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月令

작성일
2007-09-12 13:05
조회
7717
【滴天髓原文】

 

月令乃提綱之府. 譬之宅也. 人元爲用事之神. 宅之定向也. 不可以不卜.

월령내제강지부비지택야. 인원위용사지신. 택지정향야. 불가이불복.

 

【滴天髓徵義原文】

 

月令者, 命中主要也. 氣象格局用神. 皆屬提綱司令. 天干又有引助之神. 譬如廣廈不移之象. 人元用事者. 卽此月此日之司令神也. 如宅中之向道. 不可不卜. 地理玄機云. 宇宙有大關會. 氣運爲主. 山川有眞性情. 氣勢爲先. 所以天氣動於上. 而人元應之. 地勢動於下. 而天氣從之. 由此論之. 人元司令. 雖助格輔用之首領. 然亦要天地相應爲妙. 故知地支人元, 必得天干引助. 天干爲用, 必要地支司令. 總之人元必須司令. 則能引吉制凶. 月令必須出現. 方能助格輔用.

如寅月之戊土. 巳月之庚金. 無司令出現. 可置勿論也. 譬如寅月生人. 戊土司令. 甲木雖未及時. 戊土雖則司令. 天干不透火土而透水木. 謂地衰門旺. 天干不透水木而透火土. 謂門旺地衰. 皆吉凶參半. 如丙火司令. 四柱無水. 寒木得火而繁榮. 相火得木而生助. 謂門地兩旺. 福力非常也. 如戊土司令. 木透干. 支藏水. 謂門地同衰. 禍生不測矣. 餘月依此而論.

월령자, 명중주요야. 기상격국용신. 개속제강사령. 천간우유인조지신. 비여광하불이지상. 인원용사자. 즉차월차일지사령신야. 여택중지향도. 불가불복. 지리현기운. 우주유대관회. 기운위주. 산천유진성정. 기세위선. 소이천기동어상. 이인원응지. 지세동어하. 이천기종지. 유차론지. 인원사령. 수조격보용지수령. 연역요천지상응위묘. 고지지지인원, 필득천간인조. 천간위용, 필득지지사령. 총지인원필수사령. 즉능인길제흉. 월령필수출현. 방능조격보용.

여인월지무토. 사월지경금. 무사령출현. 가치물론야. 비여인월생인. 무토사령. 갑목수미급시. 무토수칙사령. 천간불투화토이투수목. 위지쇠문왕. 천간불투수목이투화토. 위문왕지쇠. 개길흉삼반. 여병화사령. 사주무수. 한목득화이번영. 상화득목이생조. 위문지양왕. 복력비상야. 여무토사령. 목투간. 지장수. 위문지동쇠. 화생부측의. 여월의차이론.

 

'월령은 제강의 본부이니 비유한다면 집의 집이라고하겠다. 월령에 당령한 신은 집의 방향을 정하는 것이니 점치지 않으면 불가하다.'

 

월령은 팔자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곳이다. 기상이든 격국이든 용신이든 모두 월령의 사령에 속해 있다. 천간에서 인출이 되는 것을 도와주기도 하는데, 비유한다면 넓은 곳간을 이동하는 형상이라고 할 수가 있겠다. 지장간에 당령된 것은 즉 이 월 이날의 사령된 신이 된다. 예를 들면 집에서 어디로 향하는 길이다. 그래서 점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데, 『지리현기』에 말하기를 '우주는 큰 인연으로 모여 있으니 그 중에는 기운이 위주가 되고, 산천에는 참된 성품이 있는데, 기세가 우선하게 된다.'고 했는데, 그래서 천기는 위에서 동하니 사람이 응하게 되고 땅의 세력은 아래에서 동하니 천기를 따르게 된다. 이로 논해 보건데 지장간의 당령은 비록 격을 돕고 용신을 보좌하는 수령이라고는 하나 또한 천지가 서로 응함으로써 묘함이 되니 그러므로 지지의 인원은 반드시 천간의 인도함을 얻어야 함을 알아야 하겠고, 천간에서 용신이 될 적에는 반드시 지지에서 사령이 되기를 요하는데 한마디로 지장간의 성분은 당령이 되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길함을 이끌고 흉함은 누리게 된다. 월령은 반드시 투출이 되어야 바야흐로 능히 격을 돕고 용신을 보조할 수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인월의 戊土나 사월의 庚金이 당령을 하지도 못하고 투출도 되지 않았다면 내버려 두고 논하지 않아도 된다.

