禮. 若無土以收之. 仍行火木之運. 順其氣勢. 亦不失慈讓惻隱之心矣
동방지화. 화령목세. 기염상지성. 불가어야. 지가순기강열지성. 용습토이수지. 즉강렬지성, 화위자애지덕의. 일전북방. 언제분열지세. 필강포무례. 약무토이수지. 잉행화목지운. 순기기세. 역부실자양측은지심의
"동방의 불이 화세가 날뛰고 목의 세력이 있다면 그 이글거리는 성분은 아무도 막을 수가 없다. 다만 강렬한 성품을 따르는 것이 옳은데, 습토를 써서 강렬한 성분을 거둬들이게 되면 자애의 덕으로 화하게 된다. 한번 북쪽의 水가 강한 방향으로 흘러가면 어찌 불타는 세력을 제어할 것인가. 반드시 강포하고 무례할 것이니 만약 토의 수렴작용이 없다면 오히려 목화의 운으로 흘러가는 것이 그 세력을 따르는 것이며 또한 자애로움, 사양하는 마음,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을 잃지 않을 것이다."
【강의】
東火는 寅卯월의 불이라고 이해를 해야 하겠는데, 강력한 경우에는 역행의 운을 타면 너무 강해져서 위험하므로 습토가 있어서 열기를 흡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라는 의미가 되겠다. 아니면 목이 있어서 水生木하여 木生火로 그 성품을 잡아주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곤란하다고 하는 의미로 보이는데, 절대로 강제를 하면 안 된다는 주의사항이라고 생각이 된다.
己丙甲丙
丑午午寅
壬辛庚己戊丁丙乙
寅丑子亥戌酉申未
丙午日元. 生於午月寅年. 年月又透甲丙. 其焚烈炎上之勢. 不可?也. 最妙丑時. 濕土收其猛烈之性. 爲人有容有養. 驕諂不施. 運逢土金. 仍得丑土之化. 科甲連登. 仕至郡守.
"丙火가 午月의 寅年에 나서 年月에는 또 甲丙이 투출되기도 했으니 이글거리는 형상이라고 하겠으니 막을 수가 없다. 가장 묘한 것은 丑時를 얻은 것인데 濕土가 능히 맹렬한 성분을 수렴하니 사람됨이 넉넉하고 교양이 있으며 교만하거나 아첨하지 않았다. 운에서 土金을 만나니까 오히려 丑土가 유통을 시켜서 과거에 급제하고 벼슬이 군수에 이르렀다."
【강의】
원문의 내용과 좀 차이가 있는 사주의 예문으로 보인다. 봄의 불이 아니고 여름의 불이기 때문이다. 火기운이 넘치는 예문으로 인용을 한 것으로 봐야 하겠다. 심리적으로 보면 우선 상관의 성분이 있어서 사교성과 표현력이 상당했다고 하겠고, 일지의 겁재는 경쟁성이며 불타는 성품이므로 아마도 자극을 받으면 상당히 날뛰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을 해본다. 다만 그 마음에 순응을 하면 포용력이 상당했다고 하겠고 상관이 이기적으로 흐르지 않았다면 아마도 月干의 편인에게 제어를 당해서 양반(!)이 되어서라고 이해를 할 수도 있겠다. 그래서 예로부터 傷官佩印格을 총명하면서도 예의가 있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았을까 싶다. 이 사주에서 혹 성격존에 官殺을 만나기라도 했다면 너그럽지 못했을 것으로 생각을 해보게 된다.
庚丙丙丁
寅午午卯
戊己庚辛壬癸甲乙
戌亥子丑寅卯辰巳
丙午日元. 生於午月. 年時寅卯. 庚金無根. 置之不用. 格成炎上. 局中無土吐秀. 書香不利. 行伍出身. 至卯運, 得官. 壬運失職. 寅運, 得軍功. 驟升都司. 辛丑運, 生化之機無咎. 一交庚子, ?激午刃. 又逢甲子年. 雙?陽刃. 死於軍中.