비유하건데 인월에 태어난 사람이 무토가 사령했다고 할 적에 甲木은 아직 미치지 않았더라도 무토는 비록 사령을 했으나 천간에 火土가 투출이 되지 않았고 水木이 투출했다고 한다면 이를 일러서 지지는 쇠하지만 문은 왕하다고 하겠고, 천간에 水木은 투출되지 않았고, 火土가 투출되었다고 한다면 이를 일러서 문이 왕하고 지는 쇠하다고 하겠는데, 모두 길흉이 반반이라고 하면 되겠다.

만약 丙火가 사령하고 사주에 水는 없다면 차가운 나무가 화를 얻어서 번영하게 되고 화는 상에 속하면서 목을 얻어서 생조가 되니 이를 일러서 문과 지가 모두 왕하다고 하는데, 복력이 적지 않을 것이다. 만약 무토가 사령하고 목이 천간에 투출했는데 지지에는 수가 있다면 이를 일러서 문과 지지가 모두 쇠하니 재앙이 생함을 헤아리기 어려울 지경이라고 하겠으니 나머지 월지도 이에 의거해서 논하라."

【강의】

 

이 대목은 월령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설명하신 부분인데 상당히 중요한 대목이라고 생각이 되어서 부연 설명을 한다. 명리학에서는 월지는 세력의 본부라고 해서 일단 일간의 상황이 가장 먼저 대입되는 것이 월지일 정도로 비중이 큰 부분이다. 그래서 월지에 대해서는 다른 지지와는 전혀 다른 상황으로 대입을 하면서 많은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는데, 월령과 당령의 차이에 대해서 이해를 잘 해야 할 모양이다. 그래서 그 차이를 생각해보는 설명이라고 하겠는데, 寅月의 상황을 놓고 다시 생각을 해보도록 하자.

 

寅月 - 戊-7, 丙-7, 甲-16의 지장간으로써 立春시부터 驚蟄시까지의 영역을 담당한다. 여기에서 지지의 寅木을 地라고 하고 당령한 성분을 門이라고 이해를 하고 보자.

 

時 日 月 年

○ ○ ○ ○

○ ○ 寅 ○

 

이것이 기본적인 그림이다. 다른 상황은 생각을 하지 말고 단지 月支가 寅木이라고 하는 것만 생각을 하고 시작한다. 내용의 설명 중에서

 

'비유하건데 인월에 태어난 사람이 무토가 사령했다고 할 적에 甲木은 아직 미치지 않았더라도 무토는 비록 사령을 했으나 천간에 火土가 투출이 되지 않았고 水木이 투출했다고 한다면 이를 일러서 지지는 쇠하지만 문은 왕하다고 하겠고,' 의 부분을 놓고 다시 생각을 해본다. 내용을 표로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이 되겠다.

 

時 日 月 年

○ ○ 壬 甲

○ ○ 寅 ○

     (戊)

 

이 경우에는 지지는 쇠하고 문은 왕하다. 문이라고 하는 것은 당령을 말하므로 당령은 되었다는 뜻이다.

 

'천간에 水木은 투출되지 않았고, 火土가 투출되었다고 한다면 이를 일러서 문이 왕하고 지는 쇠하다고 하겠는데,' 라는 내용으로 설명이 되어 있는 것은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을 할 수가 있겠는데, 여기에서 문이 왕하다고 한 이유는 당령한 戊土가 생조를 얻고 있다는 의미가 되겠고 대신에 지지의 寅木은 설기가 되므로 쇠하다는 말로 설명을 한 것이라고 보겠다. 즉 인목은 木生火하고 화생토를 해서 목의 기운이 약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면 되겠다.

 

時 日 月 年

○ ○ 戊 丙

○ ○ 寅 ○

     (戊)

 

이렇게 되는 것은 어느 한 쪽은 약하고 또 다른 한 쪽은 왕하게 되므로 길흉이 반반이라고 설명을 했는데, 이해가 되시리라고 본다. 다음에 언급한 내용도 있으니 살펴보자.

 

'만약 丙火가 사령하고 사주에 水는 없다면 차가운 나무가 화를 얻어서 번영하게 되고 화는 상에 속하면서 목을 얻어서 생조가 되니 이를 일러서 문과 지가 모두 왕하다고 하겠는데, 복력이 적지 않을 것이다.' 라는 말로 되어있는 상황은 다음과 같은 표를 만들어서 이해를 해본다.

 

時 日 月 年

○ ○ 丙 戊

○ ○ 寅 ○

     (丙)

 

이 경우에는 인목도 화를 얻어서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인데 그래서 서로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을 얻었으므로 좋다고 하는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보면 되겠다. 그리고 또 다른 경우도 있다.