병오일원. 생어오월. 연시인묘. 경금무근. 치지불용. 격성염상. 국중무토토수. 서향불리. 행오출신. 지묘운, 득관. 임운실직. 인운, 득군공. 취승도사. 신축운, 생화지기무구. 일교경자, 충격오인. 우봉갑자년. 쌍충양인. 사어군중.
"丙午일주가 午月에 나고 年時에는 寅卯가 있는데, 庚金은 뿌리가 없으니 버려두고 쓰지 않는다. 격은 염상이라고 하겠는데, 국중에 토의 설하는 방법이 없으니 공부는 불리하다. 육군보병〔行伍〕출신으로 卯운이 되면서 관을 얻었으나 壬運에는 실직을 하고, 寅운에 다시 군에서 공을 세워서 갑자기 도사의 지위에 올랐는데 辛丑운은 생화의 기틀이 있어서 허물이 없었으나 한번 庚子대운으로 바뀌면서 午火의 양인을 충격하고 또 甲子년을 만나면서 쌍으로 양인을 충하니 군중에서 죽었다."
【강의】
앞의 사주는 습토가 있었지만 이 사주는 군겁쟁재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렇더라도 용신은 금에 있는 형상이고 습토를 만나면 발한다고 하겠는데, 묘운에 관을 얻었다는 것은 아마도 염상격으로 해석을 하는 과정에서 대입이 된 모양인데, 염상격에 신축대운의 발복은 설명이 곤란하다. 그래서 아마도 세운의 작용이라고 보고 金 용신에 土를 희신으로 이해를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심리적으로는 한 가지 일에 집중을 하기 어렵다고 하겠고 창의력이나 궁리가 되지 않으므로 군에 들어간 것은 오히려 현명했다고 하겠고 성질이 지랄(?) 같아서 아무도 마주 대응을 하지 않으려고 하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통제를 하려고만 하고 수용은 잘 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滴天髓】
順生之機. 遇擊神而抗
순생지기. 우격신이항
'순생의 기틀에는 충격을 받으면 저항한다.'
【滴天髓徵義】
順者宜順. 逆則宜逆. 則和平而性順矣. 如木旺, 得火以通之. 順也. 土以行之, 生也. 不宜見金水之擊也. 木衰得水以生之. 反順也. 金以助水. 逆中之生也. 不宜見火土之擊也. 我生者爲順. 生我者爲逆. 旺者宜順. 衰者宜逆. 則性正情和. 如遇擊神. 旺者勇急. 衰者懦弱. 如格局得順逆之序. 其性情本和平. 至歲運遇擊神. 亦能變爲强弱. 宜細究之
순자의순. 역즉의역. 즉화평이성순의. 여목왕, 득화이통지. 순야. 토이행지, 생야. 불의견금수지격야. 목쇠득수이생지. 반순야. 금이조수. 역중지생야. 불의견화토지격야. 아생자위순. 생아자위역. 왕자의순. 쇠자의역. 즉성정정화. 여우격신. 왕자용급. 쇠자나약. 여격국득순역지서. 기성정본화평. 지세운우격신. 역능변위강약. 의세구지
"(흐름에) 따라야 할 것은 따라야 옳고 거역을 해야 할 경우에는 거역을 해야 마땅하다. 그러면 화평하여 성품이 순하게 되는데, 만약 木이 왕한 상황에서 火를 얻어 (기운이) 통하면 順이 되는 것이고, 土를 얻어서 흘러가게 되면 生이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金水의 자극을 받으면 마땅치 않은 것이다. 쇠약한 木이 水를 만나면 생을 받으니 도리어 순이 된다. 금은 수를 도우니 거역되는 가운데에서의 생조함이다. (이때에는) 火土의 충격을 받으면 옳지 않다. 내가 (그러니까) 내가 생하는 것은 順이 되고, 나를 생하는 것은 逆이 되는 셈인데 왕한 사주라면 순이 옳고 쇠한 사주라면 역이 옳으니 즉 성품이 바르고 뜻은 화목하다. 만약 치는 성분을 만난다면 왕한 자는 용감하게 나서서 서두르겠고, 쇠한 자는 더욱 약해질 것이니 만약 격국에서 순역의 흐름을 얻었다면 그 성품이 바르고 뜻은 화목할 것이나, 운에서 충격을 받으면 또한 능히 강하거나 약하게 변할 것이니 마땅히 잘 생각해야 하겠다."
【강의】
내용은 충격을 받으면 어떻게 되겠느냐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는 대목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치적으로 매우 타당하다고 하겠는데, 운의 변화에 따라서 사람의 마음이 변하게 된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흥미롭다고 하겠고, 실로 이렇게 한 말씀 던져주는 것으로 인해서 후학은 다시 새로운 심리분석의 단서로 삼아서 연구를 이어갈 수 있다고 생각이 된다. 여하튼 이야기를 해야 알지 혼자만 알아서 끙끙거리면 누가 알겠느냐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壬甲丙己
申寅寅亥
戊己庚辛壬癸甲乙
午未申酉戌亥子丑
甲寅日元. 生於寅月. 木旺得丙火透出. 順生之機. 通輝之象. 讀書過目成誦. 所嫌者, 時遇金水之擊. 年干己土虛脫. 不制其水. 兼之初運北方水地. 不但功名難遂. 而且破耗刑傷. 一交辛酉. 助水之擊. 合去丙火而亡.
갑인일원. 생어인월. 목왕득병화투출. 순생지기. 통휘지상. 독서과목성송. 소혐자, 시우금수지격. 년간기토허탈. 부제기수. 겸지초운북방수지. 부단공명난수. 이차파모형상. 일교신유. 조수지격. 합거병화이망.
"甲寅일주가 寅月에 나서 목이 왕하고 丙火가 투출되었으니 순생의 기틀이라고 보고 빛나는 곳으로 통하는 형상이라고 하겠으니, 책을 읽으면 눈을 지나간 것은 모두 외워버렸지만, 싫은 것은 시에 金水의 충격을 만난 것과 年干의 己土가 허약한 것이다. 그래서 水를 제어하지 못하며 겸해서 초운이 북방의 水운이 되니 공명이 따르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또 온갖 고통이 따랐는데, 한번 辛酉의 운으로 바뀌면서 水의 충격을 돕고 丙火를 합거하는 바람에 죽어버렸다."
【강의】
火를 용신하고서 수운을 가려니 고통이 극심했겠는데, 금운에서는 火剋金으로 다스리는 것이 보통임에도 이 경우에는 합이 되는 바람에 용신합의 흉한 일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이 되겠다. 참으로 무서운 것이 용신의 합이다. 차라리 극을 받을지언정 합은 하지 말아야 하는데, 여기에서 丁火가 하나 없었던 것을 아쉬워해야 할 모양이다. 심리적으로 보면 식신은 궁리하는 성분이고 비견은 주체성이며 임수는 편인이니 궁리를 거부하는 마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면 되겠다. 식상은 미래지향적인데 재성이 약해서 결실이 되지 못한 것이 아쉽고 그래서 과정만 있고 결과가 없다고 해야 하겠는데, 더구나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 관살의 운을 만나면서 타고난 구조를 거역하므로 더욱 고통을 받은 것이 아니겠느냐고 해석을 해본다.
壬甲戊庚
申午寅寅
丙乙甲癸壬辛庚己
戌酉申未午巳辰卯
甲午日元. 生於寅月. 戊土透出. 寅午拱火. 順生之機. 德性慷慨. 襟懷磊落. 亦嫌時逢金水之擊. 讀書未末. 破耗多端. 兼之中運不齊. 有志未伸. 還喜春金不旺. 火土通根. 體用不傷. 後昆繼起.
갑오일원. 생어인월. 무토투출. 인오공화. 순생지기. 덕성강개. 금회뢰락. 역혐시봉금수지격. 독서미수. 파모다단. 겸지중운부제. 유지미신. 환희춘금불왕. 화토통근. 체용불상. 후곤계기.