 

'만약 무토가 사령하고 목이 천간에 투출했는데 지지에는 수가 있다면 이를 일러서 문과 지지가 모두 쇠하니 재앙이 생함을 헤아리기 어려울 지경이라고 하겠으니'에 대한 부분은 다음과 같은 상황으로 설명을 해본다.

 

時 日 月 年

○ ○ 甲 戊

○ 子 寅 ○

     (戊)

 

이러한 배치라고 한다면 당령이 된 것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음을 의미하게 되는데, 이것은 실제로 당령이 되지 않은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의미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래서 당령에 대해서만 비중을 두는 논리에 대해서는 주변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당령에만 집착을 하게 되면 이러한 상황을 놓치게 되므로 명확하게 종합해서 판단하라는 의미로 설명하신 듯 싶다.

 

●당령에 따른 경우에 대해서

 

寅月의 경우를 그대로 두고서 몇 가지의 상황에 대해서 고려를 해보도록 하자. 늘 월지의 당령에 대해서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로 고민을 하시는 벗님이 많으신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러한 정리가 약간의 참고사항이 되실 것으로 생각이 된다.

 

1. 甲木이 당령일 경우

 

1) 천간에 甲木이 투출되어 있으면

목의 기운이 매우 강하다. 그대로 당령의 역할과 월지의 역할을 모두 감당하게 되므로 상당히 강력하게 작용을 하게 된다.

 

2) 천간에 甲木은 없고 丙火가 있으면

병화는 생조를 많이 받음으로 해서 힘을 얻게 되고 갑목도 당령이므로 상당한 힘을 얻고 있다고 해석을 한다. 다만 이때의 인목 속의 무토는 무력하므로 고려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3) 천간에 甲木과 丙火가 없고 戊土만 있으면

이것은 투출이기는 하지만 실제로 당령이 아니므로 월령을 얻은 것은 아니다. 그래서 무력한 것으로 봐야 한다. 월지의 인목은 상당한 힘을 유지하고 있다.

 

4) 지장간에서 아무 것도 나오지 않았다면

甲木, 丙火 戊土가 전혀 천간에 보이지 않는 경우라고 한다면 그대로 인목에서 갑목이 당령을 한 것으로 보면 되겠다.

 

2. 丙火가 당령일 경우

 

1) 甲木이 투출되었고 丙火나 戊土는 없다면

병화가 당령이라고 해도 당령의 의미가 없다. 그대로 갑목의 뿌리로써 인목을 생각하면 되겠다.

 

2) 丙火가 투출되었고 甲木이나 戊土는 없다면

당령한 기운이 투출이 되었으며 월지로부터 생조를 받는 힘도 있으므로 상당히 강력한 화력이 되겠다. 이때의 寅木 속의 戊土도 어느 정도 숨을 쉬고 있다고 하겠다.

 

3) 戊土가 투출되었고 甲木이나 丙火는 없다면

갑목 당령에서 무토가 투출된 것에 비해서 특별히 더 나을 것이 없다고 봐야 하겠다.

 

4) 甲木과 丙火와 戊土가 전혀 없다면

그대로 인목의 작용만 고려를 하면 되겠다. 갑목당령에 비해서 달리 생각을 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3. 무토가 당령일 경우

 

1) 甲木이 투출하고 丙火나 戊土는 없다면

무토의 당령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대로 갑목의 세력으로 보면 되겠고 무토는 무력하기 짝이 없다고 보면 될 일이다.

 

2) 丙火가 투출하고 甲木이나 戊土가 없다면

무토는 생조를 받는 정도일 뿐이고 크게 활동을 하지는 못한다. 병화 당령에 병화 투출한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3) 戊土가 투출되고 甲木과 丙火는 보이지 않으면

그렇다고 해서 특별히 무토가 왕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다만 천간에 丙火가 같이 투출이 되지 않았다면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당령이 되어서 무토가 인목에 뿌리를 내렸다고 한다면 이치적으로는 말이 될 수도 있겠으나 현실적으로는 거의 기대를 하기 어렵다고 하겠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으면 무시를 하는 것이 좋겠다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게 된다.

 

寅月의 여러 가지 상황들을 생각해서 언급을 해 봤는데, 혹 적절하지 않은 설명일지는 몰라도 그 의미를 파악해 주신다면 충분하겠다. 여기에서 낭월이가 드리고자 하는 말씀은 월령에 당령을 하고 투출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상황에 따라서 힘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참고가 되시면 좋겠다.