"甲午일주가 寅月에 나고 戊土는 투출되었는데 寅午가 합이 되면서 순생의 기틀이 되었으니 덕의 성품과 의기가 있으며 가슴 속에는 큰 뜻을 품었으나 또한 싫은 것은 시에서 金水의 충격을 만난 것이니 책을 읽었어도 팔리지 못했고, 고통이 많았으며 겸해서 중운의 일정하지 않아서 뜻은 있었으나 펼 수가 없었으나 도리어 기쁜 것은 봄의 금이 왕하지 않음이라 火土가 통근을 하여 체용이 손상이 되지 않은 것이니 자손은 잘 되었던 것이다."
【강의】
큰 뜻이라고 하는 것은 日支의 상관으로 인해서 상관이 편관을 봤다고 해석이 되겠다. 월간의 편재는 자신의 마음대로 통제를 하고 싶었을 것이고, 시간의 임수는 부정수용이므로 체제의 비판이 가능한 성분이다. 마음대로 운이 와 줬다면 뜻을 펼쳤겠으나 여의치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용신은 상관이 되는 형상인데, 화운이 지나갔으면서도 간지의 배합이 적절하지 못했으니 마음대로 되지 않았던 모양이다.

【滴天髓】
逆生之序. 見閑神而狂.
역생지서. 견한신이광.
'역으로 생하는 구조에서 한신을 보면 발광한다.'
【滴天髓徵義】
逆則宜逆. 順則宜順. 則性正情和矣. 如木旺極. 得水以生之. 逆也. 金以成之. 助逆之生也. 不宜見己丑之閑神也. 如木衰極, 得火以行之. 反逆也. 土以化之. 逆中之順也. 不宜見辰未之閑神也. 此旺極衰極. 乃從旺從弱之理. 非旺衰得中之意. 如旺極見閑神. 必爲狂猛. 衰極見閑神. 必爲姑息. 歲運見之亦然. 火土金水如之.
역즉의역. 순즉의순. 즉성정정화의. 여목왕극. 득수이생지. 역야. 금이성지. 조역지생야. 불의견기축지한신야. 여목쇠극, 득화이행지. 반역야. 토이화지. 역중지순야. 불의견진미지한신야. 차왕극쇠극. 내종왕종약지리. 비왕쇠득중지의. 여왕극견한신. 필위광맹. 쇠극견한신. 필위고식. 세운견지역연. 화토금수여지.
"(흐름이) 역으로 가는 경우에는 마땅히 역으로 가야 하고, 순으로 가는 것은 당연히 순으로 흘러야 하니 그렇게 되면 성품이 바르고 뜻이 화평하다. 예를 들어 木이 극히 왕한데 水의 생조를 얻으면 역이 되는 것이고, 금으로써 이루게 하는데, 이것은 역의 생을 돕는 것이다. (이때에는) 己丑의 한신을 만나지 않는 것이 좋다. 만약 목이 극히 쇠약한데 화를 얻어서 가면 거꾸로의 역이 되는데, 土의 化가 있으면 역의 가운데에서도 순이 된다. 辰土나 未土의 한신을 만나면 옳지 않다. 이렇게 극히 왕하거나 극히 쇠하면 왕에 종하거나 약에 종하는 이치가 있는데 왕쇠에서 중화를 얻은 것이 아니다. 만약 극히 왕해서 한신을 보면 반드시 미쳐서 날뛸 것이며, 극히 쇠한 상황에서 한신을 만난다면 반드시 구차하게 될 것이니 세운에서 보더라도 같이 논하면 되겠고, 火土金水의 상황도 또한 이와 같다."