 

              丙 戊 丙 甲

              辰 寅 寅 戌

           甲癸壬辛庚己戊丁

           戌酉申未午巳辰卯

 

戊寅日元. 生於立春十五日後. 正當甲木司令. 地支兩寅緊剋辰戌之土. 天干甲木, 又制日干之戊. 似乎煞旺身衰. 然喜無金. 則日元之氣不洩. 更妙無水. 則丙火之印不壞. 尤羨貼身透丙. 化殺生身. 由甲榜而懸靑綬. 從副尹以제黃堂. 名利雙收也.

무인일원. 생어입춘십오일후. 정당갑목사령. 지지양인긴극진술지토. 천간갑목, 우제일간지무. 사호살왕신쇠. 연희무금. 즉일원지기불설. 갱묘무수. 즉병화지인불괴. 우선첩신투병. 화살생신. 유갑방이현청수. 종부윤이제황당. 명리쌍수야.

 

"무인 일주가 입춘이 지나고 15일 후에 태어났으니 바로 갑목이 사령한 시기이다. 지지에 인목이 둘이나 있어서 辰土를 제어하고 천간에서는 갑목이 또 일간의 戊土를 제어한다. 그래서 살이 왕하고 일주는 쇠약한 것같다. 그러나 반가운 것은 금이 없다는 것이니 즉 일주의 기운이 설기되지 않는 까닭이다. 다시 묘한 것은 水가 없는 것이니 즉 丙火의 인성이 극을 받아서 허물어지지 않음이다. 더욱 부러운 것은 병화가 투출되어 일간에 바짝 붙어 있는 것이니 살을 화해서 일간을 생하니 이로 말미암아 수석으로 급제하고 현에 청수가 되었으며 부윤으로 시작해서 황당을 밟았으니 명리를 함께 거뒀던 것이다."

 

【강의】

 

간단한 설명이다. 갑목이 당령을 했으니 병화는 힘이 강한 것이 당연하고 그 병화가 일간 가까이에 있으면서 수의 손상을 입지 않았으니 용신이 청하다고 하겠다. 더구나 시간에서도 병화가 협조를 해줘서 일간 무토는 별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잘 살았을 것으로 봐도 되겠다.

 

              庚 戊 丙 甲

              申 辰 寅 戌

           甲癸壬辛庚己戊丁

           戌酉申未午巳辰卯

 

戊辰日元. 生於立春後六日. 正戊土司令. 月透丙火. 生化有情. 日支坐辰. 通根身旺. 又得食神制殺. 俗論勝於前造. 不知嫩木寒土皆喜火. 況殺旣化. 不宜再制. 所嫌者申時. 不但日主洩氣. 而且丙火臨絶. 以致書香難遂. 一生起倒不寧. 刑喪不免也.

무진일원. 생어입춘후륙일. 정무토사령. 월투병화. 생화유정. 일지좌진. 통근신왕. 우득식신제살. 속론승어전조. 부지눈목한토개희화. 황살기화. 불의재제. 소혐자신시. 부단일주설기. 이차병화임절. 이치서향난수. 일생기도부녕. 형상불면야.

 

"무진일주가 입춘이 지나고 6일 만에 태어났으니 바로 무토가 사령이다. 월간에 丙火가 투출하여 생화가 유정한데, 일지에 辰土이니 신고에 통근해서 왕하고 또 식신이 살을 제하는 것도 얻었으니 흔히 하는 말로는 앞의 사주보다 더 좋다고 할 것이만, 어린 나무와 차가운 토는 모두 불을 기뻐함을 모르기 때문이다. 하물며 살을 이미 화해서 다시 제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고 申時에 태어난 것이 아쉽다. 다만 일주를 설기할 뿐만 아니라 또 병화도 절지에 임하게 되니 이로 인해서 공부를 하지 못했고 일생을 살면서 일어섰다 거꾸러졌다를 반복하여 편안할 날이 없었으며 온갖 고통을 면하지 못했다."

 

【강의】

 

이 사주는 戊土가 사령이고 병화가 있는 것은 좋다고 하겠으나 무진에 경금의 설기까지 겹치는 것이 부담이라고 하는 해석이 전적으로 옳다고 하겠다. 살인상생격으로 가는 흐름에서 식상을 본 것이 병이라고 하겠으니 앞의 사주에 비해서 많이 떨어지는 것을 알만 하겠다. 그리고 당령의 입장에서도 병화는 목의 당령은 좋으나 무토의 당령은 감점의 요인일 뿐이라고 봐도 되겠다.