【강의】
설명 중에는 辰土나 未土는 만나면 곤란하다고 했는데, 흐름으로 봐서는 辰土는 戌土로 바꿔서 봐야 더 합당하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천미에도 이렇게 되어 있어서 그대로 두고 의견만 드리는 것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참 어려운 말을 골라서 사용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당시의 중국 사람들로써는 이러한 말들이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언어였겠지만 지금 우리 한국에서 의미를 이해하려니까 혀가 꼬이는 기분이 들기도 한다. 그냥 게으른 학자의 푸념이다. 하하~
역으로 생한다는 말은 이미 왕한 상황에서 다시 그 왕한 상황을 생조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를 해야 하겠고, 그래서 종격의 심리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도 이해를 할 수가 있겠는데, 대체적으로 나타나는 설명의 방향은 오행이 자극을 받으면 성격에서도 그렇게 자극을 받는 것으로 보고 흐름을 타면 심리적으로도 안정을 취한다고 이해하는 것이 아닌가 싶은데 논리적으로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다만 설명하는 방식이 좀 난해하지 않은가 싶기는 하지만 이 정도의 설명으로 풀어서 이해를 하면 납득이 될 것으로 본다. 이 상황에서 기신의 악역은 재성이 맡아야 할 모양이다.
甲甲辛壬
子寅亥子
己戊丁丙乙甲癸壬
未午巳辰卯寅丑子
甲寅日元. 生於亥月. 水旺木堅. 旺之極矣. 一點辛金. 從水之勢. 不逆其性. 安而且和. 逆生之序. 更妙無土. 不逆水性. 初運北方. 入泮登科. 甲寅, 乙卯. 從其旺神. 出宰名區. 丙辰, 尙有拱合之情. 雖落職而免凶咎. 丁巳, 遇閑神沖擊. 逆其性序而卒.
갑인일원. 생어해월. 수왕목견. 왕지극의. 일점신금. 종수지세. 불역기성. 안이차화. 역생지서. 갱묘무토. 불역수성. 초운북방. 입반등과. 갑인, 을묘. 종기왕신. 출재명구. 병진, 상유공합지정. 수낙직이면흉구. 정사, 우한신충격. 역기성서이졸.
"甲寅일주가 亥月에 나서 수가 왕하고 목은 견고하니 극히 왕한 형상이다. 일점의 辛金은 水의 세력에 따라가는 형상이니 그 성향을 거역하지 않는다고 하겠으니 안정되고 또 화평한 역생의 질서를 얻은 셈이다. 다시 묘한 것은 土가 없다는 것인데 수의 성향을 거역하지 않기 때문이다. 초운에서 북방이 되니 공부를 하여 등과하였으며 甲寅과 乙卯에는 그 왕성한 木을 따르니 벼슬길에서 이름을 날렸고 丙辰에는 오히려 합이 되는 뜻이 있어서 비록 낙직은 했어도 흉하지는 않았는데, 丁巳가 되어 한신의 충격을 만나니 그 성품을 거역하여 죽었다."
【강의】
종격으로 從强格의 구조라고 해야 할 모양이고, 마음으로는 일지의 丙火를 의지하고 싶겠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봐야 하겠어서 일리가 있다고 하겠다. 그래도 요즘의 사주라고 한다면 일지의 식신이 용신인지 반드시 확인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는데, 그래서 확인이 되지 않으면 종강격으로 봐도 충분하리라고 보기 때문이다. 설명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보겠고, 타당하다. 火운에서 손상을 입은 것은 아마도 쟁재의 현상으로 인해서가 아닌가 싶다.
己甲辛壬
巳寅亥寅
己戊丁丙乙甲癸壬
未午巳辰卯寅丑子
甲寅日元. 生於寅年亥月. 辛金順水. 不逆木性. 逆生之序. 所嫌巳時爲閑神. 火土?剋逆其性. 又不能制水. 初交壬子. 遺緖?盈. 癸丑, 地支閑神結黨. 刑耗多端. 甲寅, 乙卯. 丁財?益. 一交丙辰. 助起火土. 妻子皆傷. 又遭回祿. 自患顚狂之症. 投水而亡.
갑인일원. 생어인년해월. 신금순수. 불역목성. 역생지서. 소혐사시위한신. 화토충극역기성. 우불능제수. 초교임자. 유서풍영. 계축, 지지한신결당. 형모다단. 갑인, 을묘. 정재병익. 일교병진. 조기화토. 처자개상. 우조회록. 자환전광지증. 투수이망.
"갑인일주가 寅년의 亥月에 나서 辛金은 水를 따르니 목의 성분을 거역하지 않으니 역생지서에 해당한다. 싫은 것은 巳時의 한신인데, 火土가 그 성품에 거역하는 까닭이다. 또 (그렇다고 해서) 수를 제어할 수도 없으니, 초운에서 壬子는 부모의 유산이 넉넉했다가 癸丑에는 한신이 합을 이루니 고통이 많았으며 甲寅과 乙卯에는 재물과 사람들이 모두 늘었는데, 한번 丙辰운으로 바뀌면서 火土를 도와 일으키는 바람에 처자가 모두 상하고 또 화재까지 만나서는 스스로 간질병이 발작을 하여 물에 빠져 죽었다."
【강의】
이 사주는 적천수천미에는 보이지 않는 명식이다. 낙오 선생이 슬쩍 끼워 넣은 것인지 천미에서 누락이 된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내용을 보면 용신은 식신생재로 가야 하는데, 논리의 전개가 좀 무리라고 하는 생각이 든다. 丙火대운도 나쁠 이유가 없겠고, 辰土는 망할 정도는 아니라고 하는 생각이 들어서 이해가 어려운 대목인데, 아무래도 낙오 선생이 삽입을 한 내용인가 싶기도 하다. 그리고 전광증은 간질의 증세로 보면 되겠다. 내용에서도 성정과는 무관하게 종하는 사주의 형상에 대한 설명만 있는 것도 문제로 보인다. 이점 참고하고 이해하시면 되겠는데, 심리적으로는 정재와 합이 되어있는 사람이 처자식이 다 불에 타서 죽었다면 그 마음이 뒤집힐 만도 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己甲丁戊
巳寅巳戌
乙甲癸壬辛庚己戊
丑子亥戌酉申未午
甲寅日元. 生於巳月. 丙火司令. 雖坐祿支. 其精神洩盡. 火旺木焚. 喜土以行之. 此衰極從弱之理. 初運戊午己未. 順其火土之性. 祖業頗?. 又得一衿. 庚申, 逆火之性. 洩土之氣. 至癸亥年. ?激火勢而亡.
갑인일원. 생어사월. 병화사령. 수좌록지. 기정신설진. 화왕목분. 희토이행지. 차쇠극종약지리. 초운무오기미. 순기화토지성. 조업파풍. 우득일금. 경신, 역화지성. 설토지기. 지계해년. 충격화세이망.
갑인일주가 巳月의 초여름에 태어나고 또 丙火가 당령하였으니 비록 비견에 앉아 있다고는 하지만 그 정신은 이미 탈진되었다고 하겠으니 불이 왕하니 나무가 타버린다고 하겠으니 土를 따라 흐르는 것이 반갑겠다. 이것은 쇠약함이 극에 달하여 약함을 따라 가는 이치가 된다. 저음의 운에서 戊午와 己未로 흐를 적에는 그 火土의 성질을 따르므로 조상의 유업이 풍족했고 또 벼슬도 하나 했는데, 庚申대운에서는 火의 성질을 거역하고 土의 기운도 설하는 상황인데 癸亥년이 되자 火의 세력을 충격하여 죽었다.
【강의】
설명을 보면 종아생재의 의미로 이해가 된다. 운의 흐름에서 그렇게 나타난다고 하니까 달리 이견은 없는데, 그래도 의심이 되는 것은 日支에 寅木을 두고 火土로 흘러갈 수가 있겠느냐는 의구심이다. 혹 甲木이 己土를 보고서 化格의 형태가 되면서 종을 하였던 것은 아닌가 싶은데, 그래도 실제로 이러한 사주를 만나신다면 일단 身弱用劫格의 구조인지를 먼저